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pplication of $^{13}C$ Tracer for the Determination of Size Fractionated Primary Productivity in Upper Stream of Lake Shihwa

$^{13}C$ 추적자를 사용한 시화호 상류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크기에 따른 1차생산성 측정에 관한 연구

  • Lee, Yeon-J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Marine Sciences, Hanyang University) ;
  • Kim, Min-Seob (Department of Environmental Marine Sciences, Hanyang University) ;
  • Won, Eun-Ji (Department of Environmental Marine Sciences, Hanyang University) ;
  • Shin, Kyung-H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Marine Sciences, Hanyang University)
  • 이연정 (한양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 김민섭 (한양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 원은지 (한양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 신경훈 (한양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Primary productivity was determined by using $^{13}C$ tracer according to different cell size of phytoplank-ton through in situ incubation experiments in upper stream of the Lake Shihwa.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was 14 ${\mu}g\;L^{-1}$ demonstrating an eutrophic water. The ratio of POC/Chl-a was lower than 30, reflecting that the origin of organic matter might be mainly phytoplankton. The primary productivity was 93.9 mgC m^{-2}\;d^{-1}$ at St. 1, which was about 40-fold low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lake (3,972 mgC m^{-2}\;d^{-1}$) determined by Choi et al. (1997) before opening of gate but it was higher than the average primary productivity (3.98 mgC m^{-2}\;d^{-1}$) reported by KOWACO in 1993 before constructing dam. The fractionated size (20 ${\sim}$ 53 ${\mu}m$) of phytoplankton community account for 51% of total primary productivity, indicating the highest assimilation rate. This study suggest that $^{13}C$ tracer methodology should be applied as a useful approach for the water ecological research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시화호 상류역의 한 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을 크기별로 구분하여 $^{13}C$추적자를 이용한 현장 배양실험을 통해 각각의 1차생산성을 측정하였다. 연구정점에서 평균 엽록소 a의 농도는 약 14 ${\mu}g\;L^{-1}$로 부영양 해역의 분류기준인 10 ${\mu}g\;L^{-1}$ 보다 높은 값을 보이므로, 이 해역은 부영양화 상태라고 판단한 수 있다. 배양 후의 입자성유기탄소와 엽록소 a의 농도비는 30이하로 유기탄소의 주요 기원은 식물플랑크톤이었다. 표층에서는 총 1차생산량이 가장 크지만, 저층에서는 20 ${\mu}m$보다 작은 식물플랑크톤의 1차생산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동물플랑크톤의 제거에 의한 결과로 추측된다. 이번 일구정점에서의 기초생산 속도는 93.9 mgC m^{-2}\;d^{-1}$로 1997년 배수갑문 개방 전에 측정된 평균값 (3,972 mgC m^{-2}\;d^{-1}$)의 1/40수준이었으나 1993년 물막이 공사 이전에 측정된 평균값 (3.48 mgC m^{-2}\;d^{-1}$)보다는 높았다. 20 ${\sim}$ 53 ${\mu}m$ 크기의 식물플랑크톤이 1차생산에 51%의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화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이들의 생장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시화호에서 처음으로 식물플랑크톤 크기에 따른 1차생산성을 $^{13}C$추적자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방법은 방사성 동위원소인 $^{14}C$에 비해 안전하며, 분자준수의 생산 유기물 조성을 규명한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향후 수권 생태계 물질순환 및 에너지흐름에 관한 연구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연식, 최중기, 정경호, 박용철. 1992. 서해 중동부 연안수역과 경기만에서 일차생산력과 동화계수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27(3): 237-246
  2. 김동섭, 김범철. 1990. 팔당호의 일차생산. 한국육수학회지 23: 167-179
  3. 김범철, 조규송, 허우명, 김동성. 1989. 소양호 부영양화의 추이. 한국육수학회지 22(3) : 151-158
  4. 박준건, 김은수, 조성록, 김경태, 박용철. 2003. 시화호 수질의 연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 Ocean and Polar Research 25 (4): 459-468 https://doi.org/10.4217/OPR.2003.25.4.459
  5. 신윤근, 심재형, 조준성, 박용철. 1990. 천수만 미세플랑크톤의 상대적중요성 : 종조성, 개체수, 클로로필 및 일차생산력. 한국해양학회지 25(4): 217-228
  6. 신재기, 김동섭, 조경제. 2000. 시화호에서 무기영양염과 식물 플랑크톤의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33(2): 109-118
  7.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1984. 1982년도 광양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19(2): 172-186
  8. 이준백, 좌종헌, 강동우, 공유봉, 오봉철. 2000. 제주도 문섬 산호서식지 주변의 생물생태학적 특성 : II. 식물플랑크톤의 군집동태와 1차생산력. Algae 15(1): 37-47
  9. 정성민, 김형봉, 김범철. 2001. 한강하류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 및 유기물부하. 기초과학연구집 12: 121-128
  10. 최중기, 이은희, 노재훈, 허성희. 1997. 시화호와 시화호 주변 해역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과 일차생산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2(2): 78-86
  11. 한국 수자원 공사. 1993. 93 시화지구 개발 시화 공업단지 조성사업 환경 관리조사. 317pp
  12. 한국해양연구소. 1999. 시화호의 환경변화조사 및 보전대책 수립에 관한 연구. 50-62pp
  13. 해양수산부. 2001. 시화호 지역포럼 자료집 2001년 3월 제2 차. 71-72pp
  14. 황길순, 김동섭, 허우명, 김범철. 1994. 대청호의 일차생산과 가두리양어장 및 유역으로부터의 유기물부하량. 한국육수학회지 27(4): 299-306
  15. Cole, B.E., J.E. Cloern and A.E. Alpine. 1986. Biomass and productivity of three phytoplankton size classes in San Francisco Bay. Estuaries, 9: 117-126 https://doi.org/10.2307/1351944
  16. EPA. 1976. Water quality criteria research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roceed of EPA sponsored symp, EPA 600. 185pp
  17. Eppley, R.W., W.G. Harrison, S.W. Chisholm and E. Stuart. 1977.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surface waters off California and its relation to photosynthesis. Journal of Marine Research, 35: 671-696
  18. Falkowski, P.G. 1981. Light-shade adaptation and assimilation numbers. J. Plankton Res., 3: 203-216 https://doi.org/10.1093/plankt/3.2.203
  19. Hama, T., T. Miyazaki, Y. Ogawa, T. Iwakuma, M. Takahashi, A. Otsuki and S. Ichimura. 1983. Measurement of photosynthetic production of a marine phytoplankton population using a stable ${^13}C$ isotope. Mar. Biol. 73: 31-36 https://doi.org/10.1007/BF00396282
  20. Malone, T.C. 1980. Size-Fractionated Primary Productivity of Marine Phytoplankton. In; Primary Productivity in the sea (P.G. Falkowskj; Ed.). Plenum Press, New York. 301-319pp
  21. Marchetti, R. 1984. Quadro analytico complessivo dei resultari delle iodangini condeno ndgli acquae costiere dell'Emilia Romagan: situazione e ipostesi de intervento, Regione Emilia Romagna, 310pp
  22. Montagnes, D.J.S., J.A. Berges, P.J. Harrison and F.J.R. Taylor. 1994. Estimating carbon, nitrogen, protein and chlorophyll a from volume in marine phytoplankton. Limnol. Oceanogr. 39: 1044-1060 https://doi.org/10.4319/lo.1994.39.5.1044
  23. Park, C., K.H. Choi and C.H. Moon. 1991.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Asan Bay, Korea with Comments on Vertical Migration. Bull. Korean Fish. Soc. 24(6): 472- 482
  24. Roger, C. 1971. Les Euphausiaces du pacifique equatorial et sud-tropical zoogeographe, ecologie, biologie et situation trophique, provence, marseille; These d'Etat, Univ
  25. Ryther, J.H. 1969. Photosynthesis and fish production in the sea. Science 166: 72-76 https://doi.org/10.1126/science.166.3901.72
  26. Satoh, H., Y. Yamaguchi, N. Kokubun and Y. Aruga. 1985. Application of infrared absorption spectrometry for measuring the photosynthetic production of phytoplankton by the stable ${^13}C$ isotope method, La mer. 23: 171-176
  27. Slawyk, G. 1979. 13C and 15N uptake by phytoplankton in the Antarctic upwelling area: Results from the Antiprod I cruise in the Indian Ocean sector, Aust. J. Mar. Freshwater Res. 30: 431-448 https://doi.org/10.1071/MF9790431
  28. Slawyk, G., Y. Collos and J.C. Auclair. 1977. Ther use of the ${^13}C$ and ${^15}N$ isotope for the simultnaeous measurement of carbon and nitrogen turnover rates in marine phytoplankton. Limnol. Oceanogr. 22: 925-932 https://doi.org/10.4319/lo.1977.22.5.0925
  29. Strickland, J.D.H. and T.R. Pearsons. 1968.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Bull. Fish. Res. Bd. Can. 167: 311
  30. Walsh, J.J. 1976. Models of the Sea. In : The ecology of the sea (D.H. Chshing and J.J. Walsh., eds.). Black well Sci. Publ., Oxford. p. 389-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