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세 이상에서 발견된 외측 원판형 연골의 임상분석

The Clinical Analysis of Lateral Discoid Meniscus in Adults Over 40 years old

  • 임홍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노경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정효섭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Lim, Hong-Ch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
  • Noh, Kyoung-S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
  • Jung, Hyo-Sub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 발행 : 2006.06.30

초록

목적: 40세 이상의 성인에서 발견된 외측 원판형 연골의 임상적 특징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994년 3월부터 2004년 3월까지 40세 이상에서 원판형 연골이 발견되어 관절경적 치료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48명의 환자 53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환자의 평균 연령은 48.4세($40{\sim}62$세)였다. 환자군을 대상으로 이학적 검사 소견, 단순 방사선 및 MRI 소견, 관절경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53예중 증상 이환 기간은 1년이내가 42예(79.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26예(49.1%)에서 외상의 기왕력이 있었으며, 방사선학적 검사상 대퇴골 외과의 편평화, 외측 구획의 퇴행성 변화가 37예(69.8%)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내측 구획의 퇴행성 변화는 16예(30.2%)에서 관찰되었다. 슬관절경 검사상 45예(84.9%)에서 원판형 연골의 파열이 관찰되었고 파열이 없었던 경우는 8예(15.1%)였다. 파열형태는 복합형(18예, 40.0%)의 파열 형태가 가장 흔하게 나타났으며 그외 종파열(longitudinal) 12예(26.7%), 수평파열(horizontal) 11예(24.4%), 횡파열(transverse) 4예(8.9%)가 관찰되었고, 내측 연골판 파열을 동반하는 경우는 7예(13.2%)였다. 치료 방법으로는 관절경하 연골판 성형술이 46예(86.8%), 이중 6예에서 연골판 성형술 후 부분적 봉합술을 함께 시행하였으며 연골판 아절제술이 5예(9.4%), 연골판 전절제술이 1예(1.9%), 1예(1.9%)에서 관절경 검사후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성인의 원판형 연골은 소아의 경우와는 달리 외상의 기왕력을 가지고 있는 빈도가 높으며 가벼운 외상에 의해 증상이 발현된다. 또한 슬관절 내 외측 구획의 퇴행성 변화 등 방사선학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어 가능한 보존적인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of symptomatic lateral discoid meniscus found in adults over 40 years old. Materials & Methods: From March 1994 to March 2004, 53 cases treated for lateral discoid meniscus in 48 patients aged over 40 years with the mean age $48.4(40{\sim}62)$ who were followed up more than 1 year, were analyzed by physical findings, simple X-ray, MRI and arthroscopic exam. Results: Most of the cases (42 cases, 79.2%) had symptoms for less than 1 year duration. 26 cases(49.1 %) out of 53 had trauma history. Simple radiologic evaluation showed that lateral condylar abnormality such as the flattening of lateral femoral condyle, marginal osteophytes, and subchondral sclerosis was seen in 37cases(69.8%). Also medial condyle showed degenerative changes in 16 cases (30.2%). Tear of discoid meniscus in 45 cases(84.9%) were examined by arthroscope and tear was not detected in 8 cases(15.1%). Type of tear was complex(18 cases), longitudinal(12 cases), horizontal(11 cases) and transverse(4 cases). Concomitant medial meniscal rupture was found in 7 cases(13.2%). The simple procedure done was reshaping(46 cases), subtotal resection(5 cases), total resection(1 case) and meniscal repair after reshaping in 6 cases, and arthroplasty was performed after arthroscopic examination in 1 case. Conclusion: Onset of symptom in adult lateral discoid meniscus is usually traumatic in origin. Most cases showed radiologic abnormality such as degenerative change in lateral condyles as well as medial condyles and the results of preservative surgical treatment was the most preferred option in most pati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