Contents Analyses of Housing Educational research in Home Economics of Secondary School

중등학교 주생활교육 관련연구 내용분석

  • Park, Mi-Jin (The Doctorial stud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Dep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Yu, In-Young (The Doctorial stud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Dep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im, Il-Young (The Doctorial stud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Dep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Jong-Hee (The Doctorial stud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Dep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Cho, Jae-Soo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박미진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 유인영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 임일영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 이종희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 조재순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Housing Studie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published in master's or doctorial theses and journals since 1985. The 24 research papers were analyzed by the type and time of publication, research subjects, data collecting methods, respondents & sample size, and statistical methods. The data were presented by tables with frequenc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Housing educational research has been done as a type of theses and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on Housing has been increased in somewhat. Over time there were two main theme of Housing educational research: general perception of housing and teaching - learning plans. Research methods, respondents and sample size, and statistical methods were obviously differed by the two research theme of Housing educational studies. This research suggested to broaden the research subjects as well as research methods beside to increase the number of studies on Housing area in Home Economics Education.

우리나라에서 중등학교 주생활 단원에 대한 연구 발표는 1985년에 시작하여 1989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와 1990년 주거학회지가 창간되면서 본격화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1985년부터 2006년까지 발표된 주생활 교육 관련 연구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주생활 교육 연구의 현황과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1985년이후 최근까지 발표된 석 박사학위논문, 연구 보고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생활과학학회지, 한국주거학회지, 대학논총 등에 게재된 연구와 논문 중에서 중등학교 주생활 단원만을 독립적으로 연구한 것으로 한정하였다. 기술 가정교과 연구 중의 일부로 주생활단원이 포함되어 있는 연구나 논문 형식을 갖추지 않은 연구 자료는 제외하여 총 24편을 선별하였다. 24편 중 주생활교육 논문 14편과 주생활교수 학습관련 논문 10편으로 나누어 내용분석 하였으며, 세부적인 항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빈도와 백분율 등의 통계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생활교육연구는 1985년 이후 발표되기 시작하여 학회지 발표 논문과 학위논문을 합쳐 24편에 불과하였으며, 학위논문의 경우 한국교원대에서 집중적으로 발표되고 있어 연구가 질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가정과교육을 연구하고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양적으로 증가될 필요가 있겠다. 둘째, 연구주제는 주로 실태와 인식, 자료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로 대부분 두 주제로 다루고 있었다. 연구문제 선정시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사교육, 장학, 실험?실습 등 연구영역과 주제가 다양화될 필요가 있겠다. 셋째,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가 대부분이었고 질적연구는 1편에 불과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사례연구, 질적 연구, 문헌 연구 등 연구 방법을 다양하게 확대할 필요가 있겠다. 넷째, 통계처리 방법은 주로 빈도와 백분율, t-검증, ANOVA 등 단순통계를 활용한 경우가 많았다.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고급 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