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the Actual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Volunteer Activity in Australian Hospital

호주 일 지역의 병원 자원봉사활동 실태와 만족도

  • Park, Geum-Ja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Kosin University) ;
  • Choi, Hae-Young (School of Nursing and Midwifery, University of Newcastle)
  • Published : 2006.07.01

Abstract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volunteer activity in Australian hospital. Methods: Data was collected by self reported questionnaire from 101 volunteers and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test, ANOVA and Sheffe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SPSS 12.0. Results: 1. Years involved in volunteer work were $5{\sim}10$ years (32.7%), above 10 years (30.7%), $2{\sim}3$ years (11.9%) and $3{\sim}5$ years (10.9%). Types of volunteer work were physical care (32.7%), physical and emotional care (14.9%), and others (18.8%). Types of allocation of tasks were by volunteer coordination (55.7%), and by volunteer preference and consent between volunteer and coordinator (both respectively, 20.5%). Main reasons for volunteer work were to help sick people (61.4%) and to make good use of leisure time (22.8%). Routes to start volunteer work were from his (her) own inquiries (43.4%), from hearing from other volunteers (30.7%) and from mass media (13.1%). 80.2% of volunteers had received some kinds of training or preparation for volunteer work. Suitability of volunteer's skill and ability to voluntary work were 'very well' (74.0%) and 'mostly well' (18.0%). Reimbursements or benefits received for volunteer work were token or lunch or group outing (31.7%), and token and lunch or group outing (19.8%). Evaluation frequency for volunteer work was occasionally (372%), frequently (30.9%), always (17.0%) and never (14.9%). Relationship with volunteer work coordinator was very good (85.0%). The relationship with other volunteers was very good (81.2%). The relationship with hospital staffs was very good (69.7%) and mostly good (21.2%). Family and friend's support for volunteer work was very good (83.2%). 2 The mean score of satisfaction for the hospital volunteer activity was $3.09{\pm}0.49\;(range:\;1{\sim}4)$. The highest score domain was 'social contact', $3.48{\pm}0.61$, and the lowest was 'social exchange', $1.65{\pm}0.63$. An item of the highest score was 'I have an opportunity to help other people' ($3.83{\pm}0.40$), and the lowest score item was 'I will receive compensation for volunteer work I have done ($1.10{\pm}0.78$).' 3. The satisfaction from hospital volunteer activity was shown b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t=2.038, P=0.044), marital status (F=3.806, P=0.013), years involved in volunteer work (F=3.326), nam reason to do volunteer work (F=2.707, P=0.035), receive any training or preparation for volunteer work (t=-1.982, 0=0.050), frequency of evaluation for volunteer work (F=7.877, P=0.000), suitability of volunteer's skill and ability to voluntary work (t=2.712, P=0.049), relationship with volunteer work coordinators (F=-2.517, P=0.013), relation with hospital staffs (F=5.202, P=0.007), and support of their volunteer work by their family and friends (t=-3.394, P=0.001). Conclusion: The satisfaction of hospice volunteer activity was moderate. The satisfaction for hospice volunteer activity was shown b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t=2.038, P=0.044), marital status (F=3.806, P=0.013), years involved in volunteer work (F=3.326), main reason to do volunteer work (F=2.707, P=0.035), receive any training or preparation for volunteer work (t=-1.982, 0=0.050), frequency of evaluation for volunteer work (F=7.877, P=0.000), suitability of volunteer's skill and ability to voluntary work (t=2.712, P=0.049), relationship with volunteer work coordinator (F=-2.517, P=0.013), relation with hospital staffs (F=5.202, P=0.007), and family and friend's support for volunteer work (t=-3.394, P=0.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factor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voluntary work.

목적: 호주 일 지역의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이 실제 환자들에게 시행하고 있는 활동내용과 그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방법: 101명의 자가보고 질문지에 의해 자료수집되었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결과: 1. 병원에서의 봉사활동경력은 $5{\sim}10$년이 32.7%, 10년 이상이 30.7%, $2{\sim}3$년이 11.9%, $3{\sim}5$년이 10.9%의 순이었다. 주요 봉사활동 형태는 신체적 간호가 32.7%, 신체 및 정서적 간호가 14.9%, 기타가 18.8%의 순이었다. 봉사업무할당 방법은 봉사활동 조정자에 의해서가 55.7%, 봉사자의 뜻에 따라서와 봉사자와 조정자의 합의에 의해서가 각각 20.5%의 순이었다. 봉사활동을 하는 주요 이유는 아픈 사람을 돕고 싶어서가 61.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여가시간을 선용하기 위해서가 22.8%였다. 봉사활동을 시작하게 된 경로는 자신의 조사에 의해서가 43.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다른 봉사자로부터 듣고서가 30.7%, 대중매체로부터가 13.1%의 순이었다. 봉사활동관련 교육을 받은 여부는 받았다가 80.2%였다. 봉사활동업무가 자신의 기술과 기능에 맞는 정도는 아주 잘 맞는다가 74.0%였고, 다음은 대체로 맞는다가 18.0%로 대체로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활동에 대해 받는 보상은 토큰이나 점심 혹은 집단 소풍이 31.7%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토큰과 점심이나 집단 소풍이 각각 19.8%였다. 봉사활동에 대한 평가빈도는 이따금이 37.2%, 자주가 30.9%, 항상이 17.0%, 전혀 안 함이 14.9%의 순이었다. 봉사활동조정자와 관계는 매우 좋다가 85.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른 봉사자와의 관계는 매우 좋다가 81.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병원직원과의 관계는 매우 좋다가 69.7%였고, 다음은 대체로 좋다가 21.2%의 순이었다. 봉사활동에 대해 가족이나 친구의 지지는 어떠한가는 매우 좋다가 83.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대상자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평점 $3.09{\pm}0.49$(도구범위 $1{\sim}4$점)로 중간정도이었다.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영역은 사회적 접촉영역($3.48{\pm}0.61$)이었고, 다음은 성취영역($3.43{\pm}0.53$), 사회적 인정영역($3.35{\pm}0.70$)의 순이었다. 만족도가 가장 낮았던 영역은 사회적 교환영역($1.65{\pm}0.63$)이었다. 3.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봉사활동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t=2.038, P=0.044), 결혼상태(F=3.806, P=0.013)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자원봉사활동 실태에 따른 봉사활동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병원봉사활동기간(F=3.326, P=0.008), 봉사활동을 하는 주된 이유(F=2.707, P=0.035), 봉사활동을 위한 교육을 받은 여부(t=-1.982, P=0.050), 봉사활동의 평가 빈도(F=7.877, P=0.000), 봉사활동이 자신의 기술이나 능력에 적합도(F=2.712, P=0.049), 관리자와의 관계(t=-2.517, P=0.013), 다른 병원직원과의 관계(F=5.202, P=0.007), 자원봉사자로서의 활동에 대해 가족이나 친지로부터의 지지(t=-3.394, P=0.001)에 따라 봉사활동 만족도가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중간정도이었고, 봉사활동 만족도는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서는 성별(t=2.038, P=0.044), 결혼상태(F=3.806, P=0.013)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원봉사활동 실태에 따라서는 병원봉사활동기간(F=3.326, P=0.008), 봉사활동을 하는 주된 이유(F=2.707, P=0.035), 봉사활동을 위한 교육을 받은 여부(t=-1.982, P=0.030), 봉사활동의 평가 빈도(F=7.877, P=0.000), 봉사활동이 자신의 기술이나 능력에 적합도(F=2.712, P=0.049), 관리자와의 관계(t=-2.517, P=0.013), 다른 병원직원과의 관계(F=5.202, P=0.007), 자원봉사자로서의 활동에 대해 가족이나 친지로부터의 지지(t=-3.394, 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를 관리할 때에 위의 요인들을 고려할 것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