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ICROLEAKAGE ACCORDING TO RESTORATION METHOD OF COMPOMER UNDER SALIVA CONTAMINATION

타액 오염하에서 수복방법에 따른 컴포머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 Kong, Seok-Ba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You, Seung-Ho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Kim, Jong-So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공석배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유승훈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종수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Compomer that release fluoride could be used on proximal caries of child effectively. But oral cavity is always wet, so saliva inhibits bonding of tooth and compomer. When the saliva exist on bonding, it can be occured microleak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salivary contamination on compomer restoration and degree of microleakage according to restoration methods. Dyract $AP^{(R)}$ and prime and $bond^{(R)}$ NT was applied by the manufacture s instructions. Elipar Trilight was applied for light curing. Saliva pool was made for reconstruction of oral cavity. Two premolar was embedded in acrylic resin. After class II cavity preperation, Dyract $AP^{(R)}$ was restored under several condition, the specimen was thermocycled 500 times with 30 second dwell time. 0.5% methylene blue was used for microleakage test. Micoleakage was measured by the ratio of the infiltration length to occlusal and gingival side interfac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Kruskal Wallis Test, Mann-Whitney Test. The Result were as follows ; 1. In occlusal side,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2. In gingival side,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Group III ($ContactMatrix^{TM}$, Rubber dam, $Oraseal^{(R)}$), Group IV (No saliva contamination). 3. In gingival side,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Group I$(ContactMatrix^{TM})$, II($ContactMatrix^{TM}$, Rubber dam). 4. In gingival side,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Group I$(ContactMatrix^{TM})$, II($ContactMatrix^{TM}$, Rubber dam).

소아 환자의 인접면 우식을 치료할 때 컴포머는 불소를 방출하는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구강내 환경은 항상 습윤한 상태로 타액은 컴포머와 치질 사이의 접착을 방해할 수 있다. 수복시에 타액이 게재하게 되면 미세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며 그로 인해서 수복의 실패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포머를 수복할 시에 타액의 영향과 수복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하였다. 컴포머로서 Dyract $AP^{(R)}$(Dentsply,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Dentin bonding agent로는 Prime and $Bond^{(R)}$ NT (Dentsply, Germany)를 사용하였고, 광중합을 위해서 Elipar Trilight (3M ESPE, USA)를 사용하였다. 구강내 환경을 재현하기 위해서 saliva pool을 제작하였다. 소구치 2개를 인접하여 시편을 제작한 후에 2급 와동을 형성하여 수복 환경을 다르게 하여 컴포머를 충전한 후에 500회 thermocycling하였다. 그 후 0.5% methylene blue 용액에 24 시간 동안 담근 후에 실체 현미경을 통해서 교합면과 치은면에서의 미세누출 정도를 측정하였다.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각 군간 유의성을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합면에서의 각 군간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05). 2. 치은면에서 $Oraseal^{(R)}$을 이용하여 수복한 3군이 타액 오염을 시키지 않은 4군과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3. 치은면에서 1군과 2군 사이에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4. 치은면에서 $Oraseal^{(R)}$을 이용하여 수복한 3군이 1, 2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더 낮은 미세누출 정도를 보였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