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dependence of Corporate Control Mechanisms and Firm Performance in Korea

기업지배구조의 상호관계 및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6.06.08
  • Accepted : 2006.08.11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a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orporate control mechanisms, and its effects on firm performance. The corporate control mechanisms considered include the following; insider shareholding, institutional shareholding, the board of directors, dividend policy, and capital structure. This paper applies a simultaneous equation methodology and investigates the interdependence among the corporate control mechanisms. In the first part, the paper finds that firm-level variations of control mechanisms are large across time although average variations are relatively small. These variations are related to one another, which is confirmed by Granger causality test based on dynamic panel autoregression model. More specifically insider shareholding, institutional shareholding and outside director ratio cause each other. With regard to interdependence among the control mechanisms, 2SLS(two stage least squares)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insider shareholding and institutional shareholding are substitutes while institutional shareholding acts as complements to the ratio of outside members in the board of directors. Then in the second part, the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performance and corporate governance. Firm performance, measured by Tobin's Q, has a positive association with leverage ratio while that has a negative relation to outside director ratio. This suggests that there may be a room for reforming corporate governance in Korea.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independence of the outside directors.

본 논문은 내부자 지분, 기관투자자 지분, 사외이사비율, 부채비율, 그리고 배당 등 기업의 내 외부 지배구조 사이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고 기업의 내 외부 지배구조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업통제장치의 평균적인 변화는 상대적으로 작으나 기업별 변화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상호 연관되어 나타나는데, 동태적 패널벡터자기회귀모형을 통해 인과관계를 검정한 결과, 내부자 지분과 사외이사비율 및 기관투자자 지분 사이에 상호 인과관계가 존재하며, 부채비율과 기관투자자 지분은 배당과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단계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통제장치들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관계를 고찰하였는데, 내부자 지분과 기관투자자 지분은 대체적 관계, 내부자 지분과 부채비율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외이사에 의한 내부감시기능과 기관투자자의 외부감시기능이 상호 보완적이며, 배당은 다른 통제장치들과의 관계에 있어 부채비율과 유사한 성격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지배구조와 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사외이사비율은 기업성과를 제고하는 데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사외이사가 경영자 통제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사외이사의 독립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