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평가 과정을 통해서 본 지리교사의 실천적 지식

Practical Knowledge of Geography Teacher in Process of Performance Assessment

  • 마경묵 (서울여의도여자고등학교)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이 연구는 수행평가 장면에서 교사의 평가를 이끈 실천적 지식이 무엇인지를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교수행위는 자신의 독특한 창작물이며 전문가로서 교사의 모든 역량과 지식이 표출되는 활동이다. 여기서 교사가 어떤 내용의 지식을 어떤 상황인식 하에서 어떤 방식으로 무엇을 이용해서 가르칠 것인가 등의 교사의 판단을 이끄는 지식, 즉 교사가 교실에서 수행하는 행위의 실천을 유도하는 지식을 실천적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교사의 수업을 바로 읽는데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인 교수-학습 활동과 마찬가지로 수업 상황 중에 평가가 이루어지고 학생들의 학습의 증진을 목표로 하는 수행평가 역시 평가 목표 설정, 평가 장면 구성, 평가 도구 개발, 평가 준거 개발, 평정 활동 등 모든 교사의 활동 역시 직전교육, 현장의 교수 경험, 일상에서의 경험, 연수 등을 통해 형성된 암묵적 지식인 실천적 지식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루어진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 지리교사의 사례 연구를 통해서 그 교사의 평가를 이끈 실천적 지식의 구조를 이미지, 원리, 규칙의 측면에서 파악해 보았다. 연구의 결과 드러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교사의 모든 의사결정 과정에서 어떤 방향을 잡아주는 안내자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런 관점에서 교사의 평가 행위를 봄으로써 교실에서 벌어지는 과정중심평가가 이루어지는 실제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practical knowledge of geography teacher that lead the teacher's conduct in performance assessment situation. In Classroom all activity of teachers is their unique creature and the behavior which express teacher's knowledge and competency as expert. Practical knowledge can be seen as a system of understanding that guides the teacher s decision, which involves the construction of contents to teach, methods of instruction, resources to use etc. Therefore if we fully read the teacher's instruction, we have to understand the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 As an ordinary activity of teaming and teaching, performance assessment is conducted on active learning and teaching situation and has intention to advance learning. Thus All evaluating behavior conducted by teacher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 For this purpose a series of performance assessment scenes conducted by teacher were selected observed and captured the imagery, principles and rules of practical knowledge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 supposed that practical knowledge influence the whole process of geography teacher's performance assessment activity.

Keywords

References

  1. 강용옥, 2000, '사회과 교육에서 발문전략 적용 실태 분석,' 시민교육연구, 30, 1-23
  2. 고영만.권영혁, 2002, '지식기반사회의 인문과학분야 지식 유형에 관한 담론,'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116-132
  3. 김원경.김용대, 2001, '수학 교사의 교육적 지식과 개념에 대한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11, 415-435
  4. 김자영, 2003, '초등교사의 수업 속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해: 초등 수학수업을 중심으로,' 초등교 육연구, 16(1), 141-159
  5. 김자영.김정효, 2003,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교사교육, 20(2),1-20
  6. 김혜숙, 2005, '지리과 교실수업연구를 위한 이론적 탐색: 교실수업연구 패러다임의 동향을 중심으로,' 한국 지리환경교육학회지, 13(2), 275-291
  7. 박도순.홍후조, 2006,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문음사, 서 울
  8. 박선미, 1999, '사회과 수행평가,' 고등학교 사회과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81-385
  9. 배정미, 2003, 초등교사의 개인적 실제적 이론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백순근, 2000, 수행평가의 원리, 교육과학사, 서울
  11. 서태열, 1996, '지리평가에서 과정중심 평가틀의 구성: profile중심의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지리환경교 육학회지, 4(1), 1-19
  12. 손민호, 2002, '교과내용으로서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해와 오해,' 교육과정연구, 20(3), 243-269
  13. 손병노, 1998. '사회과교사의 전문성 탐색-교수 내용지식의 관점에서,' 사회과교육학연구, 1(2), 110-127
  14. 엄태동, 1998, 교육적 인식론 탐구, 교육과학사, 서울
  15. 이간용, 2001, 지리교육의 지능 공정한 참 평가 모형개발 및 적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6. 이혁규, 2005, '교실 수업 과정의 연구 경향 검토,' 사회와 교육, 20, 115-140
  17. 정인성.나일주, 1989, 최신교수설계이론, 교육과학사, 서 울
  18. 조정수, 2001, '수학교사의 신념과 교실 규범 연구를 위한 문화기술지,'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12, 349-361
  19. 허경철.조덕주.소경희, 2001, '지식 생성 교육을 위한 지식의 성격 분석,' 교육과정연구, 19(1), 231- 250
  20. 허창범, 1996, '절차적 지식과 선언적 지식에 대한 연구,' 대불대학교논문집, 2, 111-130
  21. 홍미화, 2006,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 읽는 초등 사회과 수업,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2. Clandinin, d., 1985,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A Study of Teacher's Classroom Images, Curriculum Inquriy, 15(4), 361-385 https://doi.org/10.2307/1179683
  23. Driel, J.,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6-158
  24. Elbaz, F., 1983, Teacher Thinking: A Study of Practical Knowledge, Nichols, New York
  25. Fitzpatrick, J., Worthen, B,, and Sanders, J., 2003, Program Evaluation: Alternative Approaches and Practical Guidelines, Pearson, Boston
  26. Judith, A., 1996, Designing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 Handbook for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in an Era of Restructur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V-1, 1-3
  27. Marland, P., 1995, Implicit Theories of Teaching, in Anderson, L. W.(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2), 131-136
  28. McMillan, J., 1997,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 Allyn And Bacon, Boston
  29. Oakeshott, M., 1962, Rationalism in Politics, Methuen, London
  30. Patton, M.,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SAGE, Newbury Park
  31. Polanyi, M., 1958. Presonal Knowledge: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32. Ryle, G., 1949, The Concept of Mind, Barnes & Noble Inc., New York
  33. Scheffler, I., 1965, Conditions of Knowledg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34. Schön, D., 1983, Reflection Practitioner, Basic Books, New York
  35. Shulman, L. S, 1986, Paradigms and research programs in the study of teaching: A contemporary perspective,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3-36
  36. Tyler, R., 1973, Assessing Educational Achievement in the Affective domain, Measurement in Education, 4(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