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tope-Type Classification Considering Urban Ecosystem Structure

도시생태계 구조를 고려한 비오톱 유형 구분

  • Kim Jeong-Ho (Dept. of Specialization Project, Dongmoon Construction Co., Ltd.) ;
  • Han Bong-Ho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김정호 (동문건설(주) 환경사업단 특화사업부)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iotope types of urban land-use patterns. Forest areas were considered according to vegetation type and potential for succession. Urban ecosystem structure was analyzed according to land use, land coverage, vegetation structure (actual vegetation, diameter at breast height, layer structure, and revetment). As a results of the classification, the biotopes were divided into 71 types according to the urban ecosystem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Hanam province, the biotopes were divided into 51 types: 26 forest types; 5 swampy and grass land types; 3 farm land types; 3 types of planted land, and 8 types of urbanization.

Keywords

References

  1. 권전오 (2003) 환경친화적 택지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생태평가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갑태 (2002) 백두대간 자연생태계의 지역구분을 위한 식생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23-232
  3. 김종원 (2004) 녹지생태학. 서울: 월드사이언스
  4. 김주환 (2001) 지표공간의 이해: 지리학적인 접근. 서울 푸른세상아카데미
  5. 나정화, 이석철, 사공정희, 류연수 (2001) 생물종 및 서식지 보전의 관점에서 본 대도시의 비오톱 구조분석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6): 29-51
  6. 나정화, 이정민 (2003) 도시 비오톱의 경관생태학적 특성분석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30(6): 128-140
  7. 배정희 (2004) 도시하천의 횡단지형구조 및 호안구조에 따른 식생분포특성과 식생도입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서울특별시 (2000) 도시생태개념의 도시계획에의 적용을 위한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 -1차 년도 보고서- .서울특별시
  9. 성남시 (2004) 비오톱 등급평가 및 도시생태현황도 (Biotope map) GIS 구축. 성남시
  10. 송광섭 (2001) 인공위성영상의 식생지수를 이용한 산림지역의 복지량 추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송인주(1999) 독일의 생태도시 사례연구. 녹색서울 21: 96-101
  12. 송인주, 진유리 (2003) 서울시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시설경작지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1): 56-70
  13. 이건호, 장현봉(1994) 엔트로피 원리를 이용한 도시내 토지 이용의 용도별 공간분포 특성수명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29(1) 25-36
  14. 이춘기 (2004) 한국에 적합한 생태도시 조성방안. 지역사회 개발연구 29(1): 53-77
  15. 정경진(1999) 한강지류에서 하천변의 식생분포와 지형, 토양, 수문 특성과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조용현(1997)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 자연도 평가방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조우(1995) 도시녹지의 생태적특성 분석과 자연성 증진을 위한 관리모형 -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최송현(1996) 산림생태계의 환경영향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녹지의 자연성평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하남시사편찬위원회 (2001) 환경도시 하남. 하남시사편찬위원회
  20. 한봉호 (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환경부 (2001)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생태계 지표 개발. 환경부
  22.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003) 유역관리 효율화를 위한 불투수변 지표개발과 적용 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3. 建設省都市局(1994) 環境共生都市づくり. ぎょらせい
  24. 玉井信行, 奥田重俊, 中村俊六(2001) 河川生態環境評價, 東京大學出版會
  25. 玉川英則(1984) 都市內における土地利用ハタン及びその變化の計量的分析. 都市計劃學術硏究論文集 19: 343-348
  26. 李宇新(1990) 森木環境構造と鳥類の採餌二ッチに關する硏究. 北海道大學大學院博士學位論文
  27. 條況健太(1995) 冲積河川の水邊生態環境とその整備について硏究. 東京大學博士學位論文
  28. Cortner, H. and M. Moote(1994) Trends and issues in land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setting its agenda for change. Environmental Management 18(2): 167-173 https://doi.org/10.1007/BF02393759
  29. Cortner, H., M. Wallace, S. Burke, and M. Moote(1998) Institutions matter: the need to address the institutional challenges of ecosystem managemen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0: 159-166 https://doi.org/10.1016/S0169-2046(97)00108-4
  30. Freeman, C. (1999)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the conservation of urban biodiversity. Urban Policy Res. 17(1): 51-61 https://doi.org/10.1080/08111149908727790
  31. Freeman, C. and O. Buck (2003) Development of an ecological mapping methodology for urban areas in New Zealand.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3:161-173 https://doi.org/10.1016/S0169-2046(02)00188-3
  32. Lackey, R. (1998) Seven pillars of ecosystem managemen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0: 21-30 https://doi.org/10.1016/S0169-2046(97)00095-9
  33. Lessard, G. (1998) An adaptive approach to planning and decision-mak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0: 81-87 https://doi.org/10.1016/S0169-2046(97)00100-X
  34. Lofvenhaft, K., C. Bjorn, and M. Ihse(2002) Biotope patterns in urban areas: a conceptual model integrationg bio diversity issues in spatial plann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8: 223-240 https://doi.org/10.1016/S0169-2046(01)00223-7
  35. Lofvenhaft, K., S. Runborg, and P. Sjogren-Gulve(2004) Biotope patterns and amphibian distribution as assessment tools in urban landscape plann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8: 403-427 https://doi.org/10.1016/S0169-2046(03)00154-3
  36. Motwkin, G., P. Wilson, D. R. Foster, and A. Allen(1999) Vegetation patterns in heterogeneous landscapes: the importance of history and environment.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10: 903-920 https://doi.org/10.2307/3237315
  37. Odun, E. P.(1971) Fundamentals of Ecology(3r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mpany
  38. Schueler, T.(1994) The importance of imperviousness. Watershed Protection Techniques 1(3): 100-111
  39. Slocombe, D. S.(1998) Definging goals and criteria for ecosystem-based manage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22(4): 483-493 https://doi.org/10.1007/s002679900121
  40. Sukopp, H. (1990) Urban Ecology-Plants and Plant Communities in Urban Environments-. Hague: SPB Academic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