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currence and Reserve Evaluation of the Poongwon Quartzite Deposit in Geochang, Kyongsangnam Province

경남 거창 풍원 규석광상의 산상과 매장량 평가

  • Yang Kyounghee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College of Natural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Yun Sung-Hyo (Department of Earth Sciences, College of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양경희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윤성효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6.02.01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locate and define a quartzite deposit in Geochang, Kyongsangnam Province in order to establish its commercial viability. The quartzite deposit (Poongwon Mine) occurs as lens or boudinage at the contact between mica schist of the Deogyusan formation and granite gneiss. During Precambrian, regional metamorphism and granitization may have caused the formation ot quartzite layers through recrystallization and rearrangement of silica components derived from older sedimentary rocks, probably chert and/or sandstone. The deposit is composed of fine-grained milky, or light yellowish quartz showing weak laminations with fairly dense and rough appearance in outcrop. It reaches about $60\;m(height)\times140\;m(length)\times35m(width)$ with attitude of $N57^{\circ}E-N8^{\circ}4E\;and\;51^{\circ}-60^{\circ}NW$. The average grade of the quartzite samples is $SiO_2=94.4\;wt\%,\;A1_2O_3=3.3\;wt\%,\; Fe_2O_3=0.8\;wt\%,\;K_2O=0.7\;wt\%$, which can be used for foundry, constructional materials, or concrete making. The proved reserve was estimated as 200,811 tonnage.

본 연구는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산수리 지역에 산출되는 풍원 규암광에 대한 산상과 매장량평가에 대한 것이다. 규암광은 선캠브리아시대의 광역변성작용과 화강암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덕유산층인 운모편암과 화강편마암의 경계부에서 산출되고 있다. 본 규암층은 주변의 고기퇴적암류(쳐트, 사암)의 규소성분들이 추출되어 재결정되고 재배열되어 형성되어진 것이다. 규암층은 유색$\~$담회색$\~$담황색을 띠는 세립의 치밀하고 견고한 암상이며, 규암은 대부분 $0.5\~1mm$ 내외의 석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한 엽리가 발달되어 있다. 규암층은 주향 N57E-N84E, 경사 $51-60NW(264/51\~237/60)$을 가지며, 부존 규모는 최대 층후 60m, 연장 약 140m, 최대 노두폭(露頭幅)이 약 35m로 렌즈상 혹은 소세지형으로 산출되고 있다 본 규석광의 산술평균품위는 $SiO_2=94.4wt\%,\;Al_2O_3=3.3wt\%,\;Fe_2O_3=0.8wt\%,\;K_2O=0.7wt\%$으로 주물사용, 건축용, 시멘트용으로 적합하다. 가채확정광량은 200,811M/T으로 평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장, 김정환 (1970) 한국지질도 -1:50,000 거창도폭. 국 립지질조사소
  2. 대한지질학회 (1999) 한국의 지질, 802p
  3. 대한광업진흥공사 (1988) 한국의 광상, 제 11호(비금속편), 1379p
  4. 대한광업진흥공사 (1989) 비금속광물특성조사보고서(규석, 장석편). 547p
  5. 대한광업진흥공사 (2001) 광업요람
  6. 우재억 (1993) 자원개발공학, 원화출판사, 484p
  7. 이상만, 나기창, 이상헌, 박배영, 이상원 (1981) 소백산육괴 (남동부)의 변성암복합체에 대한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7권, p.169-188
  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4) 광산물수급동향, http://www. kigam.re.kr
  9. Chough, S.K., Kwon, S.-T., Ree, J.-H. and Choi, D.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Earth-Sci. Rev., 52, 175-235 https://doi.org/10.1016/S0012-8252(00)00029-5
  10. Kesler, S.E. (1994) Mineral Resources, Economics and the Environment. Maxwell Macmillan International, 391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