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하구에서 인공 구조물에 의한 수심 변화 : GIS 기반의 시.공간 평가

Water Depth Change Caused by Artificial Structures in Geum River Estuary: Spatio-Temporal Evaluation Based on GIS

  • Lee, Hyun-Hee (Department of Regional Information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Um, Jung-Sup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7.03.31

초록

본 연구는 금강하구에서 인공구조물 축조로 인해 야기된 수심 변화의 시 공간분포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1979{\sim}2004$년 해도로부터 수심 데이타를 추출하여 GIS환경에서 퇴적층의 변화추세가 평가되었다. 하구둑 전면과 장항항-군산내항 사이의 공사중인 인공섬 북측, 개야수로 일부, 대죽사주 등 대부분의 연구지역에서 1979년에 비해 2m이상 퇴적층이 쌓이면서 수심이 얕아진 경향이 나타나 하구역이 점점 더 퇴적작용이 우세한 환경으로 변이되는 것이 확인된다. 하구둑-군산내항 수역에서 수심이 얕아진 지역이 79%, 깊어진 지역이 21%로 이 구간의 퇴적양상이 가장 문제가 되고 있다. 하구둑을 통한 하천수의 유출이 진행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군산내항을 거쳐 개야수로에 이르는 하구 내측에 퇴적이 집중되고 있어 하구둑의 건설 이후에도 하천으로부터 퇴적물 공급이 완전하게 차단되지 않고 하천유로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하구 둑이 건설된 이후 연구지역에서 전체적으로 침식보다는 퇴적 작용이 우세하다는 기존의 연구에서 나아가 인공구조물과 연계되어 퇴적과정이 활성화되는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의 공간적 변이를 규명하였다. 결국 GIS 기반의 수심환경 평가가 기존의 미시적 인 데이터에 의거한 퇴적환경 연구결과를 객관화하고 정량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the water depth caused by artificial structures in Geum Estuary of South Korea. Water depth data set extracted from marine maps of 1979, 1990, 1996 and 2004 were used in a GIS to derive volumetric estimates of gains and losses of sedimentary material. Artificial structures caused above 2m in water depth to be shallow between 1979 and 2002 in the estuary system, particularly through disturbance of a natural transport in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The mutt significant change in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were observed in area affected by embankment for fresh water, inducing the water depth shallower than before in almost 80% of the area. This was probably because of an continuous abundant mud supply from coastal river oven after blocking the fresh water. The spatial analysis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area wide patterns of water depth change subject to many different type of artificial structures, which tanner be acquired by traditional field sampling. It is anticipated thai this research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to confirm the outputs from past field researches for sedimental process in more visual and quantitative manner.

키워드

참고문헌

  1. 군산지방해양수산청, 2003, 금강하구 수리현상 변화조사 보고서, (주)한국해양과학기술
  2. 김명배, 2002, 금강하구 해수역의 흐름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성환, 2005,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연안사주의 지형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0(4), 416- 427
  4. 김태인, 2002, 금강하구의 해수유동과 퇴적과정, 성균관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혜진, 2002, 인공 구조물이 해안 지형 형성에 미치는 영 향: 포항 송도 해안 지역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문정석, 2005, 해안구조물 주변의 해안선변화에 대한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의준.구자용, 2003,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안습지 지형 경관 변화 분석의 효율성 평가,' 대한지리학회지, 38(5), 822-834
  8. 서승원, 2004, '금강하구 퇴적변호 및 통행지장에 관한 후측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6(4), 224- 232
  9. 신문섭.이동주.김재형, 2005,' 하구둑 축조에 따른 흐름 특성에 관한 연구,' 공업기술연구, 5, 503-507
  10. 신명식, 2004, 금강하구의 지형과 조류변화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안봉호, 군산항 무엇이 문제인가, 전북일보, 2005년 4월 29일
  12. 안승섭.최윤영.이수식, 2002, '수공구조물이 하천환경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1(4), 309-317
  13. 이길영.지윤식.한천규, 2000, '금강하구 해양퇴적에 관 한 연구,' 대전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논문집, 19, 57-73
  14. 지윤식, 2000, 금강하구 표사이동 및 퇴적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최병호.강경구.이석우, 1989,' 금강하구의 조석 및 토사 이동,'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1), 31-43
  16. 최진용.최현웅.서만석, 1995,' 하구언 갑문폐쇄 후 금강 하구의 물리, 퇴적학적 특성변화,' 한국해양학회지, 30(4), 262-270
  17. Danika, P., Robin, G.D., Davidson, A., and Jeff, O., 2006, Controls on spatial patterns of sediment deposition across a macro-tidal salt marsh surface over single tidal cycle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9(1-2), 64-86 https://doi.org/10.1016/j.ecss.2006.04.019
  18. Ruessink, B. G., Houwman, K.T., and Hoekstra P., 1999, Medium-term frequency distributions of cross-shore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rates in water depths of 3 to 9 m, Coastal Engineering, 38, 25-46 https://doi.org/10.1016/S0378-3839(99)00023-X
  19. Weber, M. E., Stackelberg, U., Marchig, V., Wiedicke, M., and Grupe, B., 2000, Variability of surface sediments in the Peru basin, dependence on water depth, productivity, bottom water flow, and seafloor topography, Marine Geology, 163, 169-184 https://doi.org/10.1016/S0025-3227(99)00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