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gliness Expressed in On-line Game Character's Fashion on Cyber-Space

가상공간의 온라인 개념 캐릭터 패션에 표현된 추[醜]

  • Seo Jung-Lip (Dept. of Fashion Design, TongMyong Univers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
  • Jin Kyung-Ok (Dept. of Fashion Design, TongMyong Univers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 서정립 (동명정보대학교 패션 뷰티디자인) ;
  • 진경옥 (동명정보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6.01.01

Abstract

Using aesthetics of Rosencranz as the basis, this study contains the peculiarities of 'ugliness' and the obscured conceptual meaning of 'avant-garde', 'grotesque', and 'decadence' that are being utilized under ambiguous significance are defined through modern fashion and fashion of online game characters. Forms of 'uglines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and in games characters display distortion of form through incongruity, unbalance, disproportion and disharmony, and with this lack of form and expressional imprecision, both contain the elements of comical characteristics of vulgarity and repugnance. The difference in 'ugliness' between modern fashion and game character fashion is, the significance of 'ugliness' being expressed in modern fashion challenges new concepts by refusing tradition and recovering the human nature that has become turbid. On the other hand, 'ugliness' in game character fashion complements the story of the game that uses legends, fantasies or novels as its basis. Opposed to the significance of recovering human nature that is displayed in modern fashion, in order to terminate the opposing game character, the fashion of game characters exaggerates the form of modern fashion with added brutality. In addition, with the advantage of virtual reality that allows a more flexible expression than in the real word, images created are more sensational and excessive use of grotesque images are being expressed.

Keywords

References

  1. Herbert Read. 박용숙 (1991). 예술의 의미. 서울: 문 예출판사. pp. 46-51
  2. 이대훈 (2000). 대학생과 사이버문화. 충주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7(1), p. 30
  3. 윤순향 (1985). Karl. Rosenkranz 에 있어서서의 '추의 미학'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송인랑 (2002). 미를 통한 자연과 인간의 화해-아도르 노와 칸트의 미학에서 자연미와 예술미-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안선경 (1994). 현대복식에 표현된 추(醒)의개업- 1980년대 중반부터 1994년까지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6. 이건회 (2001)현대복식에 나타난 미적 소외에 관한 연 구: Rei Kawakubo 의 작품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7. 이승환 (2001). 사이버 문화가 디자인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4 (1)
  8. 이지영 (2002) 컴퓨터 게임에 나타난 의상에 관한 연 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서정립, 진경욱 (2004). 가상공간 게임에 나타난 사이 버 캐릭터 의상의 조형성. 복식, 54(3)
  10. 서정립, 진경옥 (2004). 온라인 게임 리니지II 캐릭터 패션에 나타난 바디 이미지 분석. 한국패션비지니스, 8(5), p. 146
  11. 김미영 (2005). 온라인 게임 캐릭터에 나타난 신체와 복식의 표현 유형과 미적특성, 복식, 13(3)
  12. RPG : Role Play Game
  13. www.naver.com
  14. www.daum.net
  15. 윤순향 (1985). 위의 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p, 1
  16. Aristotle, S. H. Butcher (1961). Poetics. New York Hill and Wang, pp. 7-8
  17. 논장 편집부 (1998), 미학사전, 서울. 논장, p. 405
  18. 김은정 (2005) 추의 현대적 이해 - 슐레겔의 '그리스 문학연구에 대하여' . pp. 1-3. retrieved May, 20, 2005, from www.buechner.german.or.kr
  19. M. Shasler. Kri. Geschi, der Aesthetik. 2, pp. 1026- 1027, 안선경 (1994) 현대복식에 표현된 추(醒)의개업- 1980년대 중반부터 1994년까지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p. 23에서 재인용
  20. 변영희, 채금석 (2004). 현대 메이크업에 표현된 추 (觀)이미지에 관한 연구-색채 표현을 중심으로 복식, 54(5), p, 24
  21. 안선경 (1994) 현대복식에 표현된 추(醒)의개업- 1980년대 중반부터 1994년까지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p. 33
  22. 엄소회 (1998). 현대복식에 표출된 아방가르드 의미의 패러다임적 특성에 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p. 14
  23. 천재욱 (992). 현대 예술 사조가 조경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해체주의를 중 심으로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3-84
  24. 엄소회, 김문숙 (2000). 현대복식에 표현된 아방가르 드의 유형별 특성연구. 복식, 8(2). p. 167
  25. 에르고노믹스 (ergonomic) : 인간 환경 공학의 retrieved May. 21. 2005. from www.naver.com
  26. 삼성디자인넷. Pitti Immaggine Uomo 2004 F/W. Fair Report. retrieved May. 21.2005. from www.samsungdesign.net
  27. Harpham. G. G. (1982 ), On the grotesque. Princeton University. p. 14
  28. 논장편집부 (1998 ), 미학사전 서울. 논장
  29. 두산 세계 대백과 사전. retrieved May. 21.2005. from www.naver.com
  30. Phillip Thomas, 김영무 역 (996). Grotesque. 서울대학교 출반부, pp. 27-36
  31. 김영무 (1986). The grotesque.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13-14
  32. 박은경 (2003) 패션에 표현된 그로테스크 이미지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포스트모던 그로테스크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pp. 95-99
  33. 최정화, 유영선 (1998). 현대 패션에 나타난 그로테스 크. 복식, 40, pp. 159-167
  34. Arnord Hauser, 백낙청, 염무응 역 (1974). 문학과 예 술의 사회사, 서울 :창작과 비평. p. 187
  35. 선정희, 유태순 (2001). 현대 패션 및 메이크업에 표 현된 데카당스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1(7), pp. 66-71
  36. 김양희, 박선경 (2002). 오뜨꾸띄르 컬렉션에 나타난 데카당스적 특성연구 1997년 S/S 에서 2002 S/S 를 중 심으로-, 복식, 52(8), p. 82
  37. 서정립, 진경옥 (2004). 가상공간 게임에 나타난 사이 버 캐릭터 의상의 조형성. 복식, 54(3) pp. 101-102
  38. 네이버 국어사전 retrieved May. 17. 2005. from www.krdic.naver.com
  39. 서정립, 진경옥 (2004). 온라인 게임 리니지II 캐릭터 패션에 나타난 바디 이미지 분석. 한국패션비지니스, 8(5), p.146
  40. 배우미 (2003) 잘 팔리는 캐릭터 만드는 법 서울. 키출판사, p.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