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Fertility and its Policy Implications

최근의 출산력과 정책적 함의

  • Published : 2007.12.25

Abstract

Total fertility rate (TFR) increased from the lowest 1.08 in 2005 to 1.13 in 2006, and a debate is made whether the increase is temporary or continuous as a result of various pro-natal policies.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policy implications revealed in recent fertility change using vital statistics. For this purpose, tempo-adjusted fertility rate by birth order, fertility rate by age of mother and birth order, age-specific fertility for married, and age-specific divorce rate for married are analyzed. The increase of TFR and births for 2006 is largely due to increase of first births at early thirties with slowdown of delayed first marriage and first child birth. The increase of female population (the third wave effect of baby boom) and first marriages of late twenties in 2006 and 2007 would lead to increase of fertility during 2007-2008. But further increase is uncertain because of the decrease trend of marital fertility and increase trend of never-married for twenties. TFRs for first and second births reduced rapidly, while TFRs for third and above births showed no changes, and second births were largely affected by tempo adjustment of fertility. Thus, constructing social environment for first and second births is more effective and necessary than encouraging third births. In addition, social responsibility of child care, child-women health issues due to delayed births, and the need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ystem are discussed.

합계출산율이 2005년 1.08이라는 최저치에서 2006년 1.13으로 증가하면서, 이 증가가 각종 정책의 결과이기 때문에 출산력 증가가 지속될 것이라는 주장과 일시적일 것이라는 주장 간 논란이 있다. 이 연구는 인구동태신고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의 출산력 변화를 집중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정책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출산순위별 템포조정합계출산율, 모의 연령 및 출산순위별 출산율, 연령별 유배우 출산율, 연령별 유배우 이혼율 등을 분석하였다. 전년대비 2006년 합계출산율과 출생아수가 증가한 것은 여성의 초혼과 첫째아 출산의 연기가 주춤해지면서 주로 30대 초반의 첫째아 출산 증가에 기인한다. 2006년과 2007년에는 20대 후반 여성인구의 증가(제3차 베이비붐 효과) 및 초혼의 급증으로 2007년과 2008년에는 출생아수가 증가할 것이다. 다만, 20대의 미혼율은 증가하구 유배우 출산율은 감소 추세이어서 장기적 관점의 출생아수 및 출산율 증가는 미지수이다. 또한, 첫째아와 둘째아의 출산율은 급속도로 저하되는데 반해, 셋째아 이상은 변화가 없으며, 둘째아 출산이 출산연령조정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셋째아 이상을 출산하도록 장려하는 것보다는 첫째아, 둘째아를 낳을 수 있는 사회적 환경 조성이 더 필요하고 현실적임을 시사한다. 아울러, 사회적 양육대책 마련, 고령출산에 따른 모자보건문제, 다문화가정지원책 필요성 등을 언급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선영 (2006) '경제위기 이후 인구학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기혼 여성의 출산에 미친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19(1): 119-149
  2. 김두섭 (2005) '한국의 제2차 출산력 변천과 그 인과구조' <인구와 사회>1 (1): 23-53
  3. 김두섭 (2007) 집문당
  4. 김태헌 (2005) '가치관 변화와 저출산' <보건복지포럼 통권> 102: 16-24
  5. 김태헌. 이삼식. 김동희 (2006) '인구 및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인구센서스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9(1): 1-23
  6. 김현숙. 류덕현. 민희철 (2006) <장기적 인적자본 형성을 위한 조세. 재정정책: 출산율 결정요인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한국조세연구원
  7. 보건복지부 (2007a) '금년도 저출산 3.4조원. 고령사회대비 3.9조원, 총 7.3조원 지원키로-정부와 지방자치단체 팔 걷고 나선다' 1. 31. 보도자료
  8. 보건복지부 (2007b) '출생아수 및 합계출산율 당초 예상보다 크게 증가' 5.8. 보도자료
  9. 보건복지부 (2007c) '선천성이상아 조사 결과' 5. 17. 보도자료
  10. 유삼현 (2006) '지역별 차별출산력의 분석: 저출산 인과구조의 이해' <인구와 사회> 2(2): 53-76
  11. 은기수 (2001) '결혼연령 및 결혼코호트와 첫 출산간격의 관계' <한국사회학> 35(6): 105-139
  12. 은기수 (2004) <가치관과 혼인 및 출산 전국가족조사에 따른 한국가족의현실과 정책전망> 여성부
  13. 이삼식 외 (2005)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전광희 (2002) '출산력' pp.81-113 김두섭. 박상태. 은기수 편 <한국의 인구> 통계청
  15. 전광희 (2006) '한국의 혼인력과 출산력: 추이와 전망' <통계> 대한통계협회 32(1/2): 60-90
  16. 통계청 (2006) <장래인구추계>
  17. 통계청 (2007a) <2006년 인구동태통계연보(총괄. 출생 .사망편)>
  18. 통계청 (2007b) <2006년 인구동태통계연보(혼인. 이혼편)>
  19. 통계청 (2007c) <2006년 주민등록인구통계연보>
  20. Bongaarts, John and G. Feeney (1998) 'On the quantum and tempo of fertilit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4(2): 271-291 https://doi.org/10.2307/2807974
  21. Bongaarts, John (1999) 'The fertility impact of changes in the timing of childbearing in the developing world' Population Studies 53 (3): 277-289 https://doi.org/10.1080/00324720308088
  22. CSOI(Central Statistics Office Ireland, Department of the Taoiseach(Prime Minister)) (2007) http://www.cso.ie/census
  23. Choe, Minja Kim, Larry L. Bumpass and Noriko O. Tsuya (2004) 'Employment' pp. 95-113 in Marriage. Work and Family Life in Comparative Perspective, edited by Norik. O Tsuya and Larry L. Bumpass. Honolulu. HI: University of Hawaii Press
  24. Choe, Minja Kim R. Retherford and S. K. Kim (2004) 'Very low fertility in South Korea: Patterns and Prospects' Paper presented at the 2004 Annual Meeting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25. Choe, Minja Kim and Kyung Ae Park (2006) 'Fetility decline in SouthKorea: Forty years of policy-behavior dialogu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9(2): 1-27
  26. Kohler, Hans-Peter, F. C. Billiari and J. A. Ortega (2002) 'The emergence of lowest-low fertility in Europe during the 90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8(4): 641-680 https://doi.org/10.1111/j.1728-4457.2002.00641.x
  27. Lee, Jungmin and Myungho Paik (2006) 'Sex preferences and fertility in South Korea during the year of the horse' Demography 43(2): 269-292 https://doi.org/10.1353/dem.2006.0015
  28. Park, Kyung Ae (2006) 'Fertility decline in Korea: Trends, determinants, and policy implications' Population and Society 2(2): 77-113
  29. Statistics Bureau.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Japan (2007) http://www.stat.go.jp
  30. Census Bureau. US Department of Commerce (2006) http://www.census.gov
  31. Yi, Zeng and Kenneth Land (2001) 'A sensitivity analysis of the Bongaarts-Feeney method for adjusting bias in observed period total fertility rates' Demography 38(1): 17-28 https://doi.org/10.1353/dem.2001.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