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in Vehicle Watching TV on Driver Behavior

운전 중 TV시청이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신용균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과학연구원) ;
  • 임평남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과학연구원) ;
  • 강수철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과학연구원) ;
  • 류준범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과학연구원)
  • Published : 2006.05.31

Abstract

For recent innovation of If technology and the beginnin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ervice, it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to setup TV system in a car for watching TV and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Watching TV while driving would distract a driver s cognitive and visual attention as eating food, operating the radio, using a cell phone. However, there is paucity of empirical researches and it is uncertain how watching TV in driving impacts on the driver's cognition in the concrete. Therefore, we surveyed domestic drivers on the attitude watching TV while driving as well as conducted experiments through a driving simulator. Especially, we recruited two groups of participants to explore the effects of watching TV on driving behavior. The result proved that the participants who watched TV while their driving had relatively narrower the attention span than the Participants who did not watch TV. Also, those who watched TV drove with less stability and more urgent operations of the brake and accelerator than those who did not watched TV Finally, we discussed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최근 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위성 및 지상파 DMB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운전 중 TV를 시청하거나 문자나 동영상으로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시청하기 위해 차량 내 TV를 설치하는 사례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운전중 TV시청은 운전중 음식섭취, 라디오 조작, 휴대폰 사용 등과 유사하게 운전자의 시지각 및 인지적 주의를 분산시켜 안전운전에 방해를 초래할 것이다. 하지만 이와 관련한 국내외의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운전행동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주는 지도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운전 중 TV 시청에 대한 의식조사를 하였을 뿐만 아니라 차량시뮬레이터를 통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특히 실험연구에서는 실험참여자들을 두 집단(즉, 운전 중 TV를 시청하는 집단 대 TV를 시청하지 않는 집단)으로 구분하여 TV시청이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운전 중 TV를 시청하는 집단이 시청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시각적 주의분포의 폭이 좁고 주행안정성이 떨어졌으며 가속 및 감속 페달 조작을 급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0),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이 안전운전에 미치는 영향
  2.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1998), 주행 중 돌발 상황 이 운전행동 및 생체신호에 미치는 영향
  3. 도로교통안전협회(1997), 시가지도로의 동화상광 고물이 운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4. 문영준, 강연수, 박유경, 이주일(2003), 텔레매틱스 시대를 대비한 종합교통정보서비스체계화 방안 연구-첨단교통정보서비스 기술개발동향 분석 및 시스템 요구사항 설정, 교통개발연구원
  5. 신용균, 강수철(2001), 교통상황예측과 반응시간과의 관계, 교통안전연구논집, 20, pp.113-127
  6. 신용균, 한덕웅, 박군석(2003), 자동차 창유리 규제기준 개선방안 연구, 교통안전연구논집, 22, pp.141-160
  7. 송혜수, 신용균, 강수철(2005), 차량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운전행동 연구: 운전분노 및 교통정체를 중 심으로, 대한교통학회 23(2), pp.61-73
  8. 오주석, 신용균, 이순철(2006), 청소년 운전자의 운전중 음악청취자 운전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pp.35-54
  9. 전자신문, 2005년 1월 1일자
  10. 조준희, 신용균, 이운성, 강수철(2004), 교통안전 을 위한 차량시뮬레이터의 개발, 교통안전연구논 집, 23, pp.151-168
  11. 한국무선국관리사업단(2005), 이동중 TV시청이 차량운전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 연구수행기관: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12. 한덕웅, 박군석, 신용균(2003), 자동차 창유리 착 색수준이 안전운전에 미치는 영향, 교통안전연구 논집, 22, pp.53-74
  13. Abdel-Aty, M., Kitamura, R., & Jovanis P. (1997). Using Stated Preference Data for Studying the Effect of Advanced Traffic Information on Drivers's Route Choic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5, pp.39-50 https://doi.org/10.1016/S0968-090X(96)00023-X
  14. Breim, V., & Hedman, L. R. (1995), Behavioral effects of mobile telephone use during simulated driving, Ergonomics, 38, pp.2536-2562 https://doi.org/10.1080/00140139508925285
  15. Brookhuis, K., De Vries, G., & De Waard, D. (1991), The effects of mobile telephoning on driving performance,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23, pp.309-316 https://doi.org/10.1016/0001-4575(91)90008-S
  16. Cohen, J. T., & Graham, J. D. (2003), A revised economic anae use of cell phones while driving, Risk Anal. 23, pp.5-18 https://doi.org/10.1111/1539-6924.00286
  17. Consiglio, W., Driscoll, P., White, M., & Berg, W. P. (2003), Effect of cellular telephone conversations and other potential interference on reaction time in a braking response. Accident Anal, 23, pp.495-500
  18. Department of California Highway Patrol(1987), A Special Report to the Legislature on the Findings of the Mobile Phone Safety Study, USA
  19. Stayer, D. L., & Johnston, W. (2001), Invehicle tasks: Effects of modality, driving relevance, and redundancy (Technical Report AHFD-03016/GM-03-3) Prepared for General Motors Corporations, Warren, MI
  20. Tijerina, L. (2000),Issues in the Evaluation of Driver Distraction Associated with In-Vehicl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Systems, Driver Distraction Internet Forum
  21. Wierwille, W. W., & Tijerina, L. (1996), An analysis of driving accident narratives as a means of determining problems caused by in-vehicle visual allocation and visual workload. In A. G. Gale et al. (Eds.), Vision in Vehicles V. Amsterdam: North-Hol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