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f Multidisciplinary Design Course: Focused on Learning Effectiveness of Interdisciplinary Teams

복합학제 설계 교과목 운영 사례와 학습효과 분석

  • Lee, Euy-Soo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chemical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 Cho, Sung-Ku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System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 Lee, Yong-Han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System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 Lee, Myung-Cheon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chemical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 Youm, Se-Kyoung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System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이의수 (동국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 조성구 (동국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
  • 이용한 (동국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
  • 이명천 (동국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 염세경 (동국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oday it is critical for all engineers to have the capability of interacting in teams with members of different background and to meet the challenges that they will encounters in their careers. To satisfy such needs multidisciplinary engineering-design courses are attracting more attentions than ever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community.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interdisciplinary design teams in an engineering design course in Dongguk University. The comparison analysis between monodisciplinary teams and interdisciplinary ones demonstrates higher learning effectiveness of interdisciplinary teams. In addition, the student evaluation of learning effectiveness points out that communication skil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a successful project. Such results show that multidisciplinary design courses must gain wider acceptance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engineering students must have more chances to experience multidisciplinary teamwork.

오늘날 공학도에게는 타 전공자들과 한 팀을 이루어 공동의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진행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학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복합학제 설계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국대학교에서 수행하였던 복합학제 설계교육의 사례를 통해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여 보았다. 단일전공자로 구성된 팀들과 복합전공자로 구성된 팀들간의 학업성취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복합팀의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은 팀의 의사소통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복합학제 설계교육이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사회에 나가기 전 수업을 통해 꾸준히 연습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식(2004). 공학교육방법 : 일본에서의 공학교육의 의미와 최근 공학교육정책의 변화, 공학교육, 11(1), 47-53
  2. 김춘길, 노태천(2001). 공학 교육의 미래 지향적 평가 방안. 공학교육의 발전방안.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8(2), 95-106
  3. 박영필(2004). 이공계 기피현상과 요구되는 변황. 공학교육, 11(4), 108-114
  4. 임윤묵(2004). 공학교육방법 : 미국 공학교육의 최근 동향. 공학교육, 11(3), 50-52
  5. 함승연(2003). 미국 공학교육 인증제도를 통해 본 공학교육의 발전방안.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8(2), 95-1096
  6. Borchardt, J. K.(1996), Navigating the New Workplace. Graduating Engineering, 17(3), 2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