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Family of Origin Healthy and Conflict Coping Behavior in Unmarried Males and Females

미혼 남녀의 원가족 건강성 인지와 갈등대처행동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coping behavior and the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in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currently in the dating population. The subjects consisted of 250 single male and female who had been dating for more than three months. A survey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and results of survey were analyzed by the SPSS PC 12.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conflict coping behavior with variable that is related to a socio-demographic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nner of receiving assistance from external resource in terms of gender, education level, religion and age. The rational cop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gender, and shrinking coping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also gender and sibling. Second, rational coping skills and shrinking coping skills, which are date-associated variables in comflict coping behavior, were influencing factors in the individuals' consideration of a future-relationship with their partner. Third, the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was associated with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acquired external assistance and rational coping behavior.

Keywords

References

  1. 김순기, 유영주(2001),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1), 43-64
  2. 김예정, 김득성 (1993), 지속적인 이성교제에서의 갈등표출행동 :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31(6), 127-139
  3. 김예정, 김득성 (1999), 대학생들의 데이팅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I , 대한가정학회 37(10), 27-42
  4. 김정란(1999), 대학생의 이성교제 중 폭력과 대처행동, 전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5. 김현정, 김명자(1999), 근원가족건강도, 자아존중감, 결혼적응의 관계 -청주시 결혼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39-60
  6. 남순현 (2000), 가족의 정서체계 역동성에 관한연구-성인자녀 가족과 3세 대 가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손예진, 전귀연 (2003), 미혼남녀의 개인적, 관계적, 상황적 변인이 데이팅 폭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1(2), 43-63
  8. 송말희 (1990), 기혼남녀의 부부간 갈등 정도와 대응행동에 관하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2), 31-47
  9. 안경애 (2003), 여대생의 이성교제 중 갈등표출행동 유형과 영향 요인, 간호과학 15(1), 50-60
  10. 양진선 (2004), 부부친밀감과 자아존중감 및 원가족 건강성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이수희 (2004), 대학생의 원가족 분화수준과 자아존중감이 이상 파트너와의 갈등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신숙(2000), 기혼남녀의 자아분화수준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1), 23-43
  13. 이현주, 김순옥(1997), 부부의 자아분화정도와 갈등대처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 89-114
  14. 전영주 (2002), 한국 성인초기 미혼남성의 원가족 요인이 불안을 매개로 낭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11), 207-221
  15. 전춘애 (1994), 부부의 자아분회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지각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16. 정문자, 김연희 (2000), 가족생활주기별 내담자의 무제와 가족치료기법 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지 8(1), 3-29
  17. 정문자, 이종원(2003), 원가족 변인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3),147-164
  18. 정은희 (2004), 원가족분화, 자존감과 부부갈등 대처방식에 따른 결혼안정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제석봉(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Bowen의 가족체계 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조유리 (2000),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조은경 (2001),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과 갈등대처 행동 및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차정화(2002), 가족분화와 이성교제 커플의 정서적 역동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차정화, 전영주(2002), 이성교제 커플의 원가족 건강성과 친밀감 간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1), 39-57
  24. 최규련 (1994), 가족체계유형과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140-152
  25. 최현미 (1997), 원가족척도 연구 결혼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6. 한미향(1999), 부부의 자아분화와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방안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Benson, M. J., Larson, J. H., Wilson, S. M., & Demo, D. H.(1993), Family of origin influence on late adolescent romantic relationship, Journal of Marriage Family, 55, 663-672 https://doi.org/10.2307/353347
  28. Forrest, M.(1991), Family-of origin emotional health experience as predictors marital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29. Hovestadt, J. A., Anderson, T. W., Pierly, P. F., Chchran, W. 5., & Fine, M(1985), A family of origin 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1(3).287-297 https://doi.org/10.1111/j.1752-0606.1985.tb00621.x
  30. Larson, J. H., Benson, M. J., & Wilson, S. M., Medora, N.(1998), Family origin influences on marital attitudes and readiness for marriage in late adolescents, Journal of Family Issues, 19(6), 750-768 https://doi.org/10.1177/019251398019006005
  31. Lavert, P. J.(1984),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rital satisfaction an exploratory analysis based on the Bowen the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all State University
  32. Mee-Gaik, N. G.(1991), Family of 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n healthy like, healthy unlike, unhealthy like, unhealthy unlik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axas Women's University
  33. Wilcoxon, S. A., & Hovestadt, J. A.(1983), Perceived health and similarity of family of origin experiences as predictors of dynamic adjustment for married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Therapy, 9(4), 431-434 https://doi.org/10.1111/j.1752-0606.1983.tb0153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