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출산국립공원 상록활엽수 분포 및 군집구조

Distribu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the Weolchulsan National Park

  • 오구균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
  • 심항용 (호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Oh Koo-Ky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onam Univ.) ;
  • Shim Hang-Y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Honam Univ.)
  • 발행 : 2006.06.01

초록

월출산국립공원 전 지역을 대상으로 146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상록활엽수 개체군 동태를조사한 결과, 월출산국립공원내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한 상록활엽수종은 총 13종이었고, 주요 곡간부를 중심으로 최대 해발 450m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월출산국립공원에 자생하는 상록활엽수중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붉가시나무는 식물군락을 이루며 분포하였으나, 참식나무, 모새나무, 차나무, 보리밥나무, 광나무, 자금우는 반상이나 단독 형태로 분포하였다. 지피식물인 마삭줄, 백화등, 송악은 국지적으로 희소하게 출현하였다. 월출산국립공원의 일부 지역에서 소규모 형태로 붉가시나무림이 분포하였고, 상록활엽수들은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의 임상층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었다. 붉가시나무군락은 그 세력이 확장될 것으로 생각되며, 붉가시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소나무군락과 낙엽활엽수림군락들은 붉가시나무군락으로 식생천이가 예상된다.

To investigate distribution status of the evergreen broad-leaves forest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146 plots and surveyed. Thirteen Evergreen broad-leaved trees wear distributed up to four hundred fifty meters(sea level) along valley in the Weolchulsan National Park. Camellia japonica, Eurya japonica and Quercus acuta were distributed as a plant community. Neolitsea sericea, Vaccinium bracteatum, Camellia sinensis, Eleagnus macrophylla, Ligustrum japonicum and Ardisia japonica were distributed as small patch or individual. Trachelospermum asiaticum and Hedera japonica were distributed by discoid, erysipelas shape. Quercus acuta community was appeared as a small patch type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Evergreen broad-leaved trees were distributed at subcanopy layer in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abilis community and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might be maintained and expande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deciduous broad-leaved plant community at which Quercus acuta, were growing in the forest floor will be succeeded to Quercus acuta commun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종홍(1988) 한반도 상록활엽수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5쪽
  2. 국립공원관리공단 월출산관리사무소(2003) 2005 월출산국립공원관리계획. 331쪽
  3. 오구균(1994) 두륜산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8(1): 43-57
  4. 오구균(2002) 난대림 생물산업화를 위한 개발 산.학.관 협동실연 연구(II). 산림청. 164쪽
  5. 오구균, 김용식(1996)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 환경생태학회지 10(1): 88-102
  6. 오구균, 정승준, 김영선(1999) 월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3(1): 49-60
  7. 오구균, 조우(1994) 홍도 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8(1): 27-42
  8. 오구균, 지용기(1995) 불갑산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9(1): 30-43
  9. 오구균, 최송현(1993)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지역의 식생구조와 천이계열. 환경생태학회지 16(4): 459-476
  10. 이은복, 전의식, 최병희, 정규영(1989) 월출산일대의 식물상. 자연보존협회조사보고서 29: 47-69
  11. 임양재(1970) 한반도 기후조건과 수종의 분포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 논문집 5: 315-336
  12. 최광율(2005) 천리포수목원 목련이소식지(2005년 겨울호) 22: 4-9
  13. 安田喜憲, 塚田松雄, 金遵敏, 李相泰, 任良宰(1980) 韓國における環境變遷史と農耕の. 起源. 韓國における環境變遷史. 日本文部省 [海外學術調査報告書] , pp.1-19
  14. Braun 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Wien. New-York
  15.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479-496
  16. Gauch, Jh. H. G., H. B Chase, and K. H. Whittaker.(1974) Ordination of vegetation samples by Gaussian species distribution. Ecology 55
  17. Uyeki H.(1941) On the northern limit zone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Acta Phytotaxonomica et Geobotanica. 10(2): 8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