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tical Study on the Ultimate Strength of Concrete Poles

콘크리트 전주의 극한강도에 관한 해석적 연구

  • 신동근 (선문대학교 토목공학과) ;
  • 윤기용 (선문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승현 (선문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규세 (선문대학교 토목공학과) ;
  • 강영종 (고려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In this study, a program based on the P-M interaction curve is developed to calculate the nominal strength of concrete pole. Using this, it is verified to compare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nominal strength$(M_n)$ of concrete pole is calculated. It is less than the rupture strength$(M_r)$ of the design standard. Thus, to increase nominal strength, several parameters are selected like as size of tension and reinforced bars, position of those, number of reinforcement bars, thickness of concrete pole, and diameter of it. The effects of those are analysed in the study. It is supposed that section of concrete pole are satisfied rupture strength.

본 연구에서는 전주의 공칭강도를 계산하기 위해 이론적 방법에 의해 P-M상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연구와 검증하고 전주의 공칭강도$(M_n)$를 산정하였다. 설계기준에 제시된 파괴강도$(M_r)$와 본 연구에서 산정한 전주의 공칭강도$(M_n)$를 비교 분석한 결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주의 공칭강도가 설계기준$(M_r)$보다 작게 산정되었다. 따라서 공칭강도 증대를 위해 인장근/보강근의 지름 증가, 보강근의 개수 증가, 인장근의 위치변화, 전주의 두께 변화 등의 매개변수를 선정하여 선정된 매개변수를 고려한 전주의 공칭강도$(M_n)$를 설계기준의 공칭강도$(M_n)$와 비교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만 (2005) 철근 콘크리트. 양서각
  2. 산업표준심의회 (1998) KS D 3503(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3. 산업표준심의회 (2001) KS D 3504(철근 콘크리트 봉강)
  4. 산업표준심의회 (2002) KS D 3505(PC강봉)
  5. 산업표준심의회 (2002) KS F 4304(프리텐션 방식 원심력 PC전주)
  6. 신현묵 (200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동명사
  7. 이재훈 (2002) 내진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석사학 위논문, 영남대학교
  8. 정인근 (2005) SRC 합성기둥의 P-M상관도 분석을 위한 실험. 대한 토목학회논문집, pp. 555-563
  9. 한국전력공사 (2001) 한전표준구매시방서(ES). pp. 1002-128-617
  10. 한국전력공사 (2005) 설계기준3100 배전편 지지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