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sory and Quality Evaluation of Aseptic-Packaged Cooked Rice by Cultivar

벼 품종에 따른 무균포장밥의 식미특성 및 품질 변이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We carried out this experiment on the purpose to investigate the quality properties of aseptic-packaged cooked rice by cultivars in 2006. Brown rice was milled for white rice to 89.6% weight of it. Based on cluster analysis of acceptance of sensory evaluation, eleven rice cultivars of 29 cultivars had superior palatability. Whiteness(r=0.42, p<5%), lightness(r=0.39, p<5%), Toyo value(r=0.35, p<10%), and moisture content(r=0.33, p<10%) of milled rice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acceptability. Protein content(r=-0.40, p<5%), expansion rate(r=-0.68, p<1%) and water absorption rate(r=-0.42, p<5%) of milled rice, and yellowness(r=-0.45, p<5%) of aseptic-packaged cooked ri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In sensory evaluation,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aste and texture with acceptabil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appearance and flavor. During storage, hardness and cohesiveness of aseptic-packaged cooked rice before reheating were increased and decreased, but those after reheating had no difference based on storage period and cultivar. On the contrary, whiteness of reheated aseptic-packaged cooked rice with no distinct differences before reheating was decreased during stor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xture property, color characteristics and moisture contents by cultivar during storage.

1. 무균포장밥의 종합적 식미에는 외관과 항보다 맛과 조직감의 상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벼 품종별로 무균포장밥의 종합적 식미를 군집분석 한 결과 고품벼, 일품벼, 주남벼, 호평벼, 새추청벼, 상미벼, 삼백벼, 평안벼, 화성벼, 대안벼 및 남평벼가 식미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원료쌀 및 무균포장밥의 품질특성이 식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백미의 백도, 명도, 수분함량 등과는 정의 상관을 보이고 팽창용적 및 단백질 함량, 무균포장밥의 황색도 등과는 부의 상관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4. 저장기간에 따라 무균포장밥의 경도는 증가하고 응집성은 감소하나, 일단 가열을 한 뒤에는 유의한 물성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벼 품종 간에 무균포장밥 저장기간에 따른 유의한 품질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금준석, 이창호, 이상효, 이현유. 1995. 무균포장밥의 저장중 품질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27(4) : 449-457
  2. 금준석, 이창호, 이상효, 이현유. 1996. 무균포장밥의 Microwave Reheating 후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28(3) : 528-537
  3. 김영두, 하운구, 송유천, 조준현, 양은인, 이재길. 2005. 쌀의 물리적 특성과 식미와의 상관. 한국작물학회지 50(1) : 24-28
  4. 김상숙. 2005. 학교, 전문회사, 그리고 연구기관에서의 관능검사, 식품과학과 산업 38(1) : 22-27
  5. 김혜영, 김광옥. 1986. 압력솥 밑 전기솥 취반미의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18(4) : 319-324
  6.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2002. 쌀 품질 및 식미평가
  7.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2005년도 시험연구보고서(품질관리과). pp.54-58
  8. 손종록, 김재현, 이정일. 2002. 쌀의 품질평가 현황과 금후 연구 방향. 한국작물학회지 47(S) : 33-54
  9. 송진, 김선림. 2004. 밥의 텍스쳐 및 색의 측정. 작물의 유용성분 분석 및 평가. 한국작물학회, 작물과학원. pp. 277-283
  10. 정남진, 박정화, 김기종, 김제규, 2005. 쌀의 완전미 비율 증가가 식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50(1) : 29-32
  11. 정정환, 한선진, 조원대, 황한준. 1999. 무균포장밥으로부터 분리된 부패 미생물의 동정 및 전해산화수의 취반수로서의 이용 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31(3) : 788-793
  12. 하기용, 최윤희, 정진일, 노광일, 고재권, 이재길, 김정곤. 2006. 쌀의 외관, 호화특성 및 물성 차이에 따른 품종별 분류. 한국작물학회지 51(1) : 21-24
  13. 홍하철, 정영평, 김기종. 2004. 식미평가. 작물의 유용성분 분석 및 평가 한국작물학회, 작물과학원. pp. 284-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