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 내 배설 및 목욕공간의 변천과 일상생활에 대한 미시적 고찰

A Microscopic Review on the Changes in Lavatory/Bathroom and Daily Lives in Korean Housing

  • 전남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소비자주거학과) ;
  • 양세화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학과) ;
  • 홍형옥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학과) ;
  • 손세관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
  • 은난순 (가톨릭대학교)
  • 발행 : 2007.02.25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e the changes in lavatory/bathroom and daily lives to clarify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the housing through everyday affairs and adjustment behaviors after the period of opening the port with microscopic perspectives. For the purpose, reviews were focused on hygiene and cleanliness in lavatory/bathroom and the changes in such areas. Secondly, how the process of conflict and settlement due to such changes had been approached since modernization was studied. Research method used were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the follows: From the perspective of 'hygiene' and 'cleanliness', which we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odernization, the lavatory/bathroom culture in traditional Korean housing might be considered very unsanitary and despicable. The actual problems encountered by the inhabitants, however, might be less significant than those discovered by the pioneers at that time. Despite such reality, housing adjustments through renovations of the bathrooms and lavatories by some classes implied the need for housing, which had been inhibited in themselves. Also it was found that the family conflicts due to cultural and life style differences existed in each time period.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축사. 1991.10월호. 통권270호. "우리네 생활에 맞는 집 합주거 설계- 서민아파트의 현장으로부터 본다"
  2. 김명선.이정우(2003), '中部地方家構法'에 대한 박길룡 의 평가와 개량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7) pp.161-169
  3. 김순일(1982), 개화기의 주의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6권 106호, pp.27-31
  4. 대한주택공사(1979), 대한주택공사 20년사
  5. 박길룡(1935), 朝蘇住힘을 어떻게 改良할까, 신동아, 5권 8호. pp.48-49
  6. 성춘식(1990), 이부자리 피이 놓고 암만 바래도 안 와, 뿌리깊은 니무 민중 자서전
  7. 손세관(2001), 서울 20세기 주거환경의 변천, 서울 20세기 공간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p.225-315
  8. 야롭 블루메 저, 박정미 역(2005), 화정실의 역사, 이룸
  9. 여원, 1963.7
  10. 이규숙(1984), 이 '계동마님' 이 먹은 여든살, 뿌리깊은나무
  11. 이규태(1968), 개화백경(42), 조선일보 1968.9.17
  12. 이동범(2000), 자연을 꿈꾸는 뒷간, 들녘
  13. 임창복(1989), 근대화와 주거문화의 변동, 공간, 통권 262 호. 1989.6월, pp.110-117
  14. 전남일(2003), 문명화이론을 통해 본 개항기의 주거와 그 근대성의 재조명,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pp.25-40
  15. 전완길 외(1995), 한국생활문화 100년, 도서출판 장원
  16. 정경숙.신경주(1993), 우려나라 변소의 역사적 변천과 그 현황, 한국주거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4권, pp.28-32
  17. 조정래(1995), 아리랑, 제1권 3장
  18. 조혜정 외 6인(1997), 성, 가족, 그리고 문화-인류학적 접근-, 서울:집문당
  19. 최재필(2001), 서울주거의 사회문화적 특성, 서울 20세기 생활문화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 홍형옥(1992), 한국주거사, 민음사
  21. 홍형옥(2005), 근대이후 한국주거의 미시사를 보는 다양 한 시각, 근대이후 삶과 주거변화, 2005 심포지움자료집, 가톨릭대학교 한국근현대연구팀, pp.1-25
  22. 현대주택(1978.6), 아파트 열쇠를 건 아이들, pp.336-342
  23. 현대주택(1987.8), 아파트에 함께 사는 시부모와 며느리 정신질환 늘고 있다, pp.206-211
  24. A. Rapoport(1969), Housing Form and Culture, PrenticeHall. Inc
  25. H. B. 드레이크 지음(1930). 신복룡.장우영 역주(2000), 한말 외국인기록 23; 일제 시대의 조선생활상, 집문당
  26. I. B. 비숍(1897). 신복룡 역주(2000), 한말 외국인 기록 21: 조선과 그 이웃나라들, 집문당
  27. Morris, E.W. & Winter, M.(1978), Housing, Family, and Society. New York: Hohn Wil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