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A Relationship Between Topography Dissected Degree Analysis And Agriculture Land Use using GIS -A Case of Gangneungnamdae River Watershed-

GIS를 이용한 개석도와 농업적 토지이용과의 관계 분석 - 강릉남대천 유역권을 대상으로 -

  • Kim, Chang-Hwa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6.11.14
  • Accepted : 2006.12.18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is study conducts mapping of the results of topographical dissected degree analysis using GIS and analyzes relation between dissected degree and land use of study area. Application of GIS typographical dissected degree analysis can greatly save time and efforts comparing with traditional manual work, and makes it possible to vary analysis variables widely, which gives possibility to carry out 2-dimensional research using these results. This study, taking start from such background, tries to find the way to carry out dissected degree analysis with the use of GIS, compar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ith the land use map, and tries to find the way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basin dissected degree and agricultural land use of Gangneungnamdae river study area show that for agricultural land use topographical dissection is mostly distributed in quite developed area. Specifically, land used for paddy and dry fields appeared to have higher level of correlation with dissection degree. When comparing dissected degree and agricultural land use interrelation for each area, comparison of intensively formed urban districts with suburbs showed low correlation.

이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지형의 개석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지도화 하여, 연구지역의 개석도와 토지이용과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지형의 개석도 분석에 GIS의 활용하면 전통적인 수작업에 비하여 시간과 노력이 획기적으로 절약되고 개석도 분석에 적용되는 변수를 다양화 할 수 있으며, 그 결과물을 이용한 2차적인 연구도 가능하다. 이 연구도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하여 GIS를 활용한 개석도 분석 방법을 모색하고, 개석도의 분석 결과와 토지이용도를 비교 분석하여, 개석도의 분석 결과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을 시도하였다. 연구지역인 강릉 남대천 유역권의 개석도와 농업적 토지이용 사이의 관계 분석 결과, 농업적 토지이용 대부분 지형의 개석이 많이 진행된 지역에 분포한다. 특히, 농업적 토지이용 중 논과 밭으로 이용되는 토지가 개석도와 더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지역별로 개석도와 농업적 토지이용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을 때 토지이용이 집약적으로 이루어지는 동지역이 읍면지역에 비하여 상관성이 낮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