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ical and Social Backgrounds and Inquiry into New Direc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실과 및 가정과 교육의 철학적, 사회적 배경 고찰과 미래 방향 탐색

  • Park, Soon-Ja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순자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Philosophical and social backgrounds and inquiring into new direc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is done through this paper. The overall review of the related documents, records, books has been done, and research findings are presented as follows; Thought(Educational theory and Philosophy) for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is based on Learning to Labor, Practical Science and Pragmatism. Korean curriculum for Home Economics were originated in Confucianism background, which stressed the importance of different gender roles for men and women. However, Korean Home Economics based on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has been developed without philosophical base unlike that of American Pragmatism and Critical Theory. Therefore, scientific recognition in a section of value recognition was separated and developed so far. Thus, we could not answer to social missions about keeping values of life corresponding with changing environment I also observed the analysis of revision curriculum of the mentioned subject, and the changes of concepts of Work and Prasix, necess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fixing about a basic life education and a basic life skill, and reinforcement of the function in Home. And then, new directions is proposed that th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chool be reinforced for the upcoming low birth rate and the aging society(high proportion of the aged people). Because Characters on correct values of children and youths might be nurtured in home foremost.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실과 및 가정과교육의 철학적 이론과 사회적 배경을 고찰하고 본 교과교육의 미래 방향을 탐색하였다. 우리나라의 실과교육의 근거가 되는 교육론(교육사상)과 철학으로는 노작교육론, 실학사상 및 실용주의(pragmatism)를 들 수 있고, 가정과교육에 영향을 미쳤던 우리나라 사상으로는 유교사상, 철학으로는 Pragmatism과 비판이론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 학교교육법 이전의 가정생활에 관한 교육은 주로 유교사상의 영향을 받아 여자가 교육받는 것을 꺼려하였고, 과거 학교교육에서도 가정과는 여자만의 교과라는 사회적 통념을 형성해왔다. 그러나 교육과정 성립 이후는 점차 미국 가정학의 영향을 받아 이론도 미국의 가정학에 기초하여 발전해왔다. 그러나 가정과의 모체가 되는 우리나라의 가정학은 미국과 다르게 Pragmatism과 비판이론과 같은 철학의 기반이 없는 상태에서 발전해왔기 때문에, 과학의 인식과 가치의 인식이 유리되어 학문으로서는 체재를 정비하여 발전해왔으나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해서 생활의 가치를 지킨다는 사회적인 사명에 답을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므로 최근 이 문제를 가정교육학에서는 비판이론을 적용하여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부분 개정된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경험과 실제생활에의 적용을 중시함으로써 구성주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실과 및 가정과의 성격과도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미래 방향에 관한 탐색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분석, 일과 실천의 개념 변화, 기본생활교육 및 기초생활기술의 정착을 위한 실과 및 가정과교육의 필요성, 가정의 기능 강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음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 학교교육에서 가정생활과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유일한 교과인 가정과의 역할은, 미래 저출산, 고령사회에는 더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