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치위생과 학생 및 비치위생과 학생의 구강건강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Received : 2007.08.09
  • Accepted : 2007.09.06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llege students basic knowledge of oral health of a college student and compare with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esidents in Gyeonggi-do and Gwangju from June 2006 to May 2007.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Concerning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dental hygiene students got the source of information most frequently from school work about oral health(80.0%)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got from health programs of TV or radio(42.7%). Concerning the reason of keeping of oral hygiene,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to preventive of dental caries(80.9%)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were to preventive of periodontal disease(52.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p < 0.001). 2. The knowledge degree of dental caries, to the both groups, methods of preventing caries appeared regular brush and main cause of dental caries was not to brus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p < 0.001). 3. Dental hygiene students answered about the knowledge of fluoride know fluoride(93.6%)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answered (55.3%). Dental hygiene students thought that fluoride could preventive dental caries(85.5%) but non-dental hygiene students thought that fluoride couldn't preventive dental caries(51.0%).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p < 0.001). 4. In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state, both of groups, replied that their own tooth state is average but they concerned about their tooth heal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p < 0.001). About main cause of dental caries, students ranked that the first reason was the poor toothbrush and the second reason was the over intaking of sugared foods. 5. About knowledge of oral diagnosis, to both groups, students ranked that first could endure the pain and the second was in much pain. For both groups, students ranked that difficult of dental treatment was cost, fear and tim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p < 0.01). For both groups, when they visit dentist's office, they felt misgivings and fear.

현 대학생의 구강보건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과 관심 및 치위생과 및 비치위생과 학생의 구강건강인식을 비교 분석할 목적으로 2006년 6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조사를 실시하고,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보건에 관한 인식도를 살펴본 결과, 치위생과 학생의 구강보건 지식경로는 학교수업이 80.0%로 가장 많았고, 비치위생과 학생들의 경우에는 TV 또는 라디오의 건강프로그램이 42.7%로 가장 많았다. 구강위생을 유지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경우에는 치아우식증 예방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80.9%로 가장 많았고, 비치위생과 학생들의 경우에는 치주질환 예방이 52.4%로 가장 많았으며,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2. 치아우식증에 관한 인식도를 살펴본 결과, 치아우식증 예방법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 규칙적인 잇솔질이 가장 많았고, 치아우식증의 발생원인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 불충분한 잇솔질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3. 불소에 관한 인식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불소인지 여부에 대해 치위생과 학생들은 불소를 알고 있는 경우가 93.6%로 나타났고, 비치위생과 학생들은 55.3%로 나타났으며, 불소의 치아우식 예방인지 여부에 대해 치위생과 학생들은 예방할 수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85.5%로 가장 많았고, 비치위생과 학생들은 잘 모르겠다가 51.0%로 가장 많았으며,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4.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인식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본인의 치아 상태에 대하여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본인의 치아건강에 대한 관심도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조금 있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본인의 치아우식 발생 원인에 대해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불충분한 잇솔질, 당분 과다섭취 순으로 나타났다. 5. 구강진료의 인식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진료 시의 동통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견딜만한 정도와 극도로 아프다 순으로 나타났으며, 치과 진료시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들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비용, 두려움, 시간 순으로 나타났으며,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치과방문 시의 느낌에 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치위생과 학생들 모두에서 다소걱정이다, 두렵다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