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Scenes to Visual-Perceptual of Apartment Complex - Focused on The main node Area in Urban district of The city of Cheon-an

공동주택(共同住宅)의 시지각적(視知覺的) 경관특성(景觀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 천안지역(天安地域) 도심(都心) 주요(主要) 결절부(結節部) 시점(視點)을 중심(中心)으로 -

  • Published : 2006.08.01

Abstract

Apartment houses, the representative type of urban housing, are becoming an important element in Korea urban landscap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consider landscape in view of city residents reflecting human's visual perceptual characteristic, and in line with this, the urban landscape of apartment houses viewed from the urban center main intersections has been embodi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mponents of the intersections, which was followed by preference survey of the city residents, and then based on this, the visual-perceptu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findings gained from the average of the landscape types indicate that the city residents are more satisfied when the shielding by surrounding buildings is minimized, view securing is relatively good, the whole complex is clearly observed because of its proximity to the visual point, and the view of the complex is well recognized from the focus point. 2. The examination concerning the preferred factors positively evaluated in terms of architectural planning shows that when the complex view is changeable sophisticated, makes the residents feel comfortable with its stable, open plan, and it's in harmony with surroundings, such housing attracts the city residents. 3. In terms of architectural planning factors, it turned out that the complex is more preferred when the visibility of the complex and the scale of surrounding green space are in good condition, and such elements of the complex as the sky line, the overall shape, the elevation, variation of the shape and height are harmonious with one another.

Keywords

References

  1. 노형진저(2005), SPSS 12.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 석, 형설출판사
  2. 송우용(2003), SPSS를 이용한 연구조사방법론, 도서출판대경
  3. 시노하라 오시무.배현미.조동범.김종하 역(1999), 경관 계획의 기초와 실제, 대우출판사
  4. 오덕성.문홍길(2003), 도시설계, 기문당
  5.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출판부
  6. 양동양(1998), 도시 주거단지 계획, 기문당
  7. 이정수(1996), 고층집합주거 군집형상 구성요소 및 경관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권 2호
  8. 임승빈.신지훈(1996),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심리적 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권 9호
  9. 정성구.김종재.신남수(2001), 기호도와 슬라이드 화상 을 이용한 가로공간의 정량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권 9호
  10. 조영일.송대호.박춘근(1997), 고층아파트 주동배치에 따 른 외관형태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권 1호
  11. 김현주(2004), 가로공간의 인지도 향상을 위한 결절점 계 획방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12. 김형석(2002), 가로변 고층아파트 단지의 경관계획 특성 에 관한 연구, 동아대 석사학위논문
  13. 황세현(2001), 보행자 시점에 따른 가로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14. 송대호(1998), 건축물 형태의 지각.인지 분석을 통한 경 관디자인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동아대 박사학위논문
  15. 이광영(1993), 아파트건축의 행태적 접근모델에 관한 연 구, 경북대 박사학위논문
  16. 이규봉(2000), 경사지 고층아파트 단지의 경관특성에 관 한 시지각적 분석연구, 동아대 박사학위논문
  17. 이정수(1992), 고층아파트 외관디자인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8. 주신하(2002), 도시경관 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선정 및 적용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