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zonation on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at a Model Area in Seoul Using GIS

GIS를 이용한 서울 시범 지역에서의 부지고유 지진 응답의 정밀구역화

  • 선창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 천성호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 ;
  • 장의룡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정충기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As computer technology has been rapidly advanc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recently used in many disciplines. In this study, for a model area in Seoul, seismic hazard potential relating to site effects, which are influenced by the subsurface geotechnical conditions, was estimated using the GIS tool. The distribution of pre-existing borehole drilling data in Seoul metropolitan area was examined for the regional estimation of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s at the model area. Spatial geo-layers across the entire model area were predicted by constructing a GIS-based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GTIS). A microzonation of site period $(T_G)$ for estimating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s at the model area was performed within the GTIS. The spatial microzoning map of $T_G$ indicated seismic vulnerability of two- to four-storied buildings in the model area. Furthermore, a site classification map for determining the design ground motio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T_G$ within the GTIS. This informed that most of location in the model area was categorized into current site classes C and D. This seismic microzonation framework for the model area could be applicable particularly in the entire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pre-existing borehole data.

컴퓨터 기술이 급속히 발전됨에 따라, 최근에는 많은 분야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이 활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 내의 한 시범 지역을 대상으로 지하 지반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는 부지 효과에 관련된 지진피해 가능성을 GIS 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시범 지역에서의 지역적 부지고유 지진 응답의 평가를 위하여 서울 대도시 지역에 대한 기존 시추 조사 자료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GIS 토대의 지반 정보 시스템(GTIS)을 구축하여 시범 지역 전체에 대한 공간 지층 정보를 예측하였다 서울 시법 지역의 부지고유 지진응답 예측을 위한 부지 주기$(T_G)$의 정밀구역화를 GTIS 내에서 수행하였다. 공간 분포 정밀구역화 지도로부터 시범 지역 내 2 층에서 4 층 건물들의 지진 취약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GTIS 내에서 $T_G$ 분포를 토대로 설계 지반 운동 결정을 위한 지반 분류 지도를 작성하였으며, 그로부터 대상 시범 지역 부지의 거의 대부분이 현행 지반 분류 C 와 D로 분류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서울 시범 지역에 대한 지진 정밀구역화 적용 구조 체계는 특별히 기존 시추 자료를 활용하여 대도시 서울 지역 전체에 대해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97) 내진설계기준연구(II), 한국지진공학회
  2. 건설교통부 (2002) 국도건설 종합지반정보 DB구축 및 활용시스템 개발. 완료보고서
  3. 서울대학교 (2002) 웹기반 지반정보시스템의 지반공학적 기능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
  4. 선창국, 양대성, 정충기 (2005) 서울 평야 지역에 대한 부지 고유의 지진 중폭 특성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제9권, 4호, pp. 29-42 https://doi.org/10.5000/EESK.2005.9.4.029
  5. 선창국, 정충기 (2006) GIS를 이용한 지반-지식 기반 지반 정보호 시스템 구축 기법의 개발 및 적용,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22권, 제2호, pp. 55-68
  6. 윤종구 (2006) 국내 지반 특성에 적합한 지반분류 방법 및 설계응답스펙트럼 개선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원
  7. 천성호. 선창국, 정충기 (2005) 지반 정보화를 위한 지구 통계학적 방법의 적용,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5권, 제2C호, pp. 103-115
  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2) 충남 지진대비 종합대책 수립 연구. 충청남도
  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7) 지진자료실, http://www.quake.kigam.re.kr, 2007년 1월 23일 접속
  10. Autodesk (2006) AutoCAD 2007 Manuals and Applicstion Books
  11. CTech (2006) EVS/MVS Manuals, Version 8.2
  12. Fah, D., Kind, F., Lang, K and Giardini, D. (2001) Earthquake scenarios for the city of Basel,"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Vol. 21, No.5, pp. 405-413 https://doi.org/10.1016/S0267-7261(01)00023-9
  13. ISSMGE (999) Manual for Zonation on Seismic Geotechnical Hazards. Revised Version, Technical Committee for Earthquake Geotechnical Engineering, TC4, International Society for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14. Kim, D.S., Chung, C.K, Sun, C.G. and Bang, E.S. (2002) Site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spatial earthquake ground motion of Kyeongju,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Vol. 22, No.5, pp. 371-387 https://doi.org/10.1016/S0267-7261(02)00023-4
  15. Kunapo, J., Dasari, G.R., Phoon, K.K and Tan, T.S. (2005) Development of a web-GIS based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ASCE, Vol. 19, No.3, pp. 323-327 https://doi.org/10.1061/(ASCE)0887-3801(2005)19:3(323)
  16. NIBS (2002) A Guide to Using HAZUS for Mitigation, 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s,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17. Sun, C. G. (2004)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and Site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for Earthquake Ground Motions at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8. Sun, C.G. and Chung, C.K (2006) Site effects of shallow and wide basin based on 2-dimensional modeling within spatial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Taipei, CD-ROM, Paper No. 252
  19. Sun, C.G., Kim, D.S. and Chung, C.K (2005) Geologic site conditions and site coefficients for estimating earthquake ground motions in the inland areas of Korea, Engineering Geology, Vol. 81, No.4, pp. 446-469 https://doi.org/10.1016/j.enggeo.2005.08.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