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tocking Density of Pigs on Body Weight Gain and Carcass Traits

돼지 사육밀도가 증체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 Kim M.C.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s,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im K.I.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s, Cheju National University) ;
  • Yang Y.H.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s,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im C.N.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s,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im H.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s, Cheju National University)
  • 김문철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김규일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양영훈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김충남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김훈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Published : 2006.08.01

Abstract

Studies were carried out using growing to finishing pigs to investigate adequate floor space ($m^2/pig$) in Jeju environment. A randomized block design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 of pig performance on 3 stocking rates (low $0.56 m^2/pig$, medium 0.70 and high 0.90). Liveweight gain and feed intake were measured over a 4 week(Growth stage 1 and Growth stage 2) period or a 3 week(Growth stage 3) period. In growth stage 1 (43 to 65 kg body weight ; BW), daily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dium stocking rate than in low or high (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weight gain was found among treatments in growth stage 2(65 to 91 kg) or 3 (91 to 105 kg). Dressing percentage, back fat thickness and carcass grade were also not different (P>0.05). In conclusion, daily weight gain of pigs reared in medium density appeared to be higher than in the other groups during the early growing period which is $0.70m^2/pig$ and similar to that recommended by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우리나라의 비육돈 성장단계별 돈사의 소요면적이 제주환경에서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시험이 성장 3단계별로 수행되었고 우리나라에서 추천된 육성돈 돈사의 바닥소요면적 $0.56m^2$을 중간 수준으로 하며 저 및 고밀도 3수준 4반복 난괴법으로 처리하여 일일증체량 및 육질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성장단계 1(체중 $43{\sim}65kg$ 범위)에서 중 밀도 구(돈사바닥 소요 면적, $0.56m^2/pig$)의 일일증체량은 저나 고 밀도 구 보다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P<0.05). 그러나 성장단계 2(체중$65{\sim}91kg$ 범위)와 3(체중 $91{\sim}105kg$ 범위)에서는 일일 증체량이 처리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 도살시 도체중이나 등 지방 두께는 저밀도구가 중이나 고밀도구 보다 높았다. 최종 육질 등급도 저밀도구에서 높은 추세였다. 결론적으로 볼 때 육성초기(체중 $43{\sim}65kg$ 범위)에는 중간 사육밀도가 다른 두 처리 보다 높은 일당증체량을 보였으나 그 이후는 처리간 사육밀도 차이를 얻지 못 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