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ecurity Journal (시큐리티연구)
- Issue 12
- /
- Pages.225-243
- /
- 2006
- /
- 2671-4299(pISSN)
- /
- 2714-0644(eISSN)
A Study on the Motive and Evaluation of the Job for a Special Private Security Tasks
특수경비원의 직업선택동기와 직업평가에 관한 연구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 in the motive and the evaluation for the job in a special private security field. The supplement of the outstanding human resources is one of most important matter to improve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For it the applicant's motive and evaluation of whose quality should be screened to recruit proper and oustanding human resources into the industry. For the study the follow elements would be considered. First, What is the real motive to apply the job and how prospect on the job the applicant will be taken. Second, what is different point of view to the job between male and female. Third, what relationship is in achieving the job performance between the temporary motive and the planed motive. Forth, what effects are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planed motive for the job. With the above elements the survey was taken based on each sex for the study and the results are out as below. a) Male is in higher than female in taking with unplaned job motive and for job satisfaction is much higher in 1-20 age range. b) In general, the expectation on the job is much higher than the current job status, the male are in the expextation on the job and the female are in the the current job status. c) The job satisfaction is on positive effect to the planed taken job but the unplaned taken job is on negative. From the Research the most concerning element on the recruiting new employee is applicant's positive attitude on the job he/she will be taken.
경비업을 발전시키고 내실을 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수한 인재의 충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 특수경비 입직자들의 직업선택동기 및 직업평가가 어떻게 나타나는가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특수경비 입직자의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직업선택동기 및 직업에 대한 평가의 차이와 직업선택동기가 직업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수경비원의 직업선택동기와 직업평가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성별에 따른 우발적 동기를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직업선택에 우발적 동기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령에 따른 직업존중 및 안정성은 10대-2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미디어 매체 등의 영향력으로 경호경비원에 대한 이상적인 매력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둘째, 전체적으로 직업선택 평가보다는 직업기대 평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직업의 특성상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지만 직업선택에 대한 평가는 여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선택 동기의 하위요인인 직업존중 및 안정성, 자아실현은 직업선택 평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발적동기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업존중 및 안정성, 자아실현이 높을수록 직업선택평가도가 높다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으며 우발적 동기가 높을수록 직업선택평가도는 낮다는 것을 나타낸다. 넷째, 직업선택 동기의 하위요인인 직업존중 및 안정성, 자아실현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발적 동기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업존중 및 안정성, 자아실현이 높을수록 직업전망 평가도가 높다는 것을 반영해 주고 있다.더욱 관심을 갖고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대변해 줄 수 있는 좋은 척도이다. 학력이 낮을수록 임금의 수준과 격차에 관심도가 높지만, 학력이 높을수록 임금제도 및 복지후생에 관심이 더 높았다. 임금에 대한 만족감은 학력과 직위, 근무경력에 영향을 미침으로 오랜 시간을 근무한 경력자들은 임금에 대한 만족과 함께 조직에 대한 몰입 또한 높았다. 따라서 민간경비 산업의 발전과 민간경비원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하여, 민간경비원의 임금수준 체계화 및 복지후생 처 후의 질을 개선하는 한편, 산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