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patial Distribution of Snowfall and its Development Mechanism over the Honam Area

호남 지방의 국지적 강설 분포와 그 차이의 원인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snowfall and to analyze its development mechanism in Honam province in Korea. The areas of snowfall in Honan area can be divided into the seven sub-area by snowfall pattern. In the west coastal area of heavy snowfall and the southwest coastal area of heavy snowfall, snowfall develops over reason of ocean by Siberian High while in the northern inland area of heavy snowfall and the southern inland area of heavy snowfall, it develops when a strong Siberian High affects to inland. Then, much snowfall is by a forced ascending due to topography in Namwon, Imsil and Gwangju of the northwestward of the Noryung and Sobaek mountain ranges while it is weak in Jeonju and Suncheon of the low plains and the southeastward. In the mountainous area of heavy snowfall and the south coastal area of light snowfall, cyclone is also one of causes of snowfall. In the southwest coastal area, snowfall is meager than the southwest coastal area of heavy snowfall because this area is far from the west coast. It is confirmed that the snowfall difference of the coast, inland and mountainous area appears by temperature difference of sea surface and 850hPa temperature, wind speed of Siberian High.

본 연구에서는 호남 지방의 15개 기상 관측소의 일강설량을 분석하여 강설의 분포 특성과 지역별 강설 분포 차이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호남 지방의 강설 분포와 강설 발생 패턴은 지역별로 다양하다. 강설의 발생 패턴에 따라 호남 지방의 강설 지역을 내륙 북부 다설 지역(전주, 임실, 남원), 내륙 남부 다설 지역(광주. 순천), 산간 다설 지역(장수), 남해안 과설 지역(고흥, 여수), 서해안 다설 지역(군산, 부안, 정읍), 남서해안 다설 지역(목포, 해남), 남서해안 소설 지역(장흥, 완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해안 다설 지역과 남서해안 다설 지역은 시베리아 고기압 확장 시 해양의 영향으로 강설이 발생한다. 반면 내륙 북부 다설 지역과 내륙 남부다설 지역은 시베리아 고기압의 세력이 강하여 그 영향력이 내륙까지 미쳤을 때 강설이 발생한다. 이때 내륙 북부 다설 지역의 남원, 임실 등은 노령산맥 줄기의 북사면에 위치하여 지형에 의한 공기의 강제 상승으로 인하여 강설이 많다. 산간 다설 지역은 해발 고도가 가장 높은 산지 지역으로 지형성 강설이 발생하며, 남해안 과설 지역은 주로 남해안에 저기압이 통과할 경우 강설이 발생하나 그 빈도가 매우 낮다. 남서해안 소설 지역은 남서해안 다설 지역에 비해 서해로부터 떨어져 있어 시베리아 고기압에 의한 강설이 상대적으로 적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병철.윤일희, 2000, '1997년 1월 5-7일에 발생한 동해안 대설에 관한 지역별 종관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1(3), 258-275
  2. 문길태.김홍진, 1982, '1981년 1월 14일-16일 사이의 저기압에 동반된 대설의 특성연구,' 한국기상학회지, 18(1), 22-32
  3. 문영수, 1990, '클러스터분석에 의한 한국의 강수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26(4), 203-215
  4. 박병익.윤석은, 1997, '한국의 동계 강수 분포에 관한 종관기후학적 연구,' 대한지리학회, 32(1), 31-46
  5. 박용대.성학중.박종탁, 1979, '영동고속도로 기상특성,' 기상연구소, MR-79-7, 79-88
  6. 서은경.전종갑, 1991, '1990년 1월 29일-2월 1일 한반도에서 발생한 대설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7(2), 165-179
  7. 송병헌, 1993, 우리나라 동해안 지역과 서해안 지역의 강설 특성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병설, 1979, '남한의 강설분포에 관한 연구,' 지리학과 지리교육, 9, 224-235
  9. 이승호, 1995, '한반도 주변의 기압배치형에 의한 한국의 자연계절 구분,' 지리학연구, 26, 65-78
  10. 이승호.천재호, 2003, '시배리아 고기압 확장시 호남 지방의 강설 분포 -노령산맥 서사면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8(2), 173-183
  11. 이재규, 1999, '대관령과 강릉 지역의 강설량 차이를 일으키는 종관 구조: 사례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5(3), 320-334
  12. 이재규, 2001, '영동해안 대설사례의 수치모의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7(1), 1-12
  13. 이훈.이태영, 1994, '영동 지역의 폭설 요인,' 한국기상학회지, 30(2), 197-218
  14. 정관영.정영선.황병준, 1999,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한반도 강설 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35(3), 466-473
  15. 정영근, 1999, '호남지방 대설 발생의 종관환경,' 한국지구과학회지, 20(4), 398-410
  16. 최진식, 1985, '동해와 그 연해안 대설의 기후학적 연구,' 지리학, 31, 68-85
  17. 최진식, 1990, '남한의 강설지역구분과 강설의 지역적 특성,' 지리학, 41, 35-48
  18. 허진석, 1994, 겨울철 한반도 서해안 지역 강설의 분석과 수치 시뮬레이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Anderson, T. and S. Nilson, 1990, Topographically induced convective snowbands over the Baltic Sea and their precipitation distribution, Weather and Forecasting, 5, 299-312 https://doi.org/10.1175/1520-0434(1990)005<0299:TICSOT>2.0.CO;2
  20. Braham, R. R. and M. J. Dungey, 1984, Quantitative estimates of the effect of Lake Michigan on snowfall, J. Clim. Appl. Meteor., 23(6), 940-949 https://doi.org/10.1175/1520-0450(1984)023<0940:QEOTEO>2.0.CO;2
  21. Changnon, S. A., 1979, How a severe winter impacts on individuals, Bull. Amer. Meteor. Soc., 50, 110-114
  22. Hartley, S. and M. J. Keables, 1998, Synoptic associations of winter climate and snowfall variability in New England, USA, 1950-1992, Int. J. Climatol., 18, 281-298 https://doi.org/10.1002/(SICI)1097-0088(19980315)18:3<281::AID-JOC245>3.0.CO;2-F
  23. Schmidlin, T. W., 1993, Impacts of severe winter weather during December 1989 in the Lake Erie snowbelt, J. Climate, 6, 759-767 https://doi.org/10.1175/1520-0442(1993)006<0759:IOSWWD>2.0.CO;2
  24. Strommen, N, D. and J. R. Harman, 1978, Seasonally changing prtterns of Lake-Effect snowfall in western lower Michigan, Mon. Wea. Rev., 106, 503-509 https://doi.org/10.1175/1520-0493(1978)106<0503:SCPOLE>2.0.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