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d Surges over Korean Peninsula Associated with Arctic Oscillation and the Role of Heat Source

극 진동에 연관된 한반도 한파와 열원의 역할

  • Shin, Sung-Chul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Maeng-Ki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Woo-Seop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Arctic Oscillation (AO) on cold surge through atmospheric circulation and heat source analysis for the past winters from 1979 to 2004. The number of occurrence of cold surge in the negative AO phase is about 14.3% larger than that in the positive AO phase. The number of occurrence of cold surge per a month in the negative (positive) AO phase is about 1.33 (1.05),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negative AO phase has about 26.6% larger occurrence than the positive AO phase. It means that the cold surge has occurred frequently in particular months with the negative AO phase. And it also shows that surface temperature in the negative AO phase is about $0.6^{\circ}C$ lower than in positive AO pha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difference of heat source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AO, it shows that surface air temperatur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negative AO phase is more lower than in positive AO phase by the intensification of cold advection term. However, heat source term cancels out the cooling effect by cold advection term, indicating that it suppresses the decrease in surface air temperature. It results in a small difference of $0.6^{\circ}C$ in surface air temperature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AO phase in spite of the significance of atmospheric circulation change.

이 연구에서는 1979년부터 2004년까지 25년 동안에 극 진동의 강도가 한반도 겨울 한파에 미치는 영향을 대기순환과 열원을 분석하여 조사하였다. 북극 진동이 강할 때 한파의 발생 횟수는 약할 때 보다 약 14.3% 더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발생 횟수에서도 양의 AO에서 1.05회/월, 음의 AO에서 1.33회/월로 나타나서 북극 진동이 강할 때가 약할 때 보다 약 26.6% 더 많았다. 이것은 북극 진동이 강한 특정 달에 한파가 자주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북극 진동이 강할 때가 약할 때보다 $0.6^{\circ}C$ 더 낮은 기온을 보였다. 북극 진동의 강약에 따른 열원의 차이를 고찰한 결과, 북극 진동이 강해졌을 때 한반도 주변의 기온은 이류항에 의한 냉각이 강화되어 더 낮아지지만, 열원항에 의한 상쇄 효과에 의해 기온 하강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대기 순환의 유의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음의 AO와양의 AO 사이에 기온 차이는 평균적으로 $0.6^{\circ}C$로 작게 나타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식, 김맹기, 심태보, 1994, 한반도 주위 해양에서의 해면 열수지와 응력의 계절변화. 한국해양학회지, 29(4), 325- 337
  2. 김맹기, 강인식, 1995, 한반도 해상에서의 바람의 응력, 현열속, 잠열속에 대한 진단적 모델링. 한국기상학회지, 31(1), 1-13
  3. 김맹기, 신성철, 이우섭, 2005, 한반도 겨울철 한파와 관련된 대기 순환과 열원의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6(6), 560- 572
  4. 류상범, 2002, 우리나라 겨울철 한파 내습과정에 관하여. 대기, 13(1), 310-313
  5. 류상범, 2003, 우리나라 겨울철 특이 기온의 최근 변화에 관하여. 대기, 12(3), 98-101
  6. 류상범, 권원태, 2002, 남한의 한랭 겨울과 혹한일의 기후학적 특성. 대기, 12, 288-291
  7. 신성철, 김맹기, 이우섭, 2005a, 겨울철 기온 극값과 한파의 이동 경로.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및 정기 총회, p. 173
  8. 신성철, 김맹기, 이우섭, 윤자영, 2005b, 한파와 관련된 열원 (Q1)의 특성. 한국기상학회 춘계학술발표회, p. 252-253
  9. 신성철, 김맹기, 이우섭, 2005c, 한반도 겨울 한파에 대한 AO의 연관성과 Q1. 한국기상학회 추계학술발표회, p. 222-223
  10. 임규호, 1994a, 동아시아 겨울철 상층 동서류와 하층 기온 변동의 연관성. 한국기상학회지, 30(1), 65-72
  11. 임규호, 1994b, 겨울철 동 아시아 제트류의 변동성과 한파 내습. 한국기상학회지, 30(4), 507-519
  12. 임은순, 안중배, 남재철, 2004, 한반도 겨울철 기온 변동과 북극 진동과의 상관성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40(4), 441- 452
  13. 정영근, 1989, 한반도에서 한파내습에 관한 연구: 장주기 중간주기 단주기별 대기요란의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10(2), 203-214
  14. 정영근, 1993, 북반구 겨울철 원격상관패턴과 단주기 대기변동. 한국지구과학회 1993년도 학술발표회 및 정기 총회, p. 391
  15. Ding, Y.H. and Krishnamurti, T.N., 1987, Heat budget of the Siberian high and the winter monsoon. Monthly Weather Review, 115 (10), 2428-2449 https://doi.org/10.1175/1520-0493(1987)115<2428:HBOTSH>2.0.CO;2
  16. Jeong, J.H. and Ho, C.H., 2005, Changes in occurrence of cold surges over East Asia in association with Arctic Oscillati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2 (14), L14804 https://doi.org/10.1029/2005GL023060
  17. Jeong, J.H., Ho, C.H., Kim, B.M., and Kwon, W.T., 2005, Influence of the Madden-Julian oscillation on wintertime surface air temperature and cold surges in East Asi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Atmospheres, 110, D11104 https://doi.org/10.1029/2004JD005408
  18. Ryoo, S.-B., Kwon, W.-T. and Jhun, J.-G., 2005, Surface and upper-level features associated with wintertime cold-surge outbreaks in South Korea.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22 (4), 533-548
  19. Ueda, H., Kamahori, H., and Yamazaki, N., 2003, Seasonal contrasting features of heat and moisture budgets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Tibetan Plateau during the GAME IOP. Journal of Climate, 16 (14), 2309-2324 https://doi.org/10.1175/2757.1
  20. Yanai, M., Esbensen, S., and Chu, J.H., 1973, Determination of bulk properties of tropical cloud clusters from large-scale heat and moisture budget.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30 (4), 611-627 https://doi.org/10.1175/1520-0469(1973)030<0611:DOBPOT>2.0.CO;2
  21. Yanai, M. and Tomita, T., 1998,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atmospheric heat sources and moisture sinks as determined from NCEP-NCAR reanalysis. Journal of Climate, 11 (3), 463-482 https://doi.org/10.1175/1520-0442(1998)011<0463:SAIVOA>2.0.CO;2
  22. Zhang Y., Sperber, K.R., and Boyle, J.S., 1997, Climatology and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East Asian winter monsoon: Result from the 1979-95 NCEP/NCAR Reanalysis. Monthly Weather Review, 125 (10), 2605-2619 https://doi.org/10.1175/1520-0493(1997)125<2605:CAIVOT>2.0.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