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Reform Model to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Public Institution -from Reform to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2006-

행정기관의 기록관리시스템 개선모델 분석 -2006년 기록관리시스템 혁신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6.10.30

Abstract

Externally, business environment in public institution has being changed as government business reference model(BRM) appeared and business management systems for transparency of a policy decision process are introduced. After Records Automation System started its operation, dissatisfaction grows because of inadequacy in system function and the problems about authenticity of electronic records. With these background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Service had carried out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for Reform to Records Management System' for 5 months from September, 2005. As result, this project reengineers current records management processes and presents the world-class system model. After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ct was made, the records management in public institution has propelled the concept that paper records are handled by means of the electric data management. In this reformed model, however, we concentrates on the electric records, which have gradually replaced the paper records and investigate on the management methodology considering attributes of electric records. According to this new paradigm, the electric records management raises a new issue in the records management territory. As the major contents of the models connecting with electric records management were analyzed and their significance and bounds were closely reviewed, the aim of this paper is the understanding of the future bearings of the management system. Before the analysis of the reformed models, issues in new business environments and their records management were reviewed. The government's BRM and Business management system prepared the general basis that can manage government's whole results on the online and classify them according to its function. In this points, the model is innovative. However considering the records management, problems such as division into Records Classification, definitions and capturing methods of records management objects, limitations of Records Automation System and so on was identified. For solving these problems, the reformed models that has a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business classification, extended electronic records filing system, added functions for strengthening electric records management and so on was proposed. As regards dramatically improving the role of records center in public institution, searching for the basic management methodology of the records management object from various agency and introducing the detail design to keep documents' authenticity, this model forms the basis of the electric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spite of these innovations, however, the proposed system for real electric records management era is still in its beginning. In near feature, when the studies is concentrated upon the progress of qualified classifications, records capturing plans for foreign records structures such like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the further study of the previous preservation technology, the developed prospective of electric records management system will be very bright.

외부적으로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을 위한 업무관리시스템이 도입되고 업무혁신을 위한 범정부 기능분류체계가 수립되어 행정기관의 업무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동시에 자료관시스템이 본격적으로 가동됨에 따라 미비한 기능에 대한 불만이 가중되고, 전자기록의 진본성 유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기록관리 혁신의 일환으로 '05년 9월부터 5개월간 국가기록원에서는 '기록관리시스템 혁신 정보화전략계획수립(ISP)' 용역사업을 수행하였다. 이 용역사업에서는 기존의 기록관리프로세스를 전자기록관리체계에 걸맞게 재설계하였고,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시스템 모델을 제시하였다. 기록물관리법 제정이후, 행정기관의 기록관리는 종이기록을 전자적으로 관리하는 개념에서 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번에 수립된 개선모델에서는 종이기록을 대체해 가고 있는 전자기록에 주목하고 전자기록의 속성을 고려한 관리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것은 행정기관의 업무가 전산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이 보편화되어 감에 따라, 기록관리영역에서도 본격적으로 전자기록관리 문제가 이슈화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기록관리와 관련된 개선모델의 주요내용을 분석하고 그 의미와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의 향후 방향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선모델 분석에 앞서, 변화된 행정환경과 그에 따른 기록관리상의 제문제를 검토하였다. 업무관리시스템과 정부의 기능분류체계는 업무측면에서 범정부의 실적을 온라인으로 관리하고 정부기능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는 공통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나, 기록관리측면에서는 기록관리대상의 재정의와 획득방법의 부재, 기록물분류기준표와의 이원화, 그리고 자료관시스템의 전자기록관리의 한계 등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기록관리시스템 개선모델에서는 확대된 기록관리대상을 포괄할 수 있는 범용적인 전자기록철의 구조를 설계하고, 업무분류에 기반한 기록분류체계를 도입하며, 전자기록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기능을 추가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이 모델은 다양한 생산시스템의 기록관리 대상에 대한 근본적인 관리방법을 모색하고 있고, 기록분류체계 및 보존기간 운영방식에 있어 기관별 기록관의 역할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으며, 전자기록의 진본성 유지를 위한 시스템의 주요 기능이 구체적으로 설계되어 제시되고 있다는 점에서 국제표준과 선진사례의 추세와 부합하는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고 분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혁신성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인 전자기록 시대의 기록관리시스템으로서는 걸음마 단계이다. 앞으로 행정정보시스템 등 상이한 기록구조의 획득방안, 기록분류체계의 질적수준의 확보, 기 개발된 보존기술의 검증 등이 보다 더 심도 있게 연구되고 실행될 때, 선진적인 전자기록관리시스템으로서의 전망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