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d Production in South Korea

한국의 잔디 생산 현황

  • 최준수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 양근모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data on current sod production in South Korea. Fifteen items were surveyed including production acreage, species and cultivars, experience on farming, production cost and the others during April to October in 2006. To estimate production acreage, 73 turfgrass growers were interviewed. Estimated acreage for turfgrass production was 2,947 ha. Acreages by province were 1,417 ha in Jeollanam-do(48%), 442 ha in Jeollabuk-do(14.9%), 344 ha in Gyeonggi-do(11.6%), 248 ha in Gyeongsangnam-do(8.4%), and 240 ha in Chungcheongnam-do(8.1%), respectively. The major sod producing regions were Jangseong-gun, Hampyeong-gun, Yeonggwang-gun, Gochang-gun, Sacheon city, Iksan city, Yeoju city, Yeoncheon-gun. Percentage of turf growers over 50 years old was 72.4 percent, which means production was carried out mainly by old farmers. Grower's career over 10 years was 84.8%. Cultivated species and varieties were 'Junggi'(55.5%) of fine-textured Korean lawngrass, common Korean lawngrass(37.4%), Kentucky bluegrass(3.8%), and new zoysiagrass cultivars(0.1%), respectively. Sod size were variable. Sod size of $18{\times}18cm $ was 43.5 percent. Sales route was mainly through sod distributor(40.5%). Sod producing cost was $2,160{\sim}2,730$ won per square meter at Jeolla-do areas.

본 연구는 국내 잔디생산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배면적, 재배초종, 경영농가 현황,잔디유통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06년 4월부터 10월까지이며, 각시도별로 잔디재배를 많이 하고 있는 곳을 방문하여 15개 항목을 설문조사 하였다. 재배면적은 설문조사와 지역 재배농민의 추정치, 그리고 방문에서 제외된 지역은 2006년 산림청조사 자료를 종합하여 결정하였다. 기타 조사항목은 항목별 응답 인원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조사결과 국내 총 잔디 재배면적은 2,947ha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전남 1,417ha(48%), 전북 442ha(14.9%), 경기 344ha(11.6%), 경남 248ha(8.4%), 충남 240ha(8.1%) 순으로 나타났다. 잔디 주 생산단지는 장성군, 함평군, 영광군, 고창군, 사천시, 익산시, 여주시, 연천군 등으로 조사되었다. 경영주 나이는 51세 이상이 72.4%로 노령화되어 있었으며, 재배경력은 10년 이상이 84.4%로 나타났다 전문경영의 형태를 보였다. 잔디재배 초종은 중지계통의 들잔디가 55.5%, 일반 들잔디가 37.4%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켄터키블루그래스가 3.8%, 한국잔디 신품종이 0.1% 등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잔디의 출하 규격은 다양했으며 $18{\times}18cm$ 규격으로 출하하는 경우가 43.6%로 가장 많았다. 출하형태는 위탁판매가 40.5%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남지역의 생산단가는 $2,160{\sim}2,730$$/m^2$ 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두환, 藤崎健一郞, 이재필, 김종빈, 김석정. 1999. 한국과 일본의 학교 잔디운동장 현황. 한국잔디학회 13(2): 91-100
  2. 김인섭. 1996. 골프장과 환경. 한국골프장사업회. pp. 81-115
  3. 농림부. 2006. 2005년 화훼재배현황
  4. 산림청. 2006. 2005년 임산물생산통계
  5. 윤정호, 이재필, 김두환. 2006. 잔디 생산 특허기술의 현황 및 산업화. 한국잔디학회지 20(1): 107-118
  6. 이재필, 김석정, 서한용, 이상재, 정종일, 한인송, 김두환. 2001. 미국 플로리다주의 잔디 산업 기여도와 한국 잔디 산업의 현황 및 전망. 한국잔디학회지 15(4): 187-198
  7. 미성잔디영농조합법인. 2005. 잔디재배지현황
  8. 최준수, 안병준, 양근모. 1997. 남, 서해안 및 도서지역에 자생하는 한국잔디류의 분포 및 형태적 특성을 이용한 분류. 한국원예학회지 38(4): 399-407
  9. 최준수, 양근모. 2004. 한국잔디 신품종 '세녹(Senock)' 개발. 한국잔디학회지 18(4): 201-209
  10. 통계청. 2006. 한국표준산업분류
  11. Beard, J.B. 1973. Turfgrass: science and culture.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J
  12. Choi, J.S., B.J. Ahn, and G.M. Yang. 1997. Classification of zoysiagrass(Zoysia spp.) native to the southwest coastal regions of Korea using RAPDs. J. Kor. Soc. Hort. Sci. 38(6): 789-795
  13. Christians, N.E. 1998. Fundamentals of turfgrass management. Ann Arbor Press, Inc. pp. 3-4
  14. Watson, J.R., H.E. Kaerwer, and D.P, Martin. 1997. The turfgrass industry. p.30-89. In: D.V Waddington, R.N. Carrow, and R.C. Shearman(eds.), Turfgrass. ASA, CSSA and SSSA Madison, WI,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