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흙 건축재료 현황 및 건축환경 관련 물성 평가에 관한 연구

The State of the Art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al Property Evaluation of Earth Construction Material

  • 송설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
  • 구보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
  • 송승영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 발행 : 2006.12.30

초록

As a deman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ises, the preference for earth house (earth construction) increases gradually. However, there are few data for predicting and evaluating the thermal environment and indoor air quality of earth house. Thus,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rmal properties(thermal conductivity, density and specific heat) and pollutants emission intensities(formaldehyde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current main earth construction materials and make a comparison between earth and cement construction materials. As results, quantitative thermal properties and pollutants emission intensities of current main earth construction materials are shown.

키워드

참고문헌

  1. 손부순, 양원호, 실내공기오염, 신광문화사, 2006
  2. 송승영, 공동주택 외피접합부 열교부위의 최적단열상세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2
  3. 유형규, 박진철, 이언구, 실내건축자재 롬알데하이드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1권 7호, 2005.7
  4. 이케다 코우이치, 양성봉, 유미진, 안철 역, 실내공기오염의 원인과 대책,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출판부, 2004
  5. 장용성, 박효순, 친환경 점토질 다공블럭 벽체의 열성능 분석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4권 3호 2004.9
  6. 차정만, 지속가능한 건축재료의 개발과 흙, 대한건축학회지, 2003.12
  7. 한경희, 김자경, 생태학적 관점에 의한 환경친화적 건축 재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41권, 2003.12
  8. 황혜주, 환경친화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환경친화형 재료개발, 한국그린빌딩협의회 2004 춘계학술강연회, 2004
  9. ASHRAE, ASHRAE Handbook 2005 Fundamentals, ASHRAE, 2005
  10. F.P. Incropera and D.P. Dewitt, Introduction to Heat Transfer, Fourth Edition, Wiley,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