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erior Instability of the Knee after Arthroscopic Treatment for Tibial Spine Fractures

경골극 골절의 관절경적 치료 후 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

  • Choi, Chong-Hyu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Yong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ung-Hwa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Yong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oo, Jong-Hwa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Yong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Hyung-Si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Yong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최종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성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주종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형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Purpose: We evaluated the result of the degree of reduction and anterior instability after arthroscopic treatment of tibial spin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cases of tibial spine fractures treated with arthroscopic procedure could be evaluate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8\;(12{\sim}48)$ months. Evaluations included Lachman test, rotatory instability examination and side to side difference (SSD) using KT-2000 arthrometer. The degree of radiologic reduction was classified as accurate reduction, anterior elevation and reduction failure, according to which the degree of anterior instability was measured. Results: There were twenty three cases (71%) of accurate duction, eight cases (25%) of anterior elevation and one case (4%) of education failure. Eight (29%) of twenty eight cases with pull-out method showed anterior elevation. The SSDs of the accurate reduction and the anterior elevation group were 2.0 mm and 2.8 mm, resp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percent age of grade 0 Lachman test and SSD less than 3 mm of the accurate reduc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Conclusion: Accurate reduction is important in reducing anterior instability especially in unstable fractures. Therefore, arthroscopic pull-out method should be performed with great caution to avoid anterior elevation of the fracture fragment.

목적: 경골극 골절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골편의 정복 및 고정 후 골절편의 정복 정도와 전방 불안정성에 대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골극 골절로 관절경적 치료를 받은 3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8개월(12개월-48개월)이었다. 수술 후 평가는 Lachman 검사 및 회전 불안정성 검사와 KT-2000 관절측정기를 이용한 건측과의 전방전위차이(SSD)를 측정하였다. 방사선 사진 상 골편의 완전 정복, 전방 거상 및 정복 실패로 나누었고, 골편의 정복 정도에 따른 전방 불안정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골편의 완전 정복, 전방 거상, 정복 실패는 각각 23예(71%), 8예(25%), 1예(4%)였고 pull-out 방법 28예 중 8예(29%)에서 전방 거상이 있었다. 완전 정복군과 전방 거상군의 SSD는 각각 2.0 mm와 2.8mm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Lachman 0등급 비율(P=0.021)과 3 mm 미만의 SSD의 비율(P=0.048)은 의미 있게 정복군이 높았다. 결론: 심하게 전위된 골절일수록 골편의 정확한 정복이 술 후 전방 동요를 줄이는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봉합사를 이용한 pull-out 방법에 의한 고정은 수술 후 골편 전방부의 거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