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the Southeast Coastal Waters During Summer 2006

2006년 여름 남해 동부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

  • Lim, Weol-Ae (Aquaculture Environment Institute, NFRDI) ;
  • Lee, Young-Sik (Aquaculture Environment Institute, NFRDI) ;
  • Lee, Sam-Geun (Aquaculture Environment Institute, NFRDI) ;
  • Lee, Jae-Young (Division of Biological Sciences, School of Natur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임월애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양식환경연구센터) ;
  • 이영식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양식환경연구센터) ;
  • 이삼근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양식환경연구센터) ;
  • 이재영 (부산대학교 생명과학부)
  • Published : 2007.11.30

Abstract

Short-term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southeast coastal waters of Korea from July to September in 2006 were investigated with data set of phytoplankton, chemical and physical water properties, and meterological data. A total of 11 sampling sites of 4 different depths (surface, 5 m, 10 m, and bottom) were visited on July 11-14, July 24-26, August 7-10, August 21-24 and September 5-8. We identified 151 species in 63 genera of phytoplankton in which diatoms were the most diverse group composed of 92 species in 37 genera. Dinoflagellates were the second diverse group of 52 species in 22 genera. The other groups include 7 species in 4 genera including Raphidophytes, and Euglenophyta. After rainy season, excessive nutrients from adjacent streams to the stratified water column proliferates Chaetoceros group in July. But biomass of phytoplankton and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during the period of a drought in August. However, Chaetoceros was the most dominant genera in all depth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ifth cruises, except the 4th cruise on August 21-24 when dominant group were dinoflagellates including Gymnodinium spp. and Cochlodinium polykrikoides. The characteristic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environment condition during summer 2006 can be summarized as: 1) low concentration of nutrients caused by a long lasting drought in August 2) no summer outbreak of C. polykrikoides because the strength of offshore waters was weak than other years, and 3) Chaetoceros spp. was the dominant species despite short period appearance of dinoflagellates.

여름철 남해 동부해역 해양환경 변동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단기변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5차례에 걸쳐 11개 정점에서 현장관측을 실시하였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인 수온, 염분, 영양염과 엽록소 a를 수심별로 조사하였으며 투명도와 강수량 자료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63속 151종의 식물플랑크톤을 동정하였다. 이 중 규조류가 37속 92종으로 가장 우점하였으며, 와편모류가 22속 52종으로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또한, 라피도조류 3속 6종, 유글레나류 1속 1종이 출현하였다. 7월 중순은 장마로 많은 영양염이 유입되어 규조류인 Chaetoceros 속이 대량 증식하였다. 8월 초는 가뭄으로 영양염이 감소하고 강한 수온약층이 형성되면서 Chaetoceros 속의 현존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8월 하순에는 남해 외양수의 유입으로 표 저층의 수괴가 균질해지고 투명도 수심이 증가하였으며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와편모류가 우점으로 나타났다. 9월 초는 다시 규조류 우점군집으로 천이하였으며, 외양수 유입현상도 소멸하였다. 2006년 우리나라 하계 남동해역은 1) 여름 갈수기가 이례적으로 극심하여 빈영양 상태가 지속되고, 2) 남해외양수 유입이 약하여 C. polykrikoides 적조가 비발생 하였으며 3) 외양수 영향으로 와편모류가 출현하였으나 곧 Chaetoceros 속이 재우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양순, 권정노, 손재경, 정창수, 홍석진, 공재열, 2003. 2002년 통영연안의 적조발생전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특성. 한수지, 36: 515-521
  2. 국립수산진흥원, 2000. 해양환경 정보 총람. pp. 346
  3. 국립수산과학원, 2002. 2000-2001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 상황. pp. 158
  4. 국립수산과학원, 2005a. 2004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 상황. pp. 95
  5. 국립수산과학원, 2005b. 2005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 상황. pp. 149
  6. 국립수산과학원, 2007. 2006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 상황. pp. 97
  7. 권정노, 정래홍, 강양순, 안경호, 이원찬, 2005. 수치모델을 이용한 해상어류가두리양식장의 환경관리 방안.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0: 181-195
  8. 김동수, 2000. 한국 남해 중부연안 어장에서 수괴의 계절 변화.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6: 105-116
  9. 김학균, 1989. 마산만의 편모조적조발생과 환경특성. 수진연구보고, 43: 1-40
  10. 김학균, 최우정, 정영균, 정창수, 박종수, 안경호, 백철인, 1999. 나로도 인근해역에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최초발생과 환경특성. 수진연구보고 57: 119-129
  11. 김학균, 정장수, 임월애, 이창규, 김숙양, 윤성화, 조용철, 이삼근, 2001. 한국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과 변천. 한수지, 34: 691-696
  12. 나정렬, 한상규, 조규대, 1990. 한반도 근해의 해류와 해수 특성, 남해연안수 확장과 수온변화. 한수지, 23: 267-279
  13. 박종규, 심재형, 이준백, 1998. 한국 동해남해역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장기간 변동과 의미. Algae 13: 123-133
  14. 박주석, 1980. 한국 남해안의 식물성 plankton의 출현량 및 조성과 이들이 먹이와 적조로서 양식생물에 미치는 영향. 수진연구 보고, 23: 7-92
  15. 박주석, 이삼근, 1990. 한국남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수괴특성. 한수지, 23: 208-214
  16. 서영상, 김동순, 김복기, 이동인, 김영섭, 김일곤, 2002. 태풍통과에 따른 한국 연근해 수온변동. 환경과학회지, 11: 627-636
  17. 서영상, 장이현, 김학균, 2003. C. polykrikoides 적조의 시공간분포와 중규모 해양환경 변동간의 관계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 139-150
  18. 양재삼, 최현용, 정해진, 정주영, 박종규, 2000. 전남 고흥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1. 물리화학적인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5: 16-26
  19. 이동섭, 1999. 여름과 겨울철 남해의 영양염 분포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 371-382
  20. 이병돈, 강형구, 강용주, 1991. 굴 양식장 수역의 기초생산 연구. 한수지, 24: 39-51
  21. 이영식, 박영태, 김영숙, 김귀영, 박종수, 고우진, 조영조, 박승윤, 2001.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기작과 대책 1.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소멸의 환경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 259-264
  22. 임두병, 조창환, 권우섭, 1975. 충무부근 굴 양식어장의 환경에 관하여. 한수지, 8: 61-67
  23. 임월애, 최우정, 박영철, 엄기혁, 1999. 통영주변해역의 Cochlodinium 적조발생시의 식물플랑크톤과 해양세균의 종 조성 변화. 수진연구보고, 57: 145-151
  24. 임월애, 정창수, 이창규, 조용철, 이삼근, 김학균, 정익교, 2002. 2000년 여름 남해안에 나타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우점적조의 발생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7: 68-77
  25. 임월애, 강창근, 김숙양, 이삼근, 김학균, 정익교, 2003. 여름철 남해도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단기변화. Algae, 18: 49-58 https://doi.org/10.4490/ALGAE.2003.18.1.049
  26. 임월애, 2004. 한국 남해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과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119
  27. 조창환, 김용술, 1978. 굴양식장의 환경에 관한 연구. 한수지, 11: 243-247
  28. 조창환, 박경양, 1983. 고성자란만 패류양식장 저니의 부영양화. 한수지, 16: 260-264
  29. 조창환, 1979. 1978년 진해만 적조와 양식굴의 대량폐사. 한수지, 12: 27-33
  30. 정해진, 박종규, 최현용, 양재삼,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김형섭, 조경제, 2000. 전남고흥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2. 1997년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5: 27-36
  31. 정창수, 최우정, 김학균, 정영균, 김정배, 임월애, 1999. 1998년도 남해도 인근수역의 Co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동물성플랑크톤의 분포특성. 수진연구보고, 57: 153-161
  32. 추효상, 김동수, 1998. 한국 남해의 대마난류 변동이 멸치 난자어의 연안역 수송에 미치는 영향. 한수지, 31: 226-244
  33. 최상, 1967. 한국해역의 식물플랭크톤에 관한 연구II. 한국연안수역의 식물플랭크톤. 한국해양학회지, 2: 1-12
  34. 최우정, 전영열, 박정흠, 박영철, 1997. 한산거제만의 환경특성이 양식 굴의 비만에 미치는 영향. 한수지, 30: 794-803
  35. 최현용, 2001.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년 하계 해황 및 적조소멸과의 관계.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 49-62
  36. 한인성, 권기영, 성기탁, 서영상, 이윤, 이지연, 2006. Oceanic condition chang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related with HAB in summer, 2006. 한국해양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요약집, pp. 220
  37. Chung, Y.S., M.B. Yoon and H.S. Kim. 2004. On climate variations and changes observed in South Korea. Climatic Change, 66: 151-161 https://doi.org/10.1023/B:CLIM.0000043141.54763.f8
  38. Dore, M.H.I. 2005. Climate change and changes in global precipitation patterns: What do we know?. Enviroment International, 31: 1167-1181 https://doi.org/10.1016/j.envint.2005.03.004
  39. Kang, C.K., P.J. Kim, W.C. Lee and P.Y. Lee, 1999. Nutrients and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I. The elemental composition of C, N and P in particulate matter in the coastal bay system. J. Oceanol. Soc. Korea, 34: 86-94
  40. Lee, D.K. and Y.H. Kang, 2003. The physical environments and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 in the sea near Naro-Do. Ocean and Polar Research, 25: 303-314 https://doi.org/10.4217/OPR.2003.25.3.303
  41. Lee, P.Y., C.K. Kang, J.S. Park and J.S. Park, 1994. Annual change and C:N:P ratio in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Chinhae Bay, Korea. J. Oceanol. Soc. Kor., 29: 107-118
  42. Parsons, R.R., M. Takahashi and B. Hargrave, 1984. Biological Oceanographic Process. 3rd ed., Pergamon Press, pp. 143-157
  43. Smayda, T.J., 1997. Harmful phytoplankton blooms: their ecophysiology and general relevance to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ea. Limnol. Oceanogr., 42: 1137-1153 https://doi.org/10.4319/lo.1997.42.5_part_2.1137
  44. SPSS Inc, 2003. SPSS base 12.0 User's Guide. Chicago, IL, USA
  45. Tomas, C.R., 1997.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Academic press. pp. 853
  46. Yamaji, I., 1984. Illustration of marine plankton of Japan. 3rd ed. Hoikushm Pub. Co., pp. 158
  47. Zar, J.H., 1984. Biostatistical analysis, Second ed.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J. pp. 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