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paroscopic Contralateral Exploration for Clinically Unidentified Patent Processus Vaginalis

소아 서혜부 탈장환자에서 반대측에 대한 복강경 검사의 의의

  • Park, Il-Kyung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Hospital) ;
  • Mok, Woo-Kyun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Hospital)
  • 박일경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목우균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Received : 2007.11.12
  • Accepted : 2007.12.11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It is known that pediatric inguinal hernia is caused by the incomplete closure of processus vaginalis (PV). In the case of unilateral hernia, possibile contralateral patent PV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of its delayed appearance as well as its risk of incarceration. Direct visualization of patent PV could be done by contralateral exploration or by indirect exploration through the ipsilateral opening site of the affected hernia assisted with laparoscope. A patient group (321 persons) to whom laparoscopy was not performed from March 2000 to March 2003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a patient group (280 persons) to whom laparoscopy was performed from April 2003 to September 2005. With all 601 patients, the sex ratio (male/female) of patients was 3.8:1. The side distribution was 57.7% in the right, 32.1% in the left and 10.1% in bilateral. There was no difference of sex and side distribu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laparosopy adoption. We did not find an age correlation in natural closure of the residual PV of the peritoneum. Contralateral hernia developed in 14 persons (2.5%) after the operation of unilateral inguinal hernia before laparoscope adoption. But no contralateral hernia developed after April 2003 with laparoscopy. We think that if we use laparoscopy, being a safe and accurate method, to check whether the contralateral residual PV is opened or closed, possible future contralateral operation can be avoided.

저자들은 2000년 3월부터 2005년 9월까지, 건양대학교병원 외과에서 반대측에 대한 잔존 복막 초상돌기 개폐 여부를 복강경으로 확인한 환자 280명을 포함하여, 서혜부 탈장으로 고위 결찰술을 시행받은 만 15세 이하의 환자 601명을 대상으로 임상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환자의 성비는 3.8:1로 남아에서 호발하였고, 진단 당시의 발생부위는 오른쪽이 57.7%, 좌측이 32.1%, 양측이 10.1%였으며, 복강경으로 반대측 잔존 복막 초상돌기를 확인한 군의 결과도 유사하였다. 복강경으로 복막 초상돌기의 개방을 확인한 결과, 1세 이하에서는 25%, 1세에서 5세 이하에서는 29%, 5세 이상에서는 18%로, 복막 초상돌기의 자연 폐쇄를 확인 할 수 없었다. 편측 서혜부 탈장 수술 후 반대측 탈장이 생긴 경우는 14명(2.5%)이었으며, 복강경으로 반대측 잔존 복강 초상돌기의 개폐 유무의 확인이 가능했던 2003년 3월 이후에는 발견되지 않았다. 추적 기간 중 반대측 탈장이 생긴 경우, 1세 이하에서 증상이 나타난 경우와, 첫 증상이 왼쪽에서 생겼을 때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이는 일반적인 반대측 탈장 발생의 고위험군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