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Change of Construction Type for the Non-national Forest Road in Jeollabuk-do

전라북도 민유임도의 시기별 공종변화에 관한 연구

  • Son, Jae-Ho (Dep. of Forestry,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ong-Min (Faculty of Forest Scine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Joon-Woo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손재호 (전북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 박종민 (전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 이준우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Received : 2007.08.28
  • Accepted : 2007.11.01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onstruction types of 216 non-national forest roads, which were completed between 1989 and 2005 in Jeollabuk-do, by analyzing their drawing and specification. It was found that the mean length of yearly construction has been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e Policy of Green Forest Roads compared with before the policy. Soil cut-off of earth work was changed from bulldozer to a combination of bulldozer and excavator. Soils were transported by truck in all design, but establishment of spoil-bank was not designed at all. The design of slope revegetation works was developed from turfing and Bastard indigo planting to seed spray, combination of seed spray and belt-sodding, and mulching with coir net and rice straw. In design of the culvert, the average interval of culvert installation was reduced to 92m in step 3, the dimension of culverts was expanded to over 600 mm after step 2, and all drainpipes were corrugated steel pipes. The design length of concrete pavement increased from 40 m/km of step 1 to 240 m/km of step 3. Thanks to the enormously increased amount of concrete pavement, the s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forest roads could be improved. Stone masonry was the main work drawn for slope stability, and concrete retaining wall and gabion have been drawn for same object since 1999.

1989년부터 2005년까지 시공된 전라북도 내의 민유임도 216개 노선의 설계도서를 대상으로 임도 설계상의 주요 공종변화를 분석하였다. 전라북도의 연평균 민유임도 시설거리는 녹색임도 정책 시행 이전단계에 비해 녹색임도 정책 시행 이후 대폭 감소하였다. 토사절취작업은 1990년부터 블도저에서 블도저와 굴삭기 혼용으로 바뀌었다. 비탈면 녹화공은 초기에는 잔디심기와 족제비싸리심기가 주종을 이루었는데, 녹색임도정책 시행단계(2단계)부터 종자뿜어붙이기와 줄파종의 혼용, Coir net 또는 볏짚거적 덮기 등으로 발전하였다. 횡단배수관의 경우, 배수관의 설치 간격은 3단계에 평균 92 m로 감소하였고, 규격은 2단계 이후에 대부분 600 mm 이상으로 확대되었으며, 재료는 모두 파형강관으로 설계되었다. 콘크리트포장은 1단계의 평균 40 m/km에서 3단계에는 240 m/km로 현저히 증가하여 임도의 안정성과 기능성이 제고되었다. 비탈안정구조물은 석축이 주종을 이루고 있지만, 1993년 이후부터 콘크리트옹벽과 돌망태옹벽 등도 많이 설계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요 공종을 대상으로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원. 2000. 환경친화적인 녹색임도의 설계 및 관리방 향. 환경친화적인 녹색임도 심포지엄 발표집. p. 95-117
  2. 김주백. 2004. 충청남도 민유임도에 적용된 공종의 변화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분. p. 1-3
  3. 농림부(이준우, 송호경, 박종민). 2004 화강암질 풍화토 비탈면의 녹화를 위한 식혈기계 및 종자배합기술 개발 에 관한 연구 pp. 247
  4. 박종민. 2002. 일본 구주대 신캠퍼스 개발지구에 적용된 개발훼손지의 원생림 복원기술에 관한 고찰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3): 50-57
  5. 박종민, 이상현, 황상국. 2003. 전라북도 민유임도의 환 경 친화성 평 가에 관한 분석 - 전북대학교 농대논문집 34: 13-28
  6. 박종민, 이준우, 지병윤. 2006. 미국 비포장 임도에서 속 도랑의 설치요령 및 크기 결정. 산림공학기술 5(1): 45-57
  7. 산림조합중앙회. 2000. 환경친화적인 녹색염도 시설에 관한 연구. p. 244
  8. 산림청. 1995. 임도시설규정(산림청 예규 제 435호) 산림 청규정집 pp. 1041-1086
  9. 산림청. 2006.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동 법 시행규칙(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 http:/ /www.foa.go.kr
  10. 산림청 2004 환경친화적 녹색임도 시공관리 매뉴얼. p. 479
  11. 산립청. 2005. 임업통계연보. p. 482
  12. 손재호, 박종민. 2006. 전라북도 민유임도 신설사엽의 설 계시공 변화에 관한 분석 -임도 시설비플 중심으로-. 산림공학기술 4(3): 183-197
  13. 우보명. 1997. 개정 임업토목공학. 향문사. p. 172-174
  14. 이장수. 2000. 환경친화적인 녹색임도 시설방만. 환경친 화적인 녹색임도 심포지엄 발표집. p. 79-93
  15. 이종찬. 2001. 임도정책의 변천과 임도의 환경친화성 평 가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p.36
  16. 이준우, 박범진. 1998. 임도공사시 굴착기를 띠용한 토 공작업의 공종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7(1): 82-89
  17. 이해주. 1999. 임도 측구의 침식요인 평가 및 예측에 관 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34
  18. 최건호, 박종민. 2005. 저규격 고립지역 도로 개설공사 와의 비교를 통한 임도의 발전방안 고찰. 산림공학기술 3(3): 208-226
  19. 허경태. 2000. 환경친화적 녹색임도정책 추진방향 및 내 용 환경친화적인 녹색임도 섬포지엄 발표집. p. 29-37
  20. Park, C.M. and Lee, S.H. 2002. Developmental courses of policy and environmental soundness assessment within forest roads in South Korea. Proc. Int. Seminar on New Roles of Plantation Forestry Requiring Appropriate Tending and Harvesting Operations. Tokyo, Japan. p. 540-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