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erification of the HWAW (Harmonic Wavelet Analysis of Waves) Method Using Multi Layered Model Testing Site

실대형 모형부지를 이용한 HWAW(Harmonic Wavelet Analysis of Waves) 기법의 검증

  • 김종태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
  • 박형춘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동수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
  • 방은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HWAW (Harmonic Wavelet Analysis of Wave) method, which is non-destructive method using body and surface waves, has the advantages of obtaining 2D subsurface imaging because it uses a short receiver spacing to obtain the $V_s$ profile of whole depth. Even though the reliability of HWAW method has already been verified by using the numerical simulation in the various layered models, it is very difficult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HWAW in the field because the exact $V_s$ values of the experimental site are unknown. In this study, a model testing site where the material properties and layer information could be controlled was constr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HWAW method. The detailed geometry of the testing site was strictly measured by surveying, and 140 vertical and horizontal geophones were established at the boundary of each layer to evaluate the dynamic material properties. Using the interval travel tim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eophones, the body wave velocities of each layer were 2 dimensionally obtained as reference data, and comparative study using HWAW method was performed. By comparing 2D Vs profile obtained by HWAW method to the reference data, the reliability of HWAW method was verified.

HWAW 기법은 체적파 영향이 포함된 표면파를 이용하는 지표면 지반조사 기법이다. 짧은 감지기 간격을 이용하여 지반의 전단파 속도 주상도를 도출할 수 있으므로 지반 강성의 2차원 영상을 도출하는데 장점이 있다. 경사지반에 대한 HWAW 기법의 신뢰성을 수치해석을 통해 검증한 바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지반의 정확한 전단파 속도 분포를 알 수 없으므로 기법의 실제 현장에서의 신뢰성은 검증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WAW 기법의 현장 검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자 대상지반 지층의 구조적 형상 및 전단파 속도 분포를 알 수 있는 실대형 모형부지를 조성하였다. 모형부지의 구조적 형상은 모형부지 조성 과정 중에 측량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동적물성치는 성토 과정 중 모형부지 내에 매설된 다수의 속도계를 이용하여 획득하였다. 이렇게 획득한 모형부지의 층상구조 및 전단파 속도 분포를 바탕으로 부지의 2차원 기준 값을 결정하였으며 HWAW기법 검증 및 기타 탄성파 탐사들의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HWAW기법이 다른 탄성파 탐사 기법에 비하여 현장 지반의 2차원 전단파 속도 분포를 신뢰성 있게 도출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광범, 지준, 이두성 (2000), ' 천부탄성파 탐사 자료 획득을 위한 3차원 측선 배열 설계', 한국자원공학회지, Vol.37. pp.232-239
  2. 김중열 (2000), '임해매립층/해성점토 경계면 규명을 위한 탄성파 이용 기술', 2000년 공동특별강연 논문집, 한국지구물리탐사 학회 . 한국지반공학회 지반조사위원회, pp.48-86
  3. 조창수, 이희일, 서정희 (2002), '탄성파 굴절법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지반의 속도 분포 해석', 물리탐사, Vol.5, pp.6-17
  4. 박형춘, 김동수 (2004a), 'HWAW 방법을 이용한 새로운 탄성파 지반조사기법의 개발(I) : 분산곡선의 결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Vol.24, No.2C, pp.105-115
  5. 박형춘, 김동수 (2004b), 'HWAW 방법을 이용한 새로운 탄성파 지반조사기법의 개발(II) : 실험 구성 및 역산과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Vol.24, No.2C, pp.117-124
  6. 방은석, 김동수, 윤종구 (2006) '다운홀 시험에서 신뢰성 있는 전단파 속도 주상도 도출을 위한 해석 기법의 개선', 대한 토목학회 논문집, Vol.26, No.3C, pp.157-170
  7. 방은석 (2006), 신뢰성있는 지반의 전단파 속도 주상도 결정을 위한 현장 탄성파 탐사기법 연구, 박사학위 논문, 한국과학기술원, pp.201-218
  8. 조성호, 하의상, 박권규, 장태호, 김종태, 김봉찬, 최재화, 안희윤 (2005a), '지반 하부강성구조 평가를 위한 표면파 기법 비교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봄 학술발표회 RRT 특별 Session, pp.35-56
  9. 조성호, 장대우, 강태호, 이일화 (2005b), 'CAP SASW 기법에 의한 지반단연의 전단강성구조 평가',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지반공학회, Vol.22, pp.71-82
  10. Joh, S.H. (1992), User's guide to WinSASW, a Program for data reduction and analysis of SASW Measurement,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1. Kim, Dong-Soo, Park, Hyung-Choon, and Kim, Seung-Hee (2004), 'Seismic Site Characterization using Harmonic Wavelet Analysis of Wave (HWAW) Method', US-Korea Joint Workshop. Seoul, Korea, pp.335-346
  12. Nazarian, S. and Stokoe, KH (1984), 'In situ shear wave velocities from spectral analysis of surface wave', Proc., 8th Conf On Earthquake Eng, S.Francisco, pp.31-38
  13. Park, C.B., R.D. Miller, and J. Xia (1999), '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s', Geophysics, Vol.64, No.3, pp.800-808 https://doi.org/10.1190/1.1444590
  14. Park, C.B. (2003), Surfseis User's Manual, Kansas Geological Survey
  15. Park, H.C.. and Kim, D.S. (2001), 'Evaluation of the Dispersive Phase and Group Velocities using Harmonic Wavelet Transform', NDT&E International, Vol.34, No.7, pp.457-467 https://doi.org/10.1016/S0963-8695(00)000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