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orecast Accuracies by the Localized Land Forecast Areas over South Korea

육상 국지 예보 구역의 예보 정확도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weather forecast accuracies of minimum temperature, maximum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ky cover by the localized land forecast areas over South Korea Average forecast accuracy score of precipitation was the lowest while that of sky cover was the highest during the study period Overall forecast accuracy scores for Gangwon-do was the lowest while those for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were higher than other areas. The frequencies of perfect forecast(eight points) by seasons, were the highest during winter and the lowest during summer. pressure pattern analyses for days when forecast accuracy scores were poor, showed that precipitation forecast accuracy scores were lower due to the movement of the stationary fronts during summers. When continental polar air masses expanded, forecast accuracy of temperature became greatly lower during autumns and winters As the migratory anticyclone pattern rapidly moved, forecast accuracy became lower during springs and autumns. Forecast accuracies were compared by wind directions at 850hPa for the Young-dong region where forecast accuracy was the lowest. Forecast accuracy scores on minimum and maximum temperatures were low when winds were westerlies and forecast accuracy scores of precipitation were low when winds were easterlies.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육상 국지 예보 구역을 대상으로 예보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평가 요소별 정확도는 강수 유무가 가장 낮았고 하늘 상태가 가장 높았다. 지역적으로 예보 정확도는 강원도에서 가장 낮았으며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에서 높았다. 계절별 예보 정확도의 만점 빈도는 겨울에 가장 높았고 여름에 가장 낮았다. 예보 정확도가 낮은 날의 기압 배치형을 분석했을 때 여름철에는 정체전선형 기압 배치에서 강수 유무의 예보 정확도가 낮았다. 가을과 겨울에는 한대 고기압 확장형 기압 배치에서 기온 예보의 정확도가 크게 낮아지는 경우가 많았다. 봄과 가을의 이동성 고기압형 기압 배치에서는 날씨가 급격하게 변하여 예보 정확도가 낮았다. 예보 정확도가 가장 낮은 지역인 영동 지역의 상층 850hPa 고도의 풍향 자료와 예보 정확도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최저 및 최고 기온은 서풍일 때, 강수 유무의 경우 동풍일 때 예보 정확도가 낮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웅.이동규, 1988, '한국의 강수확률 예보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4(3), 44-56
  2. 기상청, 2004, 예보업무규정, 기상청, 463-494
  3. 기상청, 2004, 예보업무지침서, 기상청
  4. 김용상.홍성길, 1996, ' 늦봄 또는 초여름에 영동지방에서 나타나는'유사 푄'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 학회지, 32(4), 593-600
  5. 박종권.최승태.전광용, 2004, 속초지방의 기온예보 가이 던스, 국지 기온예보 가이던스(I), 강원지방기상 청, 53-64
  6. 오주덕, 2001, '강수(미소량) 유.무 판단을 위한 기압계경 계 특성조사: 경상남북도 지방을 중심으로,'대기 (한국기상학회보), 11(1), 239-241
  7. 이삼수.박세택.김지언.조화형, 2004, 철원지방의 기온 예보 가이던스, 국지기온예보 가이던스(I), 강원 지방기상청, 3-15
  8. 이광주, 2005, '영동지방의 四季節예보,' 기상소식, 292, 13-14
  9. 이승호, 1995, '한반도 주변의 기압배치형에 의한 한국의 자연계절 구분,' 지리학연구, 26, 65-78
  10. 최정희.이용희.최준태, 2001, '3시간 예보제 지원을 위 한 한라 단시간 예측 시스템의 기온 예측 검증,' 대기(한국기상학회보), 11(1), 62-65
  11. Anthony, R. L. and Patrick, S. M., 2002, The application of a simple method for the verification of weather forecasts and seasonal variations in forecast accuracy, Weather and Forecasting, 17(4), 891-897 https://doi.org/10.1175/1520-0434(2002)017<0891:TAOASM>2.0.CO;2
  12. Charba, J. P., Reynolds, D. W., McDonald, B. E., and Carter, G. M., 2003, Comparative verification of recent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s in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A simple approach for scoring forecast accuracy, Weather and Forecasting, 18(2), 161-183 https://doi.org/10.1175/1520-0434(2003)018<0161:CVORQP>2.0.CO;2
  13. Mark, A. R., Scott, D., and Darrell, M., 2001, Extended Forecast Verification at the Weather Forecast Office at Nashville, Tennessee, NWA Electronic Journal of Operational Meteorology, EJ-1
  14. Thones, J. E., 1996, The quality and accuracy of a sample of public and commercial weather forecasts in the UK, Meteorological Applications, 3(1), 63-74 https://doi.org/10.1002/met.5060030107
  15. Thones, J. E. and Proctor, E. A. J., 1999, Persisting with persistence: The verification of Radio 4 weather forecasts, Weather, 54(12), 311-320 https://doi.org/10.1002/j.1477-8696.1999.tb0399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