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gye style of Goguryeo Murals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가계양식 연구

  • Yim, Lynn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Eun-J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임린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 김은정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6.04.30

Abstract

This study considers the Gagye(Added Hair) style shown in ancient Goguryeo Murals and examines its values and significance through an in-depth study on the relevance to the style of China. In Gagye style, the Korean Hwan-gye(Round-rolled Hair) hair type wa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in letting the hair down and using accessories. The Korean Sseu-gye(Covered Hair) hair type features textile-made and Bokbal (Covered hair) styles. The Korean Go-gye(Highly-rolled up Hair) hair type wa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in style and volume. The Korean Da-gye(Multi-laid Hair) hair type wa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in component pattern in that the Korean Da-gye type was composed of two or three gyes. Eoneun meori (Braided & Coiled Hair) features the unique Goguryeo pattern in which "Che" was placed on the head and the hair was braided down on the sides of the face. Therefore, the Gagye style of Goguryeo Murals was localized and developed through cultural interchange between Goguryeo and China. It also features its own values and significance in Korea's clothing history.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제(1992). 우리 冠帽의 始末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권계순(1966). 우리나라 여자 고양고, 효성여대연구논문집, 1, 82
  3. 김문자(2001). 삼국시대 머리장신구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 9(5), 721
  4. 김용문(1992). 가계와 보요에 관한 연구 -중국을 중심으로-. 복식, 18, 213-214
  5. 김용문(2004). 벽화에 나타난 고구려의 머리모양과 화장문화. 高句麗硏究, 17, 101
  6. 김용준(1957). 안악 제3호분(하무덤)의 년대와 그 주인공에 대하여. 문화유산, 3, 12
  7. 김정자(1982). 우리나라 여성의 발양에 대한 연구. 복식, 6, 36
  8. 박선희(2002). 한국고대복식. 서울: 지식산업사, 224-225
  9. 배정룡(1982). 조선조 중.후기 부녀두발의 양식고. 아세아 여성연구, 21, 286-287
  10. 杉本正年, 문광희 譯(1995). 동양복장사논고(고대편). 서울: 경춘사, 216
  11. 沈從文(1997). 中國古代服飾硏究. 上海: 上海書店出版社, 193
  12. 王宇淸(1975). 歷代婦女袍服考實. 北京: 欣欣彩色製版有限公司, 37
  13. 유주이(2004). 복식문화의 교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유홍준, 이태호(1997). 고구려 고분벽화의 발굴.연구사, 한국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 서울: 학고재, 245-246
  15. 유희경(1989).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59-60
  16. 이여성(1955). 대동강반 한식 유적.유물과 악랑군치설에 대하여. 역사과학, 5, 99
  17. 이여성(1998). 조선복식고. 서울: 범우사, 185-186
  18. 임 린(2005). 한국 가계양식의 변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張末元, 김영숙 譯(1984). 漢朝服裝圖樣資料. 서울: 동양복식 연구원, 84
  20. 전주농(1959). 안악 하무덤(3호분)에 대하여. 문화유산, 5, 32-34
  21. 전호태(2003). 고구려 고분벽화와 동아시아 고대 장의미술. 高句麗硏究, 16, 68
  22. 정미경(1989). 우리나라 여인의 머리모양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완진(2003).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의 지역적 특성과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정완진, 이순원(1994). 고구려 관모 연구. 복식, 23, 153-155
  25. 周汛, 高春明(1988). 中國歷代婦女裝飾. 北京: 學林出版社, 49
  26. 周汛, 高春明, 栗城延江 譯(1993). (中國五千年)女性裝飾史. 東京: 京都書院, 233
  27. 주영헌(1960). 고구려 벽화고분의 구조형식과 벽화내용의 변화발전 II. 문화유산, 3, 9-11
  28. 주영헌(1963). 안악 제3호 무덤의 피장자에 대하여. 고고민속, 2, 8
  29. 천석근(1986). 안악3호무덤벽화의 복식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3, 27
  30. 허정희(2002). 안악3호분의 주인공 복식에 관한 연구 -중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동아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황호근(1976). 한국 장신구 미술연구. 서울: 일지사,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