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Little Black Dress in the Modern Fashion - Mainly Focused on Works after the Year 2000 -

현대패션에 나타난 리틀 블랙드레스의 미적특성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7.05.31

Abstract

Since its birth, "Little black dress" that has been prospering and reviving continually for 80 years, is always favored as classical fashion item.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Little black dress", regarded as the beginning of the modern fashion, could become an eternal item over a century by analyzing the aesthetical characteristics of it. Thus,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modern women and aesthetic value of modern fashion. The precedented studies and literatures are reviewed for recognizing the development of "Little black dress," and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only after the year 2000. Also, fashion work collections and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shion magazines are analyzed demonstratively. After the Little Black Dress was born with the bullish black color in the year 2000,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spotlighted Little Black Dress in the modern fashion are as the following. First is modernism. Modern style of black dress is appeared through simple and moderate expressions such as pursuit of simple line, minimization of decoration and exclusion of accessories. Second is sensuality that emphasizes flashiness of black by gloss or see-through fabric and exposing one's body parts or dress that exposes body's curves not only express women's physical attraction but also show off woman's social status or roles. Third is feminism. Ruffle, ribbon, flowing-like fabric, and rhythmical details express charms of sophisticated and trendy women as well as romantic image of girlish sensibility. Fourth is hybridism. Experimental and creative thinking like designers' unique re-interpretation of "little black dress," fresh view to sexuality, breaking up of the existing principle of clothing compositions give wholly new aesthetic value.

Keywords

References

  1. 박혜원, 김여숙 (2001), 리틀블랙드레스의 활용을 통한 미적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5(2)
  2. 김기례, 채금석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8)
  3. 곽혜선, 금기숙(1998), 흑색의상의 조형성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복식,37
  4. 문혜정, 김민자 (1998). 서양복식에 나타난 검정색의이미지. 복식, 41
  5. 송명희 (1996).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기례, 채금석,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8), p.41
  7. Amy de la heye. Shelly tobin (1994). Chanel: The couturier at work. London : Victoria& Albert Museum,p 42
  8. 이미숙(1997). 샤넬 스타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30
  9. Gerda Baubaum(1999). Icons of fashion. London : Prestel, p 41
  10. Didier Ludot (2001). La petite robe noire. Paris : Assouline,p. 76
  11. 송명희. (1996)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6-27
  12. 박혜원, 김여숙. (2001) 리틀블랙드레스의 활용을 통한 미적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5(2) P. 4
  13. Didier Ludot. La petite robe noire. Paris : Assouline, p.76
  14. 김성복(2000). 디자인문화비평2 서울 : 안그라픽스 PP. 52-53
  15. 김은덕, 김민자(1995). 현대패션에 나타난 최소표현 기법에 관한 연구, 복식, 24, p. 168
  16. Leonard Koren (1984). New fashion japan. Tokyo: Kodansha International. ,p 114
  17. 박혜원, 김여숙. (2001) 리틀블랙드레스의 활용을 통한 미적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5(2) p. 6
  18. Vogue korea (1992. 1). ,p 118
  19. W Korea (2005. 9), .p 79
  20. Vogue korea (2001. 9), p. 121
  21. 박혜원, 김여숙, (2001) 리틀블랙드레스의 활용을 통한 미적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5(2), p. 7
  22. 김은덕, 김민자. (1995). 현대패션에 나타난 최소표현 기법에 관한 연구, 복식, 24, p. 157
  23. 곽혜선, 금기숙. (1998), 흑색의상의 조형성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복식,37, P. 231
  24. 김현철(1996). 몬드리안의 조형공간 교육론, 서울 : 발언. ,p 66
  25. 곽혜선, 금기숙. (1998), 흑색의상의 조형성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복식,37,p 231
  26. 박혜원. 김여숙. (2001) 리틀블랙드레스의 활용을 통한 미적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5(2), p. 8
  27. Vogue korea. (1992. 1). p.121
  28. Harper's Bazaar (2006. 1), P. 135
  29. 김기례, 채금석.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8),, .p 48
  30. 채금석, 이화정(2002).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 연구, 복식, 52(1), P. 112
  31. 성광숙, 이순흥(2004). 서양복식에 나타난 양적과장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II, 복식, 54( 7), P. 161
  32. 문혜정, 김민자. (1998), 서양복식에 나타난 검정색의 이미지. 복식. 41, p. 210
  33. 진경옥(2005) 존 갈리아노 패션쇼에 나타난 현대패션코디네이션 특성. 복식. 55(6), p. 55
  34. 고현진. 김민자(2004). 복식에 표현된 미적 개념으로서의 엘레 강스, 복식, 54(5), p 104
  35. 김은실 (1999). 페미니즘이 1990년대 패션에 미친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3
  36. 최해주, 안은경 (2003) 국내복고주의 패션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 53(2). p 148
  37. 고현진, 김민자. (2004). 복식에 표현된 미적 개념으로서의 엘레 강스, 복식, 54(5), p. 104
  38. 성광숙, 이순흥. (2004). 서양복식에 나타난 양적과장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II, 복식, 54( 7), p.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