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Image Information Generation of Rock Wall by Automatic Focal Length Extraction System

초점거리 자동추출 시스템에 의한 암벽의 공간영상정보 생성

  • 이재기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계동 (충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Because the slope made up the construction of any other facilities, has many risks of a collapse, existing inspection methods to collect information for a construction site of slope bring up a long time of inspection period, cost and approach for a measuring instrument and it presents the critical point of collecting materials. For getting images to use zoom lens in any positions this study will use free zoomer constructed values of data classified by the focal length develop Image Loader system to make it load not only camera information but also camera test data values of the focal length took a photograph automatically if it measure to use a variety of cameras or other lens. Also, as it constructs three dimensions spatial image information from images of obtained objects this study presents effective basic materials of slope surveying and inspection and it shows exact surveying methods for dangerous slope not to access.

각종 시설물들의 건설로 인해 형성된 사면은 붕괴의 위험성을 앉고 있기 때문에 사면의 현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기존의 조사 방법들은 조사기간의 장기화, 계측장비에 대한 비용 및 접근성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자료 수집의 한계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느 위치에서든지 줌렌즈를 사용하여 영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줌렌즈를 초점거리별로 검정하여 자유로이 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초점 거리별 검정 데이터 값은 DB(Date Base)화하여 여러 종류의 카메라나 또는 다른 렌즈를 사용하여 측정을 하더라도 자동으로 촬영한 초점거리의 카메라 검정데이터 값과 카메라정보를 불러오도록 Image Loader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취득한 대상물의 입체영상으로부터 3차원 공간영상정보를 구축함으로써 사면측량 및 조사에 효율적인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며, 사람이 접근할 수 없는 위험사면에 대한 정확한 측량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태, 정성관, 박경훈, 오정학 (2005), GIS 및 RS기법을 활용 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8권, 제1호, pp. 75-87
  2. 서정훈 (2004), 디지털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노면 관리시스템 개발,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3. 심재현, 김지태 (2006), 원격탐사 자료의 재해분야 활용방안 연구, 국립방재연구소, pp. 10-75
  4. 유복모, 이석군, 최송욱, 김기홍 (1997), 근거리 사진측량을 위한 CCD 사진기 검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 5권, 제1호, pp. 159-165
  5. 이동천, 우익, 최진옥 (2005), 입체 디지털 영사어리에 의한 암반 사면의 불연속면에 대한 3차원 정보 추출,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제38권, 제4호 pp. 369-380
  6. Abdel-Aziz Y. I. (1974), Photogrammetric Potential of Non-Metric Cameras, pp. 28-41
  7. Brown, D. C. (1971), Close-Range Camera Calibration, Photogrammetry Engineering, pp. 855-866
  8. Carbonnell, M. (1975), Technical Progress in Archite ctural Photogrammetry, P.E.&R.S., Vol. 41, No. 12, pp. 1513-1517
  9. Griggs, G. E. (1968), Camera Calibration on Analytical Method, University of Washington, Ph. D. Dissertation, pp. 6-36
  10. Hallent, Bertil (1960), Photogrammetry, McGraw-Hill Book Co., Inc., New York, pp. 15-19
  11. Toni Schenk(1999), Digital Photogrammetry, Terra Science, pp. 100-313
  12. Wolf. P. R. (1983), Elements of Photogrammetry, 2nd ed, McGraw-Hill Inc. Tokyo, pp. 587-592
  13. Wolf, P. R. (2000), Elements of Phototgrametry, 3nd ed, McGraw-Hill Inc., Book Company, pp. 430-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