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s of Depositional Landforms in the Downstream Reach of Cha-Cheon

차천(車川) 하류 구간의 퇴적지형 변화

  • Yu, Tai-Il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 유태일 (대구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anges in the depositional landform in the channel of Cha-cheon, a branch stream of Nakdong river(main stream) since the artificial straight channel has been constructed in 1973.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 First, the Cha-cheon has flooded over one time in a year, and flowed backward over three times annually, according to analyze the data of the Hyeonpoong Gauging Station of rainfall and water level during a decade(1993$\sim$2002). Second, the flood plain within the artificial straightened channel has a nearly plain profile between the small dike and last riffle(point A). Deposits thickness of flood plain reduce gradually toward upstream. Third, grain size distribution of the flood plain deposits(0$\sim$20cm) within the artificial straightened channel has a coarsening trend in downstream reach of C point. It implies that the backward flow of Nakdong river(the main stream of Cha-cheon) make effect on the depositional mechanism of lowest reach in Cha-cheon. Finally, the result of analyzing grain size distribution of the flood plain deposits(0$\sim$20cm) within the artificial straightened channel implies that the c-point is the boundary between the vertical deposition of suspended load due to the backward flow of Nakdong river and the deposition of bed load supplied from hillslope of Cha-cheon basin.

본 논문에서는 낙동강의 소규모 지류인 차천의 합류 구간에서, 1973년 직강화 이후 직강 하도 내에 이루어진 퇴적지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풍 우량 및 수위관측소의 10년간(1993$\sim$2002) 강우량과 수위자료를 분석해 보면, 1년에 1회 이상 범람하였고, 연평균 3회 이상 역류를 하였다. 둘째, 차천 직강 하도내의 범람원은 보(洑)에서 최종 여울(A 지점) 사이에서 거의 평탄한 단면을 나타낸다. 직강하도 내의 범람원의 두께는 상류로 가면서 얇아진다. 셋째, 직강 하도 내 범람원 퇴적물의 0$\sim$20cm 깊이의 평균입경은 C 지점 하류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여 본류인 낙동강의 역류에 따른 퇴적 메카니즘을 추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직강 하도 내의 범람원상의 퇴적물을 분석한 결과, 낙동강의 역류에 따른 부유하중의 침전에 의한 수직퇴적과 사면에서 공급된 하상하중의 퇴적이 c번 지점을 경계로 구분을 의미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