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비저항 상시관측에 의한 제체 안전도 지수 산출

Safety Index Evaluation from Resistivity Monitoring Data for a Reservoir Dyke

  • 조인기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
  • 강형재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
  • 이병호 (한국농촌공사 제주도본부) ;
  • 김병호 (한국농촌공사 환경지질사업처) ;
  • 이상선 (한국농촌공사 환경지질사업처) ;
  • 박영규 (한국농촌공사 환경지질사업처) ;
  • 이보현 (한국농촌공사 환경지질사업처)
  • Cho, In-K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Dept. Geophysics) ;
  • Kang, Hyung-Ja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Dept. Geophysics) ;
  • Lee, Byoung-Ho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
  • Kim, Byoung-Ho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Office of Environmental Geology) ;
  • Yi, Sang-Sun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Office of Environmental Geology) ;
  • Park, Young-Gyu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Office of Environmental Geology) ;
  • Lee, Bo-Hyun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Office of Environmental Geology)
  • 발행 : 2006.05.31

초록

저수지 제체의 누수는 주로 세굴현상에 기인하며, 이 세굴현상은 주변의 토괴를 침식하여 결과적으로 제체의 파괴를 유발시키는 주된 요인이다. 따라서 누수구간의 탐지는 효과적인 제체의 유지관리에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전기비저항 탐사는 저수지 제체의 안전진단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리탐사 방법으로 특히 세굴현상에 의한 누수구간의 탐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전기비저항 탐사는 제체 마루에서 수행된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자료의 역산 단면상에서 저비항대를 누수 위험 구간으로 해석하는 정성적인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근자에 이르러 상시관측을 통한 전기비저항의 변화율을 이용한 해석방법이 제시되었지만 아직까지 제체의 안전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기법에 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제체내의 세굴현상이 진행됨에 따라 누수구간은 공극율이 증가하고, 공극율의 증가는 제체의 안전과 직결된다. 본 연구에서는 Archie의 경험식을 근거로 전기비저항 탐사에서 얻어진 건기전도도 자료를 제체부의 공극율로 변환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전기비저항 상시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제체의 안전도 지수를 산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n abnormal seepage flow, which is mainly caused by the piping, is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embankment dam failure. A leakage detection is therefore a vital part of an embankment dam's monitoring. Resistivity method, which is an efficient tool to detect leakage zones, has been used all over the world for an embankment dam's monitoring. Although the resistivity method gives us very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leakage problem, there is no more quantitative interpretation than the low resistivity zones in the 2-dimensional resistivity section are regraded simply as the anomalous seepage zones. Recently, resistivity monitoring technique is applied for the detection of leakage zones. However, its interpretation still remains in the stage of presenting the resistivity ratio itself. An increased seepage flow increases a porosity and an increasing porosity decreases the dam's stability. Therefore, the porosity is one of the major factors for an embankment dam's stability. Based on Archie's experimental formula, we try to evaluate a porosity distribution from the resistivity data which is obtained on the dam's crest. We also attempt to represent a procedure to evaluate a safety index of the embankment dam from the resistivity monitoring data.

키워드

참고문헌

  1. Archie, G. E., 1942, The electrical resistivity log as an aid in determining some reservoir characteristics, Trans. AIME, 146, 54-62 https://doi.org/10.2118/942054-G
  2. Heritage Geophysics, 2005, Short note on the principles of geophysical methods for groundwater investigation, http:// www.geo-hydorology.com
  3. Ogilvy, A. A., Ayed, M. A., and Bogoslovsky, V. A., 1969, Geophysical studies of water leakages from reservoirs, Geophy. Prosp., 17, 36-63 https://doi.org/10.1111/j.1365-2478.1969.tb02071.x
  4. Titov, K., Loukhmanov, v., and Potapov, A., 2000, Monitoring of water seepage from a reservoir using resistivity and self polarization methods: case history of the Petergoph fountain water supply system, First Break, 18, 431-435 https://doi.org/10.1046/j.1365-2397.2000.00096.x
  5. 박삼규, 김정호, 서구원, 2005, 저수지 유지관리를 위한 전기비저항 모니터링 기법 응용, 물리탐사, 8, 177-183
  6. 박삼규, 송성호, 최종학, 최보규, 이병호, 2002, 수리시설물의 누수탐지를 위한 물리탐사의 적용성, 땅과 물이 만나는 곳에서의 물리탐사,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제4회 특별심포지움 논문집, 179-195
  7. 송성호, 권병두, 최종학, 김경만, 2001, 저수지 누수문제에 대한 수리지질 및 지구물리방법의 적용, 한국자원공학회지, 38, 292-300
  8. 이명종, 김정호, 정승환, 송윤호, 2000, 2차원 및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를 이용한 제당 누수조사, 한국물리탐사학회 제2회 특별심포지움 논문집, 41-53
  9. 정승환, 김정호, 양재만, 한규언, 김영웅, 1992, 전기비저항탐사에 의한 제당의 누수구간 탐지, 지질공학, 2, 47-57
  10. 윤종렬, 김진만, 최봉혁, 2005, 하천제방의 안정성 평가기법 연구, 한국물리탐사학회, 대한지구물리학회 2005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11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