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e of Time of Concentration for Stream at Island near Coastal Region

연안도서지역 소하천 유역의 홍수도달시간 산정

  • 정연중 (인천대학교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
  • 최계운 (인천대학교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
  • 한만신 (인천대학교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
  • 정상만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After installing calibrated depth scale at 11 different points inside the nine streams network for estimating time of concentration of stream in Young-Heung island near coastal region of Incheon we estimated the flow against actual rainfall events. By considering time of concentration formula which here mainly used for estimating the time of concentration from practical experiments, compared were three methods of inflow time and accepted to method of used the chart. The maximum flow occurrence time was estimated by an outflow model and observed maximum flow occurrence time were determined by to a comparative analysis. Kirpich formula was selected as the proper formula for calculating the concentration time inside the island streams. Kirpich formula could be applicable for the expanded range while catchment area of $0.453km^2$ and channel bed slope of $3{\sim}5%$ to catchment area of $2.0km^2$ and channel bed slope of about 1.5%.

인천연안도서지역 소하천의 홍수도달시간을 산정하기 위하여 영흥도의 9개 소하천을 대상으로 11개 지점에 수위표를 설치하고 실제 강우사상에 대하여 유량을 산정하였다. 실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홍수도달시간공식을 이용하여 유량산정 지점별 홍수도달시간을 산정하였으며, 유입시간을 고려하기 위하여 3가지 방법으로 비교하였고, 도표에 의한 방범을 채택하였다. 유출모형을 이용하여 산정된 첨두홍수량 발생시간과 관측된 첨두유량 발생시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안도서지역에 적합한 도달시간공식으로 Kirpich공식을 채택하였으며, 통상적으로 알려진 Kirpich공식의 적용범위가 유역면적 $0.453km^2$이하로 하도경사 $3{\sim}5%$까지 였으나, 본 연구를 통하여 유역면적을 $2.0km^2$까지 확대하고 유역면적 증가에 따라 하도경사도 1.5%까지 확대 사용 가능하도록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진 (2000) 도달시간 산정공식의 입력변수 적용 범위 및 민감도 분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 건설교통부 (2005) 하천설계기준
  3. 심기오, 이철규 (2000) 산지 소유역의 도달시간 결정에 관한 고찰.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239-244
  4. 심재현, 조원철 (1998) 홍수도달시간과 임계지속시 간의 개념 비교(I), 한국수자원학회지, 제13권, 제5호, pp. 115-130
  5. 안상대 (2002) 하천유역에서 홍수 도달시간 산정방법의 민감도 분석, 석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6. 유근상 (2003) 소하천 유역의 지형요소를 고려한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도달시간에 대하여, 석사학위논문, 진주산업대학교
  7. 장성모 (2003) 유역인자 및 강우인자를 고려한 임계 지속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8. 하수용 (2003) 임계지속기간을 고려한 소유역의 최적 홍수량 산정에 관한 연구 : 경기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9. 허창환 (1992) 하천유역의 홍수도달시간에 관한 기초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10. 행정자치부 (1999) 소하천시설기준
  11. Kirpich, T.P. (1940) Time of concentration of small agricultural watersheds. ASCE, Vol. 10, pp, 362
  12. McCuen, R.H., Wong, S.L. (1984) Estimation Urban time of Concentration. Journal of hydrology., ASCE, Vol. 110, No.7, pp. 887-904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84)110:7(887)
  13. Pilgrim, D. H. (1976) Isochrones Travel Time and Distribution Flood Storage from a Tracer Study on a Small Watershed.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3, No.3, pp. 587-595 https://doi.org/10.1029/WR013i003p00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