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and Form Indices to the Standardization of Development Available Lands, using GIS

GIS 기반 개발가능지 정형화를 위한 토지형상기준 적용에 관한 연구

  • 김정훈 (국토연구원 GIS연구센터) ;
  • 채명기 (국토연구원 GIS연구센터) ;
  • 조춘만 (국토연구원 지역도시연구실)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The current study aims at the design of GIS-based systematic and quantitative standards for development available land forms, precluding any planners' subjective manipulation of those irregular lands. More specifically, first, as the elements of land form standards, both LFI (Land Form Index) and ARCI (Adjusted Related Circumscribing Circle Index) are proposed. Second, through the sample survey of ready-developed residential areas, standard minimum and maximum values for LFI and ARCI were extracted. Thir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ose standardized ranges of LFI and ARCI values, actual land form standardization process was performed for the lands with LFI and ARCI indices, falling below the range of standardized values. The significance of the current study lies within the objective proof of the possibility of GIS-supported land form standards applications to actual case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LFI and ARCI as land form standard indices.

본 연구는 개발가능지 분석과정에서 부정형 토지에 대한 정형화의 과정에서, 기존에 적용되어 온 작업자의 주관적 판단을 배재하고, GIS기반 토지형상 기준을 마련하여 일련의 개발가능지 정형화과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토지형상의 계량화 지표들로서 토지형상지표(LFI, Land For Index) 및 조정된 선형성지표(ARCI, Adjusted Related Circumscribing Circle Index)를 제시하였다. 둘째, 수도권 기존 택지개발(예정)지구들에 대한 사례조사 분석을 통해 표준 최대 및 최소 LFI 및 ARCI 지표값들을 추출하여 표준 토지형상기준 설정에 이용하였다. 셋째, 실제 사례에서 추출된 LFI 및 ARCI 지표값들의 분포를 기반으로 표준영역기준을 설정하고, 실제 토지를 대상으로 LFI 및 ARCI값 관련 토지형상지표 표준영역에서 벗어난 부정형토지들에 대한 개발가능지 정형화과정을 추가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개발가능지 사례들을 가지고 다양한 부정형토지들의 객관적인 정형화를 실현하고자, GIS기반 토지형상기준 설정 및 적용을 통한 그 실현가능성을 객관적으로 보여준 데 그 의의가 있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준환 (2001), 도시토지이용분류 코딩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19권 4호, pp. 385-393
  2. 고준환 (2002), 토지관련 업무의 정보화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20권 1호, pp. 93-101
  3. 민숙주, 김계현, 박태옥, 전방진 (2004), GIS기반의 통계정보를 이용한 토지이용 분류, 한국측량학회 2004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343-347
  4. 오윤표, 임재문 (2004), 도시토지의 획지규모 및 최적형상결정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 57-70
  5. 이성호 (1988), 부산지역 개발가용지분석, 국토연구, 국토개발연구원, 제11권, pp. 141-157
  6. 이정 (2002), GIS를 이용한 관광지 개발 후보지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광앙시를 사례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장동규 외 15명 (2000), 환경친화적 택지개발편람, 건설교통부 한국토지공사
  8. 황지욱 (2002), 보전지역과 개발기능지의 설정에 관한 연구: 경기도 접경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논총, 한독사회과학회, 저112권, pp. 197-215
  9. Das, J. K. and Nautiyalb, J. (2004), Forest variability index: a vector quantifying forest stand diveristy and forest compactness, Forest Policy and Economics 6, pp. 271-288 https://doi.org/10.1016/j.forpol.2004.03.003
  10. Ebdon, D. (1985), Statistics in Geography, Basil Blackwell, Oxford
  11. Hong S. H., Barry E. D. and David J. M.(2000), An aggregation index(AI) to quantify spatial patterns of landscapes, Landscape Ecology 15, pp. 591-601 https://doi.org/10.1023/A:1008102521322
  12. Li, X. and Yeh, A. G. (1998), Sustainable land development model for rapid growth areas using GI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2, pp. 169-189 https://doi.org/10.1080/136588198241941
  13. Li, X. and Yeh, A. G. (2004), Analysing Spatial restructuring of land use patterns in a fast growing region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9, pp. 335-354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3.10.033
  14. Lovejoy, S. (1982), Area-perimeter relation for rain and cloud areas, Science 216, pp. 185-187 https://doi.org/10.1126/science.216.4542.185
  15. McGarigal, K. and Marks, B. J. (1994),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FRAGSTATS version 2.0, Oregon State Univ, Corvallis
  16. Patton, D. R. (1975), A diversity index for quantifying habitat 'edge', Wildlife Society Bulletin 3, pp. 171-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