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동해에서 채집된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ea, Korea

  • 이해원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
  • 강용주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
  • 허성회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 백근욱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Lee, Hae Won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ang, Yong Joo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Huh, Sung-Hoi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Baeck, Gun Wook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6.10.01
  • 심사 : 2007.02.05
  • 발행 : 2007.03.31

초록

도루묵의 식성을 조사하기 위해 강원도 삼척 연안해역에서 기선저인망을 이용하여 2003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 매월 채집된 2,115개체의 도루묵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도루묵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단각류(Amphipoda)였으며, 다음으로 곤쟁이류(Mysidacea), 두족류(Cephalopoda), 어류(Pisces)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그 밖에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 난(Eggs), 이매패류(Bivalvia), 선형동물(Nematoda), 해초류(Seagrass) 등도 도루묵의 위내용물 중에서 발견되었으나, 그 양이 매우 적었다. 도루묵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 조성의 변화를 보였는데, 가장 작은 크기군인 체장 9~10 cm 크기군에서는 곤쟁이류와 단각류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도루묵의 크기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체장 16~23 cm 크기군에서는 단각류의 점유율은 더욱 증가하였으며, 두족류와 어류의 점유율이 증가하였다.

The feeding habits of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were studied by examining the stomach contents of 2,115 specimens collected between April 2003 and March 2004 in the East Sea of Korea. The standard length (SL) of the specimens ranged from 9.8 to 22.9 cm. The main prey items of A. japonicus were amphipods, mysids, cephalopods and fishes. They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Individuals of small size (9~16 cm, SL) fed mainly on small prey organisms such as mysids and amphipods. However, more cephalopods and fishes were consumed with increasing fish size (16~23 cm, SL).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수산과학원. 2001. 한국새우류도감. 한글그래픽스, 223 pp
  2. 김익수. 최 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 pp
  3. 명정구. 김종만. 김용억. 1989. 실험실에서 사육한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 (Steindachner)의 난발생 및 자치 어의 형태. 한국수산학회지, 22 : 129-137
  4. 백근욱. 허성회. 2004. 여수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개서대 (Cynoglossus robustus)의 식성. 한어지, 16(4) : 341- 347
  5. 서호영. 곽석남. 2005. 여수 소리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군 평선이(Hapalogenys mucronatus)의 식성. 한국어류학회 지, 17(4) : 258-263
  6. 윤창호. 2002. 한국어류검색도감. 아카데미서적, 747 pp
  7.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727 pp
  8. 최수하. 전영렬. 손송정. 서학근. 1983. 한국 동해산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의 연령, 성장과 성숙. 수진연구보고, 31 : 7-19
  9. 허성회. 1997. 꼼치(Liparis tanakai)의 식성. 한어지, 9(1) : 71 -78
  10. 허성회. 곽석남. 1997a.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실고기 (Syngnathus schlegeli)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0(5) : 896-902
  11. 허성회. 곽석남. 1997b.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의 식성. 한어지, 9(2) : 221-227
  12. 허성회. 곽석남. 1997c. 배도라치 (Pholis nebulosa)의 식성. 한어지, 9(1) : 22-29
  13. 허성회. 곽석남. 1998a.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농어 (Lateolabrax japonicus)의 식성.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4 (2) : 191-199
  14. 허성회. 곽석남. 1998b.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볼낙 (Sebastes inermis)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1(2) : 168- 175
  15. 허성회. 곽석남. 1998c.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1(3) : 372-379
  16. 허성회. 곽석남. 1998d.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줄망둑 (Acentrogobius pflaumii)의 식성. 한어지, 10(1) : 24-31
  17. 허성회. 곽석남. 1998e.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복섬(Takifugu niphobles) 유어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1(6) : 806-812
  18. 허성회. 박주면. 백근욱. 2006. 남해에 출현하는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9(1) : 35 -41 https://doi.org/10.5657/kfas.2006.39.1.035
  19. 허성회. 백근욱. 2003. 고리 연안에서 채집된 용가자미(Hippoglossoides pinetorum)의 식성. 한어지, 15(3) : 157- 161
  20. Baik, K.K., Y.I. Rho, Y.S. Chung, Y.T. Hwang and G.E. Hong. 1989. The artificial seed production of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Steindachner).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43 : 145-156. (in Korean)
  21. Morato, T., E. Sola, M.P. Gros and G. Menezes. 2003. Diets of thornback ray (Raja clavata) and tope shark (Galeorhinus galeus) in the bottom longline fishery of Azores, northeastern Atlantic. Fish. Bull., 101 : 590-602
  22. Morioka, T. 2002. The diet of Japanes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larvae and juveniles reared in a net-cage with a plankton-alluring lamp. Nippon Suisan Gakkaishi, 68(4) : 526-533 https://doi.org/10.2331/suisan.68.526
  23. Nakai, T., M. Sano and H. Kurokura. 2001. Feeding habits of the darkfin hind Cephalipholis urodeta (Serranidae) at Iriomote Island, southern Japan. Fish. Sci., 67 : 640-643 https://doi.org/10.1046/j.1444-2906.2001.00300.x
  24. Nishimura, S. 1992. Guide to Seashore Animals of Japan with Color Pictures and Keys Vol. II. Hoikusha Press, Tokyo, 663 pp. (in Japanese)
  25. Okiyama, M. 1970. Studies on the population biology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Steindachner) II. Population analysis (Preliminary report). Bull. Jap. Sea. Reg. Fish. Res. Lab., 22 : 56-69
  26. Pinkas, L., M.S. Oliphant and I.L.K. Ive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 1-105
  27. Takeda, M. 1982. Keys to Japanese and Foreign Crustaceans. Hokuryukan Press, Tokyo, 284 pp. (in Japanese)
  28. Watanabe. H., T. Kubodera, S. Masuda and S. Kawahara. 2004. Feeding habits of albacore Thunnus alalunga in the transition region of the central North Pacific. Fish. Sci., 70 : 573-579 https://doi.org/10.1111/j.1444-2906.2004.0084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