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 여성의 쇼핑성향과 패션지향성이 외국산 화장품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Shopping Orientation and Fashion Orientation on Imported Cosmetics Repurchase Intention of Single Women

  • Park Hyo-W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So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6.07.01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ty the effects of shopping orientation and fashion propensity on imported cosmetics repurchase intention of single wome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from 310 single women aged 25-3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actors of shopping orientation of single women were pleasure, ostentation, economy, individuality, convenience of location, and convenience of service. And the factors of fashion propensity were fashion interest and fashion leadership. 2. Single women with higher pleasure pursuit were younger, spent pocket money and purchased imported cosmetics more. Ostentation pursuiters had higher incomes, but economy pursuiters were younger, spent pocket money and purchased imported cosmetics less. Individuality pursuiters were older, and spent more pocket money and posessed imported cosmetics more. Convenience of location pursuiters posessed more imported cosmetics, but convenience of service pursuiters were highly educated. Single women with higher fashion interest were younger, higher income and education level, and posessed imported cosmetics more. And single women with higher fashion leadership were highly educated and purchased imported cosmetics more. 3. Imported cosmetics repurchase intention were effected by pocket money, purchasing power and amount of imported cosmetics, pleasure pursuit, fashion interest positively, but economy pursuit nega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LG경제연구원(2006). 한국인이 사는 법. 서울: 청림출판사, pp.72-75
  2. 이연수(2005). 새로운 소비 주역, 싱글을 잡아라. LG 주간경제, 829, 자료검색일 2005. 6. 12 자료출처 http://www.lgeri.com
  3. 심영(2003). 더 이상 낯설지 않은 화려한 싱글. 광고정보, 271, pp.24-29
  4. 한영주(2003). 싱글 시장 마케팅 : 싱글들의 외로움을 노려라. 광고정보, 271, pp.30-32
  5. 최원주(2004).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전략: 광고 속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싱글족의 인식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5(4), pp.185-207
  6. 이지연(2003). 싱글의 라이프스타일과 매체 이용행태, 광고정보, 271, pp.33-39
  7. 김은하(2000). 자부심과 과시욕구 높고 자신에 대한 투자에 과감. 광고정보. 230, pp.111-114
  8. 네이트 용어사전(2005. 4. 22). 싱글족. 자료검색일 2005. 6. 3. 자료출처 http://kbank.nate.com
  9. 장현숙(2002). 독신의 심리적 성향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pp.185-195
  10. Stein, P.(1978). Single life unmarried adults in social context. N.Y.: St.Martin's Press
  11. 김소연(2003). 24시간화 되어가는 도심에서의 싱글족을 위한 주거와 사무 환경의 새로운 유형제언. 경기대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6-38
  12. 박형석(2003). 독신 소비자들과 비독신 소비자들의 구매관련 라이프스타일 비교.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9-23
  13. 윤경희(2003). 광고속의 싱글족. 광고정보. 자료검색일 2005.6.15 자료출처 http://www.advertising.co.kr
  14. 이수영(2002). 20.30대 전문직 독신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10
  15. Howell, R. D.(1979). A multivariate examination of a patronage model: The impact of values and life style on shopping orient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Fayetteville
  16. Westbrook, R. A., & Black, W. C.(1985). A motivation based shopper typology. Journal of Retailing. 61(1), pp. 79-103
  17. Hawkins, D. I., Best, R. J., & Coney, K. A. (1989). Consumer behavior(4th ed). Homewood. II: Irwin. p. 641
  18. Gutman, J. & Mills, M. K.( 1982). Fashion life style, self-concept,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patronage: An integrative analysis. Journal of Retailing. 58(2), pp. 64-86
  19. 김영숙(2001). 의복쇼핑성향 소비자유형에 따른 점포 선택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 22-30
  20. 류현주, 홍금희 (2001). 성인여성의 자기이미지와 상표이미지 및 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8), pp. 1367-1377
  21. 신지혜(1998). 성인여성의 의복쇼핑성향과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15
  22. 이영미, 이옥희 (2003). 직장여성의 쇼핑성향에 따른 의복구매동기와 제품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1(2), pp. 193-207
  23. Bellenger, K., Danny, N., & Pradeep, K.(1980). Profiling the recreational shopper. Journal of Retailing. 56(3). pp. 77-92
  24. Frings, G. S.(1999). Fashion: From concept to consumer. New Jersey: Prentice Hall. pp. 58
  25. 전경숙, 박혜정 (2005). 패션 성향과 소비자독특성욕구가 명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9(2), pp. 231-241
  26. Gutman, J. & Mills. M. K. (1982). Fashion life style, self-concept,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patronage: An integrative analysis. Journal of Retailing. 58(2), pp 64-86
  27. 정미자, 김구자 (2000). 중학생의 반사회성과 남성과 여성특성에 따른 의복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0(1). pp. 66-75
  28. Workmam, J. E. & Kidd, L. K.(2000). Use of the need for uniqueness scale to characterize fashion consumer group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8(4), pp. 227-236 https://doi.org/10.1177/0887302X0001800402
  29. Huddleston, P., Ford, I., & Bickle, M. C.(1993) Demographic and life style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fashion opinion leadership among mature consumer.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1(4), pp. 26-31 https://doi.org/10.1177/0887302X9301100404
  30. Darley, W. & Johnson, D.(1993). Effects of female adolescent locus of control on shopping behavior, fashion orientation and information search, International Review of Retail Distribution & Consumer Research, 3(2), pp. 149-165 https://doi.org/10.1080/09593969300000012
  31. 강혜원, 이은미(1998). 의류학전공 여대생의 의복에 대한 태도와 사회심리학적 요인과의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샘활과학논집, 2, p. 3
  32. 김세희(2005). 유행 관심 수준에 따른 의복 쇼핑성향과 의복 구매행동에 성별이 미치는 매개적 영향. 한국복식학회지, 55(3), pp. 33-46
  33. 이지연(2003). 싱글 시장이 뜬다! 나를 위해 쓰는 더 많은 소득, 더 많은 여가. 광고정보, 271, pp. 33-39
  34. 마케팅플래닝팀(2003). 소중한 나를 위해 아끼지 않는다. 날로 커가는 싱글시장. 광고정보, 자료 검색일. 2005, 5. 31, 자료출처 http://www.advertising.co.kr
  35. 김홍탁(2004). 화려한 싱글이 좋다. 광고정보. 275, pp. 95-99
  36. 김소영, 이은영 (1994).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18(3), pp. 429-439
  37. 황진숙, 정정현(2005). 인터넷 쇼핑 및 TV홈쇼핑 위험지각에 따른 의복쇼핑성향, 구매의도,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9(5), pp. 637-648
  38. 선정희, 유태순(2004). 화장품 유통경로에 따른 소비자 쇼핑성향, 정보원, 점포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5), pp. 559-569
  39. 나현정(2003). 수입명품 브랜드의 유통실태와 구매자의 태도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1-43
  40. 진선영, 이선재(2001). 성인여성의 쇼핑성향과 샵마스터 태도에 대한 반응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1(2), pp. 121-133
  41. Gutman, J. & Mills, M. K.(1982). Fashion life style, self-concept,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patronage: An integrative analysis. Journal of Retailing. 58(2), pp. 64-86
  42. 박혜정, 전경숙(2004). 패션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가치 결정요인: 물질주의와 소비자 동조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9/10), pp. 1243-1252
  43. 김선화. 이영선(2001). 유행선도력과 쇼핑관련특성관의 관계연구: 쇼핑동기, 지속적 정보탐색, 충동구매와 관련하여. 한국의류학회지, 25(1), pp. 162-172
  44. Barbin, B. J., William, R. Darden, B., & Mitch, G.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o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4), pp. 644-656 https://doi.org/10.1086/209376
  45. 서민애, 박광희 (2001). 수입여성의류 구매 유무에 따른 의복행동 : 쇼핑셩향과 구매행동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6), pp. 79-92
  46. 최윤영 (2003). 유행선도력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숙명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