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rn Image Classification by Clothing Design Elements

의복의 조형요소에 따른 모던이미지 분류

  • Lee, Kyung-Lim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
  • Park, Sook-Hyun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 Published : 2006.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modern image by clothing design elements. This research was done by survey method with 25 kinds of modern image photos selected in fashion magazines. The data was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MANOVA, One-Way ANOVA, Duncan's test and M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odern image was classified by 5 factors. Those were sexy-modern, elegant-modern, natural-modern, mannish-modern and minimal-modern images. 2. Sexy-modern image was well-expressed by chromatic and chromatic color coordinations. Elegant-modern image was well-expressed by fitted silhouette, fit and achromatic and chromatic color coordinations. Natural-modern image was well-expressed by A silhouette, loose apparel-fit, chromatic and chromatic coordinations and soft texture. Mannish-modern image was well-expressed by H silhouette, loose apparel-fit, chromatic and chromatic color coordinations and hard texture. Minimal-modern image was well-expressed by H silhouette, tight or loose apparel-fit and soft texture. 3. modern image was positioned into mostly hard or masculine on image scale.

Keywords

References

  1. 김원수. (1992). 마케팅관리론. 서울: 경문사
  2. 김유진, 이경희. (1997). 상반되는 의복이미지의 조합에 따른 시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8), 1297-1306
  3. 김유진, 이경희. (2000) 의복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따른 감성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7), 976-986
  4. 김윤경, 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861-872
  5. 김일분, 유태순. (1999). 의복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복식, 45, 103-119
  6. 김장호 (1996). 디자인 조형에서의 형태와 기능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0(16), 199-210
  7. 김재숙, 윤지현. (2005). 에로티시즘의 표현방법과 표현수준에 따른 복식의 이미지 지각, 한국의류학회지, 29(2), 318-327
  8. 김종복. (1997). 패션감각탐구 1. 서울: 도서출판 시대
  9. 김희정, 이경희. (1997). 한국적 의복이미지의 구성요인과 디자인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21(3), 589-599
  10. 동아 새국어사전. (2006). 서울: 두산동아
  11.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Deluxe. (2002). 서울: 두산동아
  12. 류숙희, 김보연. (2002). 라이프스타일이 의복스타일 이미지 평가와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6(2), 227-238
  13. 박소향, 김인숙. (1994). 남자대학생의 여성복 이미지 평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18(2), 170-179
  14. 박숙현. (2004). 패션디자인론, 서울: 예학사
  15. 박숙현, 이수진, 이수현, 송미영, 송남경, 이효숙. (2003). 패션 이미지별 평가용어, 색상 및 분류체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2(4),539-552
  16. 박종찬. (1996). Good Design제품의 조형특성에 관한 연구: 93,94 세계 GD 선정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2(13), 259-275
  17. 신혜원, 이정순 (2002). 의류소재의 이미지 평가 차원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1), 1638-1648
  18. 오해순, 이경희. (2002). 의복재질의 시각적 감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9/10), 1412-1423
  19. 이경희. (1991a) 의복형태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 이경희. (1991b) 의복디자인의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29(1), 37-49
  21. 이경희, 김유진 (2001). 패션감성과 의복조형성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5), 845-855
  22. 이경희, 이경희. (1994). 의복형태와 디테일에 의한 표면이미지의 시각적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18(5), 646-660
  23. 이숙희, 임숙자. (2003). 선호 의복이미지와 편익에 의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7(1), 100-110
  24. 이윤숙, 신정원, 안민영, 김은애. (2001). 의류소재의 구조적 특성이 감각특성 및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8), 1408-1419
  25. 이은영. (1991).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26. 이호정, 이윤숙. (1997). 패션비즈니스 사전. 서울: 교학연구사
  27. 임귀숙. (1999). 병원 간호이미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안동대학교 행정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정인희 (1992). 의복이미지 구성요인, 계층구조 및 평가차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정인희, 이은영. (1992) 의복이미지의 구성요인과 평가차원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 379-391
  30. 정해선. (2005). 모자와 패션이미지의 트랜드 분석과 조형성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1. 최해주, 정영선. (2001) 국내 미니멀리즘 패션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 51(7), 93-109
  32. 추선형. (2000). 색채와 질감에 의한 패션소재 이미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3. 하지수. (2001). 20세기 기능주의 패션디자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4. 홍병숙, 정미경 (1993). 여성 수트의 이미지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복식,20, 73-82
  35. Davis, M. L. (1987). Visual design in dres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36. Delong, M. R. (1987). The way we look. Ame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37. Horn, M. J. &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linary study of clothing (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
  38. Lawson, F. & Baud-Bovy, M. (1977). Tourism and recreational development. London: Architectural Press
  39. Marks. (1976). Operationalizing the concept of store image. Journal of Retailing, 52(3), 3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