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GIS-based Soil Loss Amount in Considering Basin Characteristics

유역특성을 고려한 GIS 기반 토양침식량 평가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Soil erosion has caused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which threaten the foundation of natural resources. In this paper, we chose RUSLE erosion model, which could be connected easily with GSIS and available generally in mid-scale watershed among soil erosion models, and extracted factors entered model by using GSIS spatial analysis method. First, this study used GIS database as soil map, DEM, land cover map and rainfall data of typhoon Memi (2003) to analyze soil loss amount of Dam basin. To analyze the changes of soil loss in considering basin characteristics as up-, mid- and downstream, this study calculated soil erodibility factor (K), topographic factors (LS), and cover management factor (C). As a result of analysis, K and LS factors of upstream showed much higher than those of downstream because of the high ratio of forest. But C factor of downstream showed much higher than that of upstream because of the high ratio of agricultural area. As a result of analysis of soil loss, unit soil loss of upstream is 4.3 times than soil loss of downstream.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for upstream is more efficient to reduce soil loss.

토양침식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자원의 기반을 위협하는 중요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 침식모형중 GIS와의 연계가 가능하고 중규모유역에서 범용적으로 활용가능한 RUSLE 침식모형을 선정하여 모형에 입력되는 인자들을 GS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추출하였다. 먼저 댐 유역의 토양침식량 평가를 위해 토양도, DEM, 토지피복도와 같은 GIS 자료와 2003년 태풍매미 강우사상을 적용하고, 상하류 유역특성을 고려한 토양침식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토양침식인자, 지형인자 그리고 식생피복인자를 분석한 결과, 상류유역에서는 산림의 높은 비율로 인해 토양침식인자와 지형인자의 평균값이 하류유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반면 하류유역에서는 완만한 경사의 농경지의 영향으로 식생피복인자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하류 유역특성을 고려한 토양침식량 평가 결과, 상류유역의 단위토양침식량이 하류유역보다 약 4.3배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토양침식 저감을 위한 유역대책 수립시 상류유역을 중점 대상지역으로 선정하는 것이 효과 적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경훈 (2003), GIS 및 RUSLE 기법을 활용한 금호강 유역의 토양침식위험도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6권, 제4호 pp. 24-36
  2. 신계종 (1999),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유역의 토양유실분석,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3. 이환주, 김환기 (2001), GSIS 공간분석을 활용한 토양침식모형의 입력인자 추출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19권, 제1호, pp. 27-37
  4. 장영률, 이근상, 조기성 (2002), GIS 기반에서 토양침식의 정량화를 위한 해상도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제10권, 제2호, pp. 301-316
  5. 정필균, 고문환, 임정남, 임기태, 최대웅 (1983), 토양유실량 예측을 위한 강우인자의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한국토양비료학회, 제16권, 제2호 pp. 112-118
  6. 한국수자원공사 (2003), 안동다목적댐 관리연보
  7. 한국수자원공사 (2004), 임하댐 탁수저감방안 수립
  8. 현병근, 검무성, 엄기철, 강기경, 윤홍배, 서명철, 성기석 (2002), USLE 모형과 대체법을 이용한 밭농사의 토양유실 저감기능 계량화 평가, 한국토양비료학회지, 한국토양비료학회, 제35권, 제 6호, pp. 361-371
  9. 환경부 (2005),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지도 구축
  10. Andrew A. Millward (1998), Mapping and Modelling Soil Erosion Potential in the Sierra De Manantlan Biosphere Reserve, Mexico, A thesis Presented to The Faculty of Graduate Studies of The University of Guelph
  11. Desmet, P.J., Govers, G. (1996), Comparison of routing algorithms for digital elevation models and their implications for predicting ephemeral gulli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Vol. 10, No. 3, pp. 311-331 https://doi.org/10.1080/02693799608902081
  12. Erickson, A.J. (1997), Aids for estimating soil erodibility - K value class and soil loss toleran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Soil Conservation Service, Salt Lake City of Utah
  13. Hudson, N. (1977), Soil Conservation, Ithaca : Cornell University Press
  14. Nearing, M. A. (1997), A single, continuous function for slope steepness influence on soil los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61(3), pp. 917-919 https://doi.org/10.2136/sssaj1997.03615995006100030029x
  15. Wischmeier, W. H. and D. D. Smith (1978),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 A Guide to Conservation, Agricultural Handbook,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