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고분벽화의 복식을 응용한 현대 한복 디자인 연구

A Study on Mordern Hanbok Design Applied by the Costume in Koguryo Mural Painting

  • 김옥순 (동명정보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 진경옥 (동명정보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Kim, Ok-Soon (Dept. of Fashion Design, Tongmyong Univers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
  • Jin, Kyung-Ok (Dept. of Fashion Design, Tongmyong Univers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 투고 : 2005.10.11
  • 발행 : 2006.04.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to identify the nature of artistic beauty of Kokuryeo dresses and to apply the artistic beauty, formative uniqueness, and esthetic value of Kokuryeo in the modern Korean dress design for creation of new designs.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the fact that beauty of traditional dresses possesses highly valuable importance for application to modern fashion design processes. Kokuryeo dresses basically comprised of Yu, Sang, Go and Po, and contains within abstract beauty along with emphasis on geometric elements like dots, lines, and surfaces. Red, Black, Violet, Verdant and scarlet colors were moderately used against the mainly white canvas, and different colors were often used for the top and the bottom. Silk, Hemp cloth and Wool were used for different social levels or ranks, and from the wide variety of colors and patterns of the dresses, such as Round-patterns, Cloud-patterns and Vine-patterns, worn by the people illustrated on the wall paintings, it appears that various materials were used. Vertical hems, Yu (shirts), Sang (skirts), noblemen's dresses, kings' dresses, etc. from Kokuryeo tomb wall paintings were applied, and various dying methods, natural materials and sewing methods were used to recreate the unique features of Kokuryeo dresses in modern designs in an attempt to recreate the esthetic value of Kokuryeo dresse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철화 (1991) 고구려 벽화중의 사회 . 경제 . 중국 학계의 고려사 인식. 대륙연구소출판부, p.128
  2. 금기숙 (2002) 고구려 복식의 미학적 연구. 복식. 52, 111-122
  3. 김덕영 (1985) 고분벽화에 묘사된 복식조형의 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덕원 (1985) 고분벽화에 묘사된 복식조형의 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영자 (1990) 한국복식미의 연구 -예의관과 표현미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윤희 (1990) 2C세기 서양 패션에 나타난 동양 복식의 형태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정호 (2002) 고구려 벽화에 나타난 복식연구. 한남대학교 논문집, pp.93-107
  8. 안영길 (2003) '미학 예술학 사전' 미진사, 서울, p.264
  9. 양경애 (1995) 고구려인의 복식문화 고찰 -집안지역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복식, 25, 183-199
  10. 유송옥 (1980) 고구려 복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유송옥 (1993) '벽화에 나타난 고구려 복식 -고구려 고분벽화-' 조선일보사, 서울, p.212
  12. 유송옥 (1998) '한국복식사' 교학사, 서울, pp.46-47
  13. 유희경 . 김미자 . 조효순 . 박민여 . 신혜순 . 김영재 . 최은수 (2001) '우리옷 이천년' . 문화관광부 한국복식문화 2000년 조직위원회, p.10
  14. 이대일 (1996) '조형의 원리' 도서출판 예경, 서울, p.106
  15. 이영미 (1994)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 복식.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임영주 (1983) '한국문양사' 미진사, 서울, p.73,78,79
  17.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a)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I'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155,190,191,195,248,278
  18.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b)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II'.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79,91,262,281
  19. 조선일보 (1993) '집안 고구려 고분벽화' p.103,162,163, pp.128-129
  20. 채수명 (2002) '색채심리마케팅'. 도서출판 국제, 서울, p.12
  21. 최윤정 (2001) 복식에 나타난 색동의 미적 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다리가 셋 달린 까마퀴
  23. 두꺼비
  24. 삼국사기
  25. 新羅瓦博(2000)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pp.232-237
  26. 廣邊衣丹 (1997) '東洋文樣史'. 審山房, 東京, pp.302-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