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th Performance of Pinus densiflora Introduced from Six Provenances of Japan at Chungju, Korea

충주에 식재한 일본 6개 산지 소나무의 생장

  • Kwon, Yong-Rak (Dept.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Ryu, Keun-Ok (Dept.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In-Sik (Forest Seed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Kap Yeon (Dept.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권용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유근옥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김인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종자연구소) ;
  • 이갑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Received : 2005.10.21
  • Accepted : 2006.03.22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Pinus densiflora is a dominant conifer species in Korea and also distributed in regions of Japan and eastern China. Success in the establishment and productivity of forest tree plantation is largely determined by selection of species and seed source. The provenance tests of Pinus densiflora in Korea are underway. However, the information of the growth performance of Japanese and Chinese provenance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performance of Pinus densiflora Japanese provena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a provenance trial including established b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de at Chungju in 1970. Six Japanese provenances ($31^{\circ}90^{\prime}{\sim}40^{\circ} 27^{\prime}$ in latitude and $128^{\circ}47^{\prime}{\sim}141^{\circ}80^{\prime}$ in longitude) were included in this trial. Pyeongchang provenance at Kangwon province in Korea was used for reference provenance. At nursery stage, the height and diameter at root collar of six Japanese provenances were smaller than those of Pyeongchang provenance. Among Japanese provenances, Kasahara provenance showed higher growth performance than those of others. The provenance rankings of growth performance were fluctuated until age 11. However, the growth performance of Japanese provenances showed higher than those of reference provenance after age 17. Kirishima-yama provenance showed best growth performance. Simpl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ographic factors affecting growth performance. The height growth showed negative corelation with latitude of seed origin. Generally, Japanese provenences of Pinus densiflora were well adapted and grown in Chungju. However, it wa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on other sites ne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일본산 소나무의 국내 적응성 및 생장 특성을 파악하고자 일본의 6개 산지의 종자를 도입하여 국내 평창산지 소나무를 비교 산지로 1970년 충북 충주에 시험림을 조성한 바 였다. 본 연구는 이 곳에서 산지 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포지 생장 및 조림지에서의 연년생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포지 생장의 경우 묘고는 산지간 유의성이 나타났으나 근원직경의 경우 산지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유묘 시기에는 국내산지 소나무가 일본산지 소나무보다 평균 묘고 생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산지 중에는 Kasahara 산지가 다른 산지에 비하여 양호하였다. 조림지에서 연년생장의 경우 4년생 이후 산지간 차이가 없었으나 17년생 이후 산지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산지간 생장 순위는 11년생까지 변동하였으나, 17년생 이후 변동이 줄어 안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17년생 이후 재적 생장이 좋았던 산지의 소나무가 지속적으로 생장이 양호한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생장과 기후환경 등 인자간의 상관분석 결과 재적 생장의 경우 북쪽에서 도입된 산지의 소나무가, 수고생장의 경우 남쪽에서 도입된 산지의 소나무가 다소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기후환경 인자와는 특별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일본에서 도입된 소나무는 산지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우리나라 중부지역 소나무의 평균 단재적과 비슷한 수치를 보여 충주지역에서 비교적 잘 적응하며 생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번 연구 결과는 한 지역의 조림지만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므로 우리나라 전역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충주의 일본산지 소나무 조림지는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곳으로 유전자원 보존과 정확한 후기 생장 능력 평가를 위해서 향후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2006. 기후정보. http://www.kma.go.kr/kor/weather/climate/climate_03_01.jsp (2006.02.08)
  2. 박유헌, 탁우식, 김종한, 김광수. 1992 리기다소나무 18년생 생장에 대한 조합능력검정 및 유전력 검정. 임육연보 28: 21-26
  3. 유근옥. 2003. 백합나무의 적응성검정 및 양묘기술개발.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90
  4. 유근옥, 송정호, 김인식. 2004. 루브라참나무 8개 산지간 생장특성 및 수간 통직성 비교. 한국육종학회지 36(5): 309-315
  5. 유근옥, 권오웅, 송정호, 김인식. 2004. 루브라참나무 23개 산지간 생장, 개엽시기 및 엽형변이. 한국임학회지 93(3): 234-241
  6. 임경빈, 노의래. 1979. 소나무의 유전력에 관한 연구(I). 한국임학회지 42: 74-82
  7. 임목육종연구소. 1969. 육종연구보고서 도입육종편 546-547
  8. 임업연구원. 1999. 소나무, 소나무림, 임업연구원. pp. 205
  9. 한영창, 유근옥. 1984. 방크스소나무 10개 산지간 수고 생장비교 : 강원도 춘성에서의 10년간 결과. 임육연보 20: 77-81
  10. 한영장, 이갑연, 유근옥, 박문섭, 이석래. 1986. 구주소나무 산지시험-25개 산지 10년생 결과. 임육연보 22: 91-96
  11. 한영장, 유근옥, 황석인. 1988. 일본산소나무 17년생의 산지간 생장. 임육연보 24: 81-86
  12. 한영창. 1994. 7개 서험지역에서의 독일가문비나무 산지간 생육특성 변이. 한국육종학회지 26(1): 1-12
  13. 氣象廳. 2006. 氣象統計情報. http://www.jma.go.jp/jma/menu/report.html (2006.02.08)
  14. Baldwin, H.J., E.J. Eliason and D.E. Carson. 1973. IUFRO Norway spruce provenance tests in New Hampshire and New York. Silvae Genetica. 22(47): 93-114
  15. Burschel, P. and J. Huss. 1987. Grundri$\beta$, des Waldbaus. Berlag Paul Pareys. Hamburg und Berlin
  16. Kriebel H.B., C. Merritt, and T. Stadt. 1988. Genetics of growth rate in Quercus rubra : Provenance and family effects by the early third decade in the north central U.S.A. Silvae Genetica 37(5-6): 193-198
  17. McGee, C.E. and D.L. Loftis. 1986. Planted oak perform poorly in North Carolina and Tennessee. North. J. Appl. For. 3: 114-116
  18. McKeand, S.E. 1988. Optimum age for family selection for growth in genetic tests of loblolly pine. For. Sci. 34(2): 400-411
  19. Wingfield, M.J. 1999. Pathogens in exotic plantation forestry. International Forestry Review 1: 163-168
  20. Zobel, B.J. and J. Talbert. 1984. Applied Forest Tree Improvement.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505
  21. Zobel, B.J., G.V. Wyk, and P. Stahl. 1987. Growing Exotic Forest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508